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꽃자료실/수목류4125 꼬리진달래(진달래과) 2010. 6. 27. 참꽃나무겨우살이라고도 한다. 더보기 : http://blog.daum.net/qweenbee/8886147 http://blog.daum.net/qweenbee/8885970 꽃은 6~7월에 가지 끝에 총상(總狀)꽃차례를 이루어 피며 하얀색의 꽃부리는 깔대기처럼 생겼다. 열매는 9월에 익는다. 우리 나라에서는 경상북도·충청도·강원도에서만 볼 수 있는데 반 그늘.. 2010. 6. 29. 귀룽나무(장미과) 열매 2010. 6. 20. 함백산 언저리 바람이 센 언덕배기라서 커야 할 나무들이 키가 크지 못하고 모두가 관목 수준이다. 귀룽나무도 나지막한 가지에 파란 열매를 달고 있다. 센 바람 때문에 잎들이 상채기 투성이다. 5월의 꽃 제주왕벚나무 Prunus × nudiflora : https://qweenbee.tistory.com/8900865 https://qweenbee.tistory.com/8902170 제주왕벚나무 동아 : https://qweenbee.tistory.com/8910049 일본산 왕벚나무 Prunus × yedoensis : https://qweenbee.tistory.com/8902253 https://qweenbee.tistory.com/8903718 https://qweenbee.t.. 2010. 6. 29. 매발톱나무(매자나무과) Berberis amurensis Rupr. 2010. 6. 20. 강원도. 강원도 높은 산에는 이미 거의 꽃이 다 지고 자잘한 열매가 맺히고 잇었다.섬매발톱나무와 매자나무와 매발톱나무의 차이점을 아직 공부해 두지 않았다. 언제 함 들여다 봐야겄다.일단 매자나무와 매발톱나무의 차이점을 살펴 보니 잎의 톱니와 열매 모양에서 쉽게 구분이 된다 열매잎 어린 가지 화서 매자나무 6mm 구형 또는 난상 구형불규칙한 톱니, 뒷면 회녹색 적갈색, 가시 0.5~1cm로 매발톱보다 짧다 다소 느슨하고 화경 2~4cm, 소화경 4~6mm 매발톱나무 1cm 타원형(원주형)규칙적인 예리한 톱니, 털이 없음 회황색, 가시 1~2cm 세갈래 화서 길이 10cm 소화경 5~10mm 풍성하다 매발톱나무의 잎의 거치는 매우 예리하고 규칙적이다. 어린 열매는 원통형으로 나.. 2010. 6. 29. 밤나무(참나무과) 암꽃 수꽃 2010. 6. 25. 밤나무 꽃이 피면 별로 호감이 가지 않는 비릿한 냄새가 번진다. 알밤만 구워 먹을 줄 알았지 이 녀석 꽃은 제대로 들여다 본 적이 없다. 도로 옆에 나지막한 눈 높이에 하도 풍성하게 꽃을 피우고 있는 녀석이 발걸음을 잡는다. 헌데......................ㅎㅎ..수꽃만 디립다 담았다. 그래서 오늘 다시 가서 암꽃을 담아 왔다. 꽃은 일가화로서 백색이며 7-8월에 피고 새가지 밑부분의 엽액에서 곧추 자라는 꼬리화서에 많이 달린다. 암꽃은 웅화서 밑부분에서 보통 3개씩 한 군데에 모여 달리고 포로 싸인다. 암꽃이다. 벌써 가시가 폼 잡고 있다. 수꽃이다. 잎에는 파상의 톱니가 있고 17~25쌍의 측맥이 비스듬히 평행하게 달리며 측맥 끝이 침형이고 표면은 털이 없거나 맥 위.. 2010. 6. 29. 좀작살나무(마편초과 작살나무속) 2010. 6. 28. 고수부지. 작살나무와 좀작살나무를 구분할 때 잎의 톱니가 1/2 정도니 아니니 왈가 왈부하는데, 잎의 톱니로는 둘을 구분하는 것은 불확실하다. 우선 화서가 붙어 있는 위치와 소지로 구분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되는데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작살나무 : 소지(어린가지)가 .. 2010. 6. 28. 쥐똥나무(물푸레나무과) 2010. 6. 16. 봉정사 숲. 참 이름도 잘 지었다. 까만 열매를 보면 쥐똥처럼 생겼거든. 근데 꽃은 이리도 하얗다. 광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2159 광나무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7187 http://blog.daum.net/qweenbee/8894979 http://blog.daum.net/qweenbee/8896923 광나무 종자 : http://blog.daum.net/qweenbee/.. 