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자료실/수목류4125

인가목(장미과) 열매 2010. 7. 18. 함백산 녀석 벌써 붉게 색을 입었다. 인가목나무 열매는 이렇게 길쭉하고둥근인가목나무는 이름 그대로 해당화나 장미 열매 처럼 동그랗다. 장마가 물러가면서 남은 비를 간간이 흩뿌리는데, 바람이 얼마나 거센지 몸이 발걸음이 뒤로 밀린다.함백산 정상은 바람이 더 거세니 아고야~~~! 이나마 건진 게 다행이다. 인가목 열매는 이렇게 길쭉하고 과경(열매자루)와 꽃받침 겉에 선모가 많다.       과경에 선모가 많다.  달포 전에 담은 인가목 꽃이다.    흰색도 있다.    생열귀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14  https://qweenbee.tistory.com/8892013https://qweenbee.tistory.com/8892197  .. 2010. 7. 20.
꼬리조팝나무(장미과) 2010. 7. 13. 학가산.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첨두 예저이고 길이 4-8cm, 폭 1.5-2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뒷면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높이 1-1.5m이며 가지는 능선이 있고 털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뿌리부근에서 많은 가지가 나와 군생한다.  갈기조팝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4069   https://qweenbee.tistory.com/8891893https://qweenbee.tistory.com/8889987   https://qweenbee.tistory.com/8889290 https://qweenbee.tistory.com/8888315   https://qweenbee.ti.. 2010. 7. 19.
꼬리진달래(진달래과) 2010. 7. 16. 봉화. 2주일 전에 벼랑의 꼬리진달래가 피기 시작하더니 아직도 피고 있다. 검은 장맛비 구름이 몰려 오고 있지만 그냥 지나기 섭섭하여서 또 카메라를 들이대어 본다. 흰참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113 https://qweenbee.tistory.com/8894024 https://qweenbee.tistory.com/8886690 https://qweenbee.tistory.com/8894161 https://qweenbee.tistory.com/8901018 https://qweenbee.tistory.com/8905971 참꽃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20 https://qweenbee.tist.. 2010. 7. 19.
산초나무(운향과) 2010. 7. 17. 산초나무는 다른 나무들에 비하여 꽃이 늦게 핀다. 나무 꽃이 늦게 피는 녀석으로 쉬나무도 대표적이다. 붉나무도 여름이 되어서야 꽃이 피는데 아직이다. 늘 가던 그 곳에는 지금 쯤 쉬나무가 하얗게 꽃이 피우고 꿀벌들을 불러 모으고 있을텐데 늦어서 들를 시간이 없.. 2010. 7. 19.
산수국(범의귀과) 2010. 7. 16. 봉화. 오가는 도로변 숲 가장자리에 푸른 산수국이 한창이다. 가는 길에는 비가 쏟아지기 전에 솔나리를 봐야하기 때문에 차를 멈추지 못하였는데 돌아오는 도중에 정선바위솔 안부를 물으러 잠시 차를 멈추었다. 마침 옆에 산수국 한 무리가 너덜을 밝히고 있다. 높은 곳에 조.. 2010. 7. 17.
모감주나무(무환자나무과) 2010. 7. 12. 이 녀석은 장마가 시작 될 즈음부터 피기 시작하여서 어른들은 모감주 꽃이 피면 장마가 온다고 한다. 작년에 청량산으로 가는 도로 옆 산에 모감주나무가 군락을 이루고 있는 걸 봤다 청량산을 가 본지 한참 되었다. 지금 쯤 모감주 나무 꽃으로 산이 노랗게 덮여 있겠다. 꽃이 .. 2010. 7. 15.
개오동(능소화과) 2010. 7. 12. 쥔장이 가지를 많이 자르더니만 개오동 유목이 뒤늦게 꽃을 피고 있다. 집에 드나드는 길목이라서 걸리적 거렸나 보다. 이 녀석은 잎이나 꽃이 오동나무 비슷하다는 이유로 오동이란 이름을 얻었는데 분류학적으로는 전혀 다른 능소화과에 속한다. 잎은 대생 또는 3윤생 하며 광란형이고 대.. 2010. 7. 14.
