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5254

짝자래나무(갈매나무과) 수꽃 암꽃 2010. 5. 29. 봉화 고개 이 고개 벼랑 위에 흔하게 보이는 나무 잎이 눈이 많이 익은데 도대체 이름이 떠오르질 않았다. 털댕강나무 꽃을 찾느라고 이리저리 관목을 헤치는데 헐~! 짝자래나무였던 걸... 수꽃이다. 암꽃도 있겠지만 뭐 봉정사 숲에서 담은 암꽃이 있으니 굳이 찾으려 애쓸 필요.. 2010. 6. 1.
청미래덩굴(백합과) 암꽃 2010. 4. 25. 제주. 청미래덩굴 암꽃이다. 암술이 3갈래지고 자방이 굵다. 청미래덩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731 https://qweenbee.tistory.com/8888047 https://qweenbee.tistory.com/8895507 https://qweenbee.tistory.com/8903659 https://qweenbee.tistory.com/8907099 https://qweenbee.tistory.com/8908739 청미래덩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886 https://qweenbee.tistory.com/8902847 청미래덩굴 종자 : https://qweenbee.tistor.. 2010. 5. 31.
오미자(오미자과) 암꽃 수꽃 2010. 5. 29. 백천계곡. 이 녀석 담으러 ㅊㄹ산에 갈려고 했는데 이렇게 또 우연하게 담게 된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 실감한다. 열매에서 다섯가지 맛이 난다는 오미자다. 요즈음 일부 시군에서는 전략적으로 재배를 하여서 가공식품으로 개발하여 농가 소득 작물로 부각되고 있다. 암꽃.. 2010. 5. 31.
노루삼(미나리아재비과 노루삼속) 2010. 5. 29. 강원도. ㅎㅎ..는쟁이냉이를 담다가 옆을 쳐다 보니 노루삼이 고개를 간들거리면서 촌 아지매가 무얼하나 지켜 보고 있다. 노루삼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6229 https://qweenbee.tistory.com/8888045 https://qweenbee.tistory.com/8891863 hhttps://qweenbee.tistory.com/8891299 https://qweenbee.tistory.com/8908358 https://qweenbee.tistory.com/8908704 노루삼 새싹 : 노루삼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8642 https://qweenbee.tistory.com/888.. 2010. 5. 31.
금강죽대아재비(백합과) 2010. 5. 29. 강원도 높은 고개. 봉화 고개에서 금강이가 신통치를 않아 만족스럽지 못하였는데, 강원도 고개에는 주근깨 다닥다닥 붙인 금강죽대아재비가 한창이다. 헌데 바람이 을매나 부는지 멈추기를 기둘려 담느라고 숨넘어 가는 줄 알았다. 이란 접두사를 가진 녀석들이 꽤 있다. 금강분취, 금강초롱, 금강쑥..... 금강산과 관련이 있는지는 확인해 보지 못하였다. 아마 고지가 높은 고산지역에 자생한다는 의미일 것이다. 줄기는 하나가 곧게 서고 아래쪽은 막질의 엽초 모양으로 된 잎에 싸인다. 수술이 6개 암술을 3갈래로 갈라져 있다.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없고 긴 난형으로 끝이 매우 뾰족하며 밑은 심형으로 줄기를 감싸며 길이 2~5cm이다. 죽대아재비 : https://qweenbee.tistory.c.. 2010. 5. 31.
회나무/참회나무/나래회나무/참빗살나무/회목나무/회잎나무/화살나무 비교 드뎌~~~~! 올해 참회, 나래회, 참빗살나무 꽃을 확보하여 완전히 완성을 하였다. 와우~! 축하한다 여왕벌!   꽃 열매 수피 4수성 5수성 회나무   ○ 5갈래 얕은 날개 매끈하고 피목 있음 참회나무   ○ 5갈래 날개 없음 매끈하고 피목 없음 나래회나무 ○   4갈래, 큰 날개 거칠고 피목 있.. 2010. 5. 31.
