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12. 13.
산형과 화서에는 벌레집이 잘 생겨서 그걸 열매로 오해를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산형과 중에서도 특히 기름나물 화서를 보면 특별하게 굵은 혹같은 벌레집이 많이 생기는 걸 자주 목격하는데.
아래 사진 속의 화서에 둥근 열매처럼 생긴 게 바로 벌레집이다.
<기름나물> 2012. 9. 22. 전남. 더 보기 : http://blog.daum.net/qweenbee/8892709
강원도 석회암 지역에 주로 서식을 하는 가는기름나물 열매 중간에도 혹 모양의 벌레집이 보인다.
<가는기름나물 열매> 2012. 9. 15. 강원도. 더보기 : http://blog.daum.net/qweenbee/8892680
같은 산형과의 참나물속 열매를 보면 이렇게 매끈하고 둥글게 부풀어 올라서 마치 벌레집처럼 보일 수가 있다
벌레집이 아니란 걸 확인하기 위하여 내 자료의 참나물속 참나물과 한라참나물 열매를 중심으로
큰참나물속 큰참나물과 속리참나물속 대마참나물도 함께 살펴 보면서 참나물속 열매를 검토하게 되었다.
<참나물속> 녀석들의 열매에 대한 도감의 내용을 보면
참나물 열매는 분과로 편평한 타원형이며 길이 2-3mm, 폭 1.5-2mm이고 털이 없다.
한라참나물 열매는 분과로 광타원형이고 녹색으로 익거나, 붉은 빛이 돌면서 익는다. 과실의 횡단면은 원형이고 13-17개의 유관이 존재한다.
가는참나물은 열매는 분과로 넓은 타원형이며 털이 없다.
노루참나물 열매는 분과로 좁은 난형이며 길이 2.5-3mm로서 겉은 밋밋하고 털이 없다고 기록되어 있다.
큰참나물과 그 근연 분류군에 대한 검색표를 살펴 보면 참나물속 분과는 거의 구형으로 접합면이 좁다고 한다
( 한국식물분류학회지. 2008. 38-4호.)
1. 분과는 반구형이거나 납작하며 그 접합면이 넓다 2. 배륵은 날개형이다 3. 분과는 크기가 다르고 비대칭이며 늑선은 분과마다 3~4개이다............큰참나물 3. 분과는 크기가 같고 대칭이며 늑선은 분과마다 5개이다......................Cymopterus 2. 배륵은 돌출형이다. 4. 악치(꽃받침)은 뚜렷하고 숙존하며 과피는 단층이다........................묏미나리속 4. 악치는 퇴화했거나 불분명하고 과피는 다층이다 5. 분과는 강하게 배면으로 압착한다.............................................바디나물속 5. 분과는 약하게 배면으로 압착한다.............................................대마참나물 1. 분과는 거의 구형이며 접합면이 좁다......................................................참나물속 |
아래의 사진은 내 블러그에 정리되어 있는 참나물속의 참나물과 한라참나물 열매로
두 녀석 모두 난상 구형에 가까운 모습으로 성숙하여 있다.
이렇게 부풀어 오른 모양을 보고 위의 2장에서 관찰되는 기름나물 벌레집과 같은 벌레집으로 오해를 할 수도 있다.
<한라참나물> 2010. 10. 16. 제주. 더보기 : http://blog.daum.net/qweenbee/8890978
참나물 또한 위 한라참나물과 같은 열매 형태이다.
열매 위에 2개의 암술이 보이고 난상 반달 같은 구형의 열매 2개가 배를 마주대고 얕게 붙어 있는 형상이다.
2개가 완전하게 잘 성숙된 것도 있고 그 중에 한쪽이 왜소하게 작은 녀석도 보이고
아예 한 쪽이 성숙하지 못하고 한 쪽만 성숙된 열매도 많이 보인다.
<참나물 열매> 2012. 10. 6. 덕유산. 더보기 : http://blog.daum.net/qweenbee/8892829
참나물이란 이름을 가진 큰참나물은 참나물속이 아닌 <큰참나물속>으로 위의 참나물속이랑 열매 모양이 다른데
납작한 타원형이며 배면에 낮은 능선이 3개 있고 가장자리에 넓고 얇은 날개가 있어서 참나물속 타원형 열매와 확연하게 차이가 있다.
그래서 별도의 속을 혼자서 가지고 있는 것이겠지만.
큰참나물 열매는 아래처럼 깊게 골이 지고 넓은 날개를 가지고 있다.
큰참나물도 역시 2개의 암술이 보이는데 2개의 분과 접합면이 넓게 압착되어 있어서 하나인 것 처럼 보인다
<큰참나물 열매>
또 다른 <속리참나물속>의 대마참나물 열매도 같은 분과이며 분과병에 의해 2개가 대칭으로 달린다.
분과의 횡단 모양은 마름모 형태의 오각형이다. 분과의 늑선은 배륵이 3개 측륵이 2개로 5개의 약간 돌출된 늑선 형태로 발달하였다.
(식물분류학회지. 대마참나물의 분류학적 재검토. 2007. 37-4권. )
이 녀석도 2개의 분과가 마주하고 있는데 분과 접합면이 넓다.
<대마참나물 열매> 2012. 10. 22. 남도. 더보기 : http://blog.daum.net/qweenbee/8892872
내가 담아온 참나물 열매를 모아 보면 아래와 같이 확연하게 비교가 된다.
