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5254

문모초(현삼과) 2010. 5. 27. 서울 오호홍~~! 기뻐라. 서울 연수 덕분에 사진으로만 보던 문모초를 만나다니. 연수 시작 시간이 여유가 있어서 아침 시간에 교육 문화회관 옆 양재천을 어슬렁 거렸다. 어제에 이어 이틀 째 아침 산책이라 어제와 반대 방향으로 바닥을 살피는데 천변 공터에 채전밭도 만들어 놓았다. 주변 바닥에는 한 뼘도 안 되는 물칭개도 보이고 살갈퀴, 꽃창포가 아침을 환하게 반기고 있다. 물칭개를 담는데 옆에 선이질풀이 있길래 그냥 지나치려고 하는데 어라? 좀 이상하다. 하얀 좁쌀 같은 꽃에 잎이 길쭉하기만 하다. 이거 좀개불알풀같다 싶어서 주변을 살펴보니 선개불알풀이라고 생각했던 녀석들 모두 이 녀석이다. 헌데 전초에 털이 하나도 없다 분명 열매는 개불알풀처럼 하트 모양인데.... 마침 공자님 후.. 2010. 5. 27.
애기달맞이꽃(바늘꽃과) 2010. 5. 21. 제주. 아침 시간이라서 그런지 애기달맞이꽃이 활짝 피었다. 솔잎란 때문에 해안 가까이 가서 이것 저것 담느라 시간을 보냈더니 그사이에 벌써 꽃잎이 오므라 들고 있었다. 벌써 일행들 출발을 서두르는데 급하게 달려 가서 몇장 담았다. 이 녀석은 제주에서는 길 바닥에 흔하.. 2010. 5. 27.
갯메꽃(메꽃과) 2010. 5. 21. 제주. 이 녀석은 육지에 흔한 메꽃 때문인지 해안에 가도 선뜻 카메라가 가 주질 않는다. 그러다 보니 담아 둔 게 없다. 녀석 꽤나 섭섭했을 게다. 이번에도 딱 두 컷만 담았다. ㅎ 큰메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10566 애기메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1771 https://qweenbee.tistory.com/8886188 https://qweenbee.tistory.com/8887123 https://qweenbee.tistory.com/8895981 https://qweenbee.tistory.com/8900424 https://qweenbee.tistory.com/8902510 애기메꽃 열매 : h.. 2010. 5. 27.
암대극(대극과) 2010. 5. 21. 제주. 암대극은 이제 꽃은 다 사그러지고 콩알만한 열매가 맺혔다. 대극 종류 중에서 개체가 가장 크고 열매도 가장 크다. 열매에 사마귀같은 돌기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가을에 잎이 붉게 단풍이 든 모습도 참 이쁜데..... 타원형 선체는 누렇게 변하여서 목도리처럼 열매 목을 .. 2010. 5. 27.
석위(고란초과) 2010. 5. 21. 석곡과 콩짜개난초를 보려고 한라산 계곡으로 숨가쁘게 오른다. 콩짜개난초는 아직 개화가 안되었다. 한라산의 숲은 어머니 가슴처럼 넉넉하게 숲을 품고 있다. 오르는 도중 잠기 숨을 고르다가 석위를 담아 본다. 육지에 서식하는 녀석을 석위로 알았는데 육기의 석위는 대부.. 2010. 5. 27.
산괭이사초 2010. 5. 26. 서울 양재천. 뭐 눈에는 뭐만 보인다더니 5일간 연수 중에 시간만 나면 주변 풀밭을 어슬렁 거린다. 덕분에 아랫 쪽에서는 만나지 못하던 개소시랑개비도 담고... 아침에 교육문화회관 뒤쪽 양재천을 산책하는 재미도 퍽 쏠쏠하다. 오늘 아침에 괭이사초와 산괭이사초를 담았다. 그냥 같은 녀.. 2010. 5. 26.
괭이사초 2010. 5. 26. 서울. 아침 일찍 연수 시작 전에 양재천을 산책하다가 괭이사초 2종류를 담았다. 산괭이사초, 애기괭이사초, 괭이사초 중 어떤 이름을 붙여야 하나? 괭이사초로 확인함. 꽃이삭 아래 잎처럼 길고 넓은 포가 3개 있고 화서 안에도 가는 포가 있다. 괭이사초 : http://blog.daum.net/qweenbee.. 2010. 5. 26.
부처손/개부처손/바위손 2010. 5. 21. 제주. 석곡을 보려고 힘들게 오르는 숲 8부 능선 이끼 낀 바위에서 만났다. 지난 4월 이 녀석 만날 수 있을까 하여 서귀포 강정천 근처를 살폈으나 만나지 못했었다. 육지에는 부처손이 자생하지 않는다고, 제주에만 자생한다는 이야기를 들었기 때문에 제주에서 꼭 보고자 했던 .. 2010. 5. 26.
석곡(난초과) 2010. 5. 21. 제주. 에거거~~! 40 여 분 어두운 숲 절벽 길을 숨차게 올라와서 벼랑을 쳐다보니 석곡이 하얗게 꽃을 피우고 약을 올린다. 작은 나무가 앞을 가리고 있어서 ㄱㄴㄹ님은 길다란 나뭇가지로 방해물을 치우느라고 씨름을 한다. 다들 박격포 렌즈로 갈아 끼우고 멀리 있는 녀석을 당긴다. 내야 똑.. 2010. 5. 26.
차걸이란(난초과) 2010. 5. 21. 제주. 원시의 숲에서 그 귀하다는 차걸이난을 바로 눈 앞에 가까이 보았다. 딱 한송이 차걸이난이 꽃을 피워서 육지의 손님을 반겨 주었다. 보호가 되고 관리되는 숲이라서 그나마 볼 수 있었던 거다. 남채가 되어서 숲에서는 차걸이난을 찾아보기 힘들단다. 남채해 가져가도 몇해 못 가서 다.. 2010. 5. 26.
갯까치수염(앵초과) 2010. 5. 21. 제주. 현무암 바위 바닥 틈새에 갯까치수염이 나지막하게 바다 바람을 맞고 있다. 지난 4월에 왔을 때는 갯까치수염이 막 피기 시작하더니 지금 한창이었다. 갯까치수염 : http://blog.daum.net/qweenbee/8889966 http://blog.daum.net/qweenbee/8888002 http://blog.daum.net/qweenbee/8888833 http://blog.daum.net/qween.. 2010. 5. 26.
개소시랑개비/좀개소시랑개비 2010. 5. 25. 서울. 연수를 받으면서도 버릇대로 짬짬이 주변 풀 밭을 살핀다.점심 시간에 잠시 교육문화회관 정원을 살피는데 개소시랑개비가 보인다. 안동에서는 좀개소시랑개비만 보이고 개소시랑개비는 한번도 본 적이 없다. ㅎㅎㅎ..땡 잡았다.노란꽃잎이 보다는 크고 잎새 깃꼴겹잎이 좀개소시랑개비보다 더 많았다.              욘석은 병산서원앞 모래밭에서 잡은 좀개소시랑개비다.의 꽃은 꽃잎이 있는 듯 만 듯하다.   개소시랑개비는 충북 강원 경기 이북에 나며 북반구의 온대에 분포한다고 한다.그러니까 내 사는 경북에서 볼 수 없다는 건데 그래서 여태껏 이 녀석을 못 만났던 모양이다.       개소시랑개비 : 잎은 호생하고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5~9개이고 엽병이 길다   좀개소시랑개비: 잎은 .. 2010. 5.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