2010. 6. 28. 개머루(포도과) 2010. 6. 27. 영덕. 줄기 중간의 잎을 보니 결각이 깊다. 가새잎개머루일까? 제주도와 부산 해안에서 본 가새잎개머루 잎의 결각은 이 녀석과는 차이가 있으니 이 정도는 그냥 개머루로 봐야겠다. 가새잎개머루 까마귀머루 비교 : http://blog.daum.net/qweenbee/8888588 가새잎개머루/왕머루 : http://blog... 2010. 6. 28. 꽃개회나무(물푸레나무과) 2010. 6. 20. 함백산. 함백산은 꽃개회나무로 산 비탈이 온통 불그스름하였다. 꽃개회나무는 잎이 두텁고 큰 편으로 전체가 꼿꼿하게 서며 햇가지 끝에서 꽃이 핀다. 꽃은 6-7월에 피고 새가지 끝의 원추화서에 달리며 화서는 길이 20-30㎝로 털이 있고 소화경은 길이 3㎜이다. 꽃은 연한 홍자.. 2010. 6. 27. 소영도리나무/흰색 소영도리나무(인동과) 2010. 6. 20. 함백산. 너무 흔한 녀석이라서 카메라가 쉽게 그리 돌아가질 않는다. 이 바람 센 산비탈에 하도 깨끗하고 곱게 피었길래 두어 장 담았더니 흰병꽃나무가 또 반겨준다. 소영도리나무 : http://blog.daum.net/qweenbee/8890274 http://blog.daum.net/qweenbee/8893667 http://blog.daum.net/qweenbee/8895672 http://blo.. 2010. 6. 27. 조령으아리(미나리아재비과)? 2010. 6. 26. 그래 맞다. 꽃받침잎이 6장 짜리는 조령으아리였다. 아무리 생각해도 이상타 했다. 작년에 담은 조령으아리를 살피니 무지 풍성하게 꽃을 달고 있었는데 올해는 그 자리에 꽃이 안 보인다. 이 녀석은 원지 동산에서 무덤 가에서 마악 꽃을 피우기 시작하는 녀석이다. 잎이 유난.. 2010. 6. 27. 인가목 흰색(장미과) 2010. 6. 20. 강원도. 잉~! 흰꽃이 피어서 흰인가목인 줄 알았더니만...붉은색 인가목과 꽃과 잎의 크기나 소엽의 수가 같아서 갸웃거린 게 결국 갸웃이 되어 버렸다. ㅎㅎ인가목 흰색 꽃이당. 가지가 많고 소지는 암적색이며 자모가 밀생한다. 인가목과 흰인가목의 크기 생열귀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14 https://qweenbee.tistory.com/8892013https://qweenbee.tistory.com/8892197 https://qweenbee.tistory.com/8893998https://qweenbee.tistory.com/8897794 https://qweenbee.tistory.co.. 2010. 6. 27. 인가목(장미과) Rosa acicularis Lindl. 2010. 6. 20. 강원도. 6월의 강원도 높은 산은 나무 꽃들이 많아서 참 즐겁다.산 정상으로 오르는 길 섶에 인가목이 붉게 피어 발목을 잡는다. 잎은 호생하고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3~7개이고 넓은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길이 1.5~6cm이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뒷면은 약간 백색을 띠며 중륵 위에 누운 털이 약간 있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엽병에 때로 선모가 있다.엽축에 자모가 있고 탁엽은 화살모양으로 가장자리에 선모가 있다. 소지에는 가시가 없는 것이 있으나 줄기에는 침상의 가시가 많다. 열매는 길쭉하다. 둥근인가목은 열매가 둥글다. 생열귀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14 https://qweenbe.. 2010. 6. 27. 이전 1 ··· 296 297 298 299 300 301 302 ··· 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