으아리(미나리아재비과) 2010. 7. 13. 학가산. 으아리가 길 주변 잡풀에 엉겨 하얗게 꽃을 피우고 있다. 여름 가까이 피는 4장의 꽃받침잎을 가진 녀석은 참으아리라 하는데 자세히 보면 5장 짜리도 보인다. 참으아리는 주로 행안가에 서식을 한다고 하고 개화 시기도 참으아리와 으아리의 개화시기가 겹치니....욘석.. 2010. 7. 14.
담쟁이덩굴(포도과) 2010. 7. 12. 앞산. 집 담벼락에 담쟁이덩굴이 초록의 커튼을 만들어 주고 있다. 어디서 묻어왔는지도 모른다. 언제 부터인가 담쟁이덩굴이 자라기에 모른 척하고 두었더니 제법 어우러 지고 있다. 엄니가 풀을 뽑는다고 화단의 풀꽃들을 뽑을 때 이 녀석 줄기도 하나 잘라 놓으셨다. 그 바람.. 2010. 7. 13.
청괴불나무(인동과) 2010. 7. 5. 사찰 숲. 청괴불나무 열매가 제법 모양을 내고 있다.괴불나무 속의 특징인 하나의 꽃자루에 두 개씩 꽃이 피는 이 녀석은 자방이 반 이상 붙어 있어서점점 자라면서 거의 붙게 되는데 빨갛게 익을 때는 배꼽만 두개가 보일 정도로 완전히 하나로 되어 버린다. 그리 크지 않은 잎은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이 밋밋하다. 엽병은 길이 2-5mm로서 털이 없다.   이미 거의 한 몸이 되고 있다.    갈라진 가지 기부에 어린 눈을 싸고 있던 아린이 아직 남아 있는 것이 특징이다.어린 가지는 자갈색을 띠고 점차 회갈색으로 변한다.    5월의 꽃  붉게 익고 있는 열매다. 2009. 7.15  같은 곳의 2009. 7. 30.  괴불나무 꽃 : https://qweenbee.tist.. 2010. 7. 10.
개옻나무(옻나무과) 2010. 7. 5. 사찰 숲. 꽃을 담지 못하였다. 열매가 주렁주렁 포도송이처럼 매달렸다. 야산에 흔하게 만나는 이 녀석은 주변에 있는 붉나무와 헷갈려들 한다. 붉나무는 엽축에 날개가 있고 이 녀석은 날개가 없다. 붉나무는 여름이 다 되어서야 꽃을 피운다. 소엽은 7-15개이며 소엽에 짧은 잎자루가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나 간혹 톱니가 보이긴 한다. 엽축이 붉다. 이 녀석은 붉나무다. 소엽에 무딘 톱니가 있고 엽축에 날개가 있다. 검양옻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5801 https://qweenbee.tistory.com/8907910 검양옻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4597 https://qweenbee.tisto.. 2010. 7. 10.
능소화(능소화과 능소화속) 2010. 7. 8. 학교. 내 집무실 창밖에는 능소화가 주황색 꽃 커튼을 드리워 주고 있다. 여름동안 오랜 기간 피고 지고 해서 조경화로는 멋진 녀석이다. 헌데 꽃가루가 갈고리처럼 생겨서 눈에 들어가면 각막을 손상시킨다고 하는데..조심해야 한다.줄기의 마디에 생기는 흡반이라 부르는 뿌리를 건물의 벽이나 다른 나무에 붙여 가며 잘 타고 오른다.       능소화 : https://qweenbee.tistory.com/8888370    https://qweenbee.tistory.com/8886061                https://qweenbee.tistory.com/8902865   https://qweenbee.tistory.com/8898749           https://qweenb.. 2010.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