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공부방502

눈개불알풀/좀개불알풀/선개불알풀/개불알풀/큰개불알풀 개불알풀 큰개불알풀 선개불알풀 눈개불알풀 잎 2-3쌍의 톱니가 있다 4~7개의 굵은 톱니가 있다. 가장자리에는 3~4쌍의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밀생한다. 개화시에도 떡잎이 남아 있다. 3~5개의 둔한 톱니, 양면에 긴 털이 있다. 꽃색 연한 홍자색 하늘색(푸른색) 벽자색(푸른색에 가까움) 푸른색 꽃 화관은 지름 3~4mm이고 통부가 짧으며 4개로 갈라진다. 암술대는 길이 1mm정도이다. 화관은 지름 8mm로서 4개로 깊게 갈라지며 암술대는 길이 3mm이다. 화관은 지름 4mm로서 4개로 갈라진다. 화관 지름은 4~5mm 정도의 크기이고,4조각으로 깊게 갈라진다. 줄기 높이 5-15cm이고 부드러운 짧은 털이 있으며 밑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져 옆으로 자라거나 비스듬히 선다. 길이 10-30cm이고 부드.. 2012. 2. 20.
백두산의 난초 2011. 8. 4. 노호배. 이 녀석 이름을 잊어 버렸다. 산제비란이라 했던가? 이 녀석은 위의 녀석들과 다른 녀석으로 이야기를 한 것 같았는데..... 2012. 2. 17.
물벼룩이자리/물별 @@@ Elatine (물별속) 국가표준식물목록 종분류구분학 명국 명최종수정일식물종정명Elatine triandra Schkuhr  물벼룩이자리2007/03/11식물종정명Elatine triandra var. pedicellata Krylov  물별2007/03/11   @@@ 물별속 일본 서식종 (3종)  Elatine hydropiper L.  シベリアミゾハコベ (temp.) 표준 Elatine spathulata Gorski  シベリアミゾハコベ (temp.) 이명  Elatine triandra Schkuhr var. pedicellata Krylov  ミゾハコベ 표준 물별Elatine triandra Schkuhr  ミゾハコベ 광의 Elatine ambigua Wight  ミゾハコベ 이명 Elat.. 2012. 2. 15.
민박쥐나물/게박쥐나물/귀박쥐나물/나래박쥐나물/참나래박쥐나물 그 동안 담아 두었던 박쥐나물을 겨울동안 정리하면서 공부를 하였다. 비슷비슷한 녀석들이라 확실하게 동정한다고 했는데도 박쥐나물과 민박쥐나물에 오류가 있어서 다시 수정을 하였다, 제주의 100고지 주변에서 담은 녀석은 모두 서서히 좁아지는 날개가 있으나 날개에 거치가 없는 민박쥐나물이었으며 게박쥐나물은 윗세오름과 한라산 정상부 가까운 숲에서 담았다. 백두산 지하삼림과 서백두 노호배에서는 참나래박쥐나물을, 함백산에서는 나래박쥐나물을 만났었다. 귀박쥐나물은 백두산으로 이동하는 중 선봉령을 넘는 도로변 숲에서 만났다. 게박쥐나물과 잎 모양이 비슷한 귀박쥐나물은 잎 자루 기부에 귓볼처럼 볼록한 두개의 날개가 특징이다. 이우철 도감에는 귀박쥐나물과 좀귀박쥐나물이 따로 분류되어 있는데 기재문을 보면 귀박쥐나물은 잎자.. 2012. 2. 10.
??딸기=>Rubus rolfei (산딸기속 ) 2011. 5. 28. 광릉수목원. 수목원 온실에서 담은 녀석이다.잎 모양이 겨울딸기를 많이 닮긴 했는데 잎이 다소 두텁고 잎 표면이 주름투성이며 크기도 무척 작다.뽀로로로롱~! 메세지가 왔다. 타이완의 산딸기속의 식물  Rubus rolfei 이란다. ㅎ        산딸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2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1https://qweenbee.tistory.com/8888114       https://qweenbee.tistory.com/8887732 https://qweenbee.tistory.com/8887246       https://qweenbee.tistory.com/8889901   .. 2012. 2. 6.
대극/흰대극/두메대극/붉은대극/암대극/등대풀/개감수 <대 극> 선체가 타원형, 열매에 사마귀같은 돌기 있음, 소총포엽이 난평으로 끝이 첨두, 잎은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 <흰대극> 선체 양쪽에 뾰족한 뿔같은 돌기 있음, 열매에 사마귀 같은 돌기, 소총포엽이 신장형, 잎은 도피침형 <두메대극> 선체가 타원형, 열매에 사마귀같은.. 2012. 2. 4.
백작약/산작약/참작약 야생의 작약으로 산작약, 백작약, 참작약이 있는데 내는 안즉도 야생에서 작약 꽃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다. 산작약은 도로가 나는 곳에서 구출되어 어느 산골 할머니가 계신 집에 잠시 피신을 시켜 둔 녀석이 꽃을 피운 걸 본 적이 있는데 얼마나 귀엽고 곱던지 눈을 뗄 수 없을 정도였다. 산작약과 백작약은 2회 3출엽으로 잎에 결각이 없고 참작약은 3출엽으로 정소엽이나 측엽이 2~3개로 깊게 갈라져서 소엽이 많은 것처럼 보인다. 백작약과 참작약은 둘다 꽃이 흰색인데 백작약과 산작약은 자방에 털이 없지만 참작약은 자방에 털이 많이 있어서 결실기에 구분할 수 있다. 백작약이니 꽃색은 당연히 흰색이고, 잎은 3-4개가 호생하며 엽병이 길며 3개씩 2회 갈라진다. 소엽은 긴 타원형이거나 도란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 2012. 1. 28.