명자순(범의귀과) 어린 열매 2010. 5. 30. 강원도. 고개 만항재 숲에는 명자순 연두색 어린 열매가 기우는 햇살에 윤을 내고 있다. 명자순은 숲에 천지 삐까리였다. 이른 봄 얼레지나 갈퀴현호색 바람꽃들만 담고 다시는 쳐다 보지도 않았으니 나무 열매들이 이렇게 풍성한 줄 알았겠나. 여럿이 함께 탐사를 하게 되면 이미 잘 알려진 것들만 담게 되어서 찬찬히 살필 시간이 없이 다른 것들을 발견하지 못한다. 이렇게 혼자 숲은 뒤지다 보면 꽤 쏠쏠하게 많은 것들을 만날 수 있어서 좋다. 까마귀밥나무, 까치밥나무, 꼬리까치밥나무, 명자순 등은 참 비슷 비슷하다. 하지만 잎새를 자세히 보면 특징이 있다. 잎, 꽃, 열매의 특징만 눈에 익혀 두면 오케이다. 열매 배꼽에는 꽃받침이 아직 남아 있고 포엽도 남아 있는 것이 보인다. 꽃은 이가화로.. 2010. 5. 31.
시닥나무/청시닥나무(단풍나무과) 수꽃 2010. 5. 30. 강원도 높은 고개. 일요일. 특별하게 계획된 출사는 없지만 강원도 쪽으로 자연스럽게 차를 운행한다. 봉화 높은 고개에는 딱히 눈에 띄는 건 없지만 털댕강나무와 노랑갈퀴를 담고, 꼬리까치밥나무 열매가 주렁하는 새 개체를 찜해 두고 나니 2시가 넘었다. 만항재로 갈까 말까.. 2010. 5. 31.
나래회나무(노박덩굴과) 2010. 5. 30. 강원도. 아랫 동네 계곡에는 벌써 꽃이 다 져버려서 실망을 했더니 만항재 고개에는 아직 한창 피었다. 역시 만항재까지 오길 잘했다. 숲을 뒤지면 뭐든지 담을 거리가 나온당게여. ㅎ 헌데 회나무라 생각하고 담아 왔는데 꽃을 보니 4수성이다. 회나무는 5수성인디..... 오잉?? 그.. 2010. 5. 31.
참빗살나무(노박덩굴과) 2010. 5. 28. 국립수목원. 노박덩굴과 회나무 가족의 이력이다. 꽃 열매 4수성 5수성 회나무   ○ 5갈래 얕은 날개 참회나무   ○ 5갈래 날개 없음 회잎나무 ○   없음 화살나무 ○   없음 나래회나무 ○   4갈래, 큰 날개 참빗살나무 ○   4갈래 능선, 날개 없음 회목나무 ○   4갈래 능각 있음, 날개 .. 2010. 5. 31.
물참대/말발도리 비교 물참대와 말발도리는 피는 시기가 같고 꽃도 비슷하여 구분에 혼란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마침 두 종류를 이틀 사이에 담을 수 있어서 비교 자료를 만들어 본다. 말발도리 수술대가 사각형 모양이다. 암술대가 얕게 3갈래 짐 물참대 수술대가 길다란 삼각형 모양이다. 암술대가 깊게 3 갈.. 2010. 5. 31.
붉은참반디(산형과 참반디속) 2010. 5. 30. 강원도. 산상의 화원은 산나물 뜯는 사람들로 북적거렸다. 바닥에 깔린 모든 야생초가 먹거리가 되니 봄나물로 산야초는 무공해 채소가 된다. 붉은참반디가 아직 꽃 피우기 이른가? 겨우 한 포기 찾았다. 얼레지는 벌써 삼각형 씨앗을 매달고 있다. 금강애기나리도 주근깨를 가.. 2010. 5.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