기생꽃과 참기생꽃에 대한 소고 얼마 전까지만 해도 우리 나라에 자생하는 참기생꽃을 다들 기생꽃이라고 이름을 불렀었다. 아니 지금도 기생꽃으로 이름을 붙여서 야생화 사이트에 오르고 있다. 헌데 우리 나라에 아직 서식하고 있는 것은 모두가 참기생꽃이며 기생꽃은 일반인의 접근이 허락되지 않는 강원도 고산 습지에 서식하고 있다고 한다 백두산에서 담아 온 참기생꽃 열매를 올리면서 기생꽃과 참기생꽃의 차이점은 꽃대의 수라고 글을 써 두었었다. 참기생꽃은 한 송이, 기생꽃은 여러 송이를 피운다고 믿을만한 분 한테서 들었던 것 같은데 도감에서 확인을 해 본 것 같기도 하다. 꽃동무 한 분이 내가 기록해 둔 꽃의 수로 참기생과 기생을 구분하는 것에 의문을 가지고 외국의 자료를 찾아 확인을 하신 모양이다. 해서 나도 이우철의 의 기재문을 살펴보니 참기.. 2012. 1. 26.
왕괴불나무와 각시괴불나무에 관한 분류학적 고찰 모 사이트에 왕괴불나무와 각시괴불나무에 대하여 왈가 왈부한 일이 있었다. 왕괴불나무라 올려 둔 걸 보니 화경이 길고 가지 위로 곧추 서고 화경과 어린 가지, 잎 앞 뒷면, 엽병 에 털이 가득한 모습이라 각시괴불나무가 분명하여 잘못 올렸다고 지적질을 하였다. 본종인 왕괴불.. 2012. 1. 18.
보풀(택사과 보풀속) 2011. 10. 3. 경기도. 보풀과 벗풀. 참 구분하기 어려운 녀석이라 이 녀석이 그 녀석 같고 그 녀석이 이 녀석 같아서 헷갈리기 쉬운 녀석이다그런데 논이나 수로에서 보이는 녀석의 거의 대부분이 벗풀로 보면 된다.보풀은 그만큼 만나기 어려운 녀석인데 이곳에서 꽃동무 덕분에 보풀의 실체를 확인하게 되었다.  구경 잎자루 단면 잎끝 잎자루 기부 보풀 잎자루 기부에 구경이 있다 둥근 원형 말린 듯 둔함 동그랗게 오므라짐 벗풀 없다 한쪽이 납작한 원형 뾰족함 펼쳐짐 보풀의 가장 큰 특징이 잎겨드랑이에 구경이 생기는 것인데 그 구경을 확실하게 본 것이다.  잎자루를 뒤집어 보니 엽액에 자잘한 구경이 다글다글 맺혀 있다.구경은 각각의 자루를 가지고 달려 있는데 가을철에 생기는 게 아니라 여름부터 맺혀 있다고 .. 2011. 12. 29.
돌외/산외/새박/뚜껑덩굴 비교 2011. 12. 돌외는 남부지방에서, 산외는 높은 산 숲에서, 새박은 인가 주변 저지대 풀숲에서, 뚜껑덩굴은 물가에서 볼 수 있는 비슷한 덩굴식물이다.  거제도와 제주에서 만난 남쪽 지방에서 볼 수 있는 녀석이다.소엽은 5장으로 잎 앞 뒷면에 잔털이 있고 거치가 뾰족하다.꽃은 8-9월에 피며 황록색이고 원추화서 또는 총상 원추화서로서 길이가 8-15cm이다.  잎은 엽병이 길고 심원형 또는 난상 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길이와 폭이 각각 5-12cm로서 표면은 흔히 털이 산생하고 맥위에 잔털이 있으며5-7개로 희미하게 얕게 갈라지고 밑부분이 넓고 낮은 톱니의 끝이 뾰족하다.꽃은 8-9월에 피며 약간 누른 빛이 도는 백색이고 양성화주와 웅화주가 있으며수꽃은 총상화서에 달리고 양성화는 .. 2011. 12. 26.
길마가지와 숫명다래나무와 관련한 고민 한국산 인동속의 분류학적 연구 - 형태와 화분의 특성 및 DNA 다형성 양상을 중심으로 -(전승훈 박사논문 - 서울대, 1994) 1. 길마가지나무와 숫명다래나무의 꽃, 열매, 화분의 특성에는 차이가 없다.2. 소지에 강모가 하향하며 밀생하지는 않으나 숫명다래나무는 갈마가지나무에 비해 털이 매우 적다.3. 잎의 질감은 두꺼운 혁질로 엽형은 타원형으로 강모가 있으나 밀생하지는 않고 엽두는 첨두이다.    - 잎의 강모는 엽병과 상면 주맥, 하면 전체에 다소 많고 엽연 전체에 산생한다 -------- 길마가지나무        - 잎의 강모는 엽병에는 거의 없고, 상면과 하면은 맥을 중심으로 분포하며 엽연에는      중하부 이하에만 나타난다. ------------------------------------.. 2011. 1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