<참나물속>인 한라참나물과 참나물의 열매가 비슷한 형태이고
<큰참나물속>의 큰참나물은 배륵이 넓은 날개형으로 발달되어 있으며,
<속리참나물속>의 대마참나물은 타원형의 열매에 늑선이 얕게 돌출되어 있다.
참나물(참나물속) |
한라참나물(참나물속) |
큰참나물(큰참나물속) |
대마참나물(속리참나물속) |
일반적으로 산형과 분과 열매를 보면 얕거나 넓은 날개가 있거나
갯수의 차이는 있지만 늑선이 있거나 그 늑이 도드라지거나 늑과 늑 사이가 얕거나 깊게 패인 모양을 많이 하고 있다.
헌데 위에서 살펴 보았듯이 참나물속 열매에는 공통적으로 열매가 편평하거나 밋밋하고 털이 없으며
타원형 혹은 난형 구형, 원형의 횡단면으로 기록이 되어 있다.
참나물속 열매에 주름이나 늑, 혹은 날개가 있다거나 털이 있거나 거칠다는 내용이 없다.
아래의 사진에서 보듯이 참나물속인 참나물과 한라참나물 두 열매 모두
털이 없이 매끈하고 한쪽으로 둥글게 부풀어 오른 구형에 가까운 모습을 하고 있다.
<한라참나물> 2010. 10. 16. 제주.
<참나물 열매> 2012. 10. 6. 덕유산.
나는 이 통통한 열매를 산형화서 중에서 자방이 제대로 성숙한 열매로 본다.
(참나물과 한라참나물, 큰참나물, 대마참나물 모두 꽃받침 아래 자방이 형성되는 자방하위이다.)
위와 아래에 제시한 한라참나물 열매 사진을 유심히 살펴 보면
열매가 달리지 않고 아예 자방이 없이 꽃받침만 남아 있는 소화경이 있는가 하면,
성숙하지 못한 녹색의 어린 작은 열매가 있는 녀석,
녹색이나 옅은 자색 기운이 있고 반달 모양으로 부풀어 양쪽으로 붙어 있는 녀석, 두 쪽 중에 한 쪽만 부풀어 있는 녀석 등 다양하다.
<한라참나물 열매 > 2011. 10. 16. 제주
참나물 열매도 한라참나물과 같은 점이 관찰된다.
열매를 달고 있지 않은 부분을 자세하게 살펴 보면 화경 끝에 암술이 달린 꽃받침만 남아 있고 자방 자체가 애초부터 형성되어 있지 않다
더듬이 같은 암술이 달려 있고 양쪽 분과가 정상적으로 잘 성숙한 것, 한쪽이 미성숙하여 왜소한 것, 한 쪽만 성숙한 것도 함께 보인다.
늦은 10월 남도에서 만났던 대마참나물 녀석은 한 개체 내에서도 개화 시기에 많은 시차가 나타난다.
열매가 성숙한 화서가 있는가 하면 마악 꽃잎이 시들고 있는 화서도 있다.
위의 참나물과 한라참나물 처럼 하나의 화서 안에서도 열매가 성숙한 녀석, 미성숙한 녀석, 자방조차 없는 녀석이 함께 섞여 있다.
<대마참나물 열매> 2012. 10. 21. 남도. 더보기 : http://blog.daum.net/qweenbee/8892872
그러면 한라참나물이나 참나물, 대마참나물의 화서에 자방조차 없는 꽃은 왜 그럴까?
지난 여름 산형과 사상자속을 정리하다가 다른 사상자 녀석들과는 달리 긴사상자의 경우
하나의 작은산형화서 속에 자방을 가지지 않은 녀석들이 있길래 이상타 하여 확인한 적이 있는데
몇 개의 도감을 살펴도 이에 대한 답을 얻을 수가 없었더랬다
마지막에 이우철 도감에서 수꽃과 양성화가 섞여 난다고 하는 설명을 보고는 그 의문이 해결된 적이 있었다.
작은 산형화서에 10여 개의 꽃이 있었지만 열매는 4~5개 정도만 달린 이유가 나머지는 모두 수꽃이었기 때문이었다.
<긴사상자> 2012. 5. 25. 안동. 더보기 : http://blog.daum.net/qweenbee/8891858
참나물 화서의 자방이 없는 소화경에 대한 궁금증 때문에 잠시 긴사상자의 화서를 살펴 보았는데
위의 참나물속 두 녀석과 대마참나물의 열매가 달린 그림을 보면 이미 언급했 듯이 자방 있는 녀석과 없는 녀석이 보이고
그 자방이 완전하게 결실된 녀석과 반쪽만 결실된 녀석들이 보인다.
그렇다면 참나물속 작은 산형화서 꽃차례 구성도 긴사상자처럼 수꽃의 역할을 하는 꽃이 있지 않을까 하는 의문이 들게 된다.
화질이 선명하지 못하지만 아래의 사진에서 미성숙 열매를 보면
2개의 갈라진 암술이 더듬이처럼 보이고 반달 모양의 분과 열매가 양쪽으로 마주 붙어서 마치 무당벌레 모양을 하고 있다
아래 그림의 화서에서 미성숙한 열매조차 없는 것은 긴사상자의 수꽃처럼 결국 수꽃의 구실만 하는 녀석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다.
산형과 열매에 대한 설명을 보면 배륵과 측륵 사이 유관이 있다는 내용을 접하게 된다.
종에 따라 그 유관의 수가 달라서 그 유관으로도 종을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고 한다
평소에 산형과 분과 열매에 존재하는 유관이 어떤 것일까 궁금했는데 아직 확인을 하지 못하고 있었더랬다
이번에 참나물속 열매의 벌레집에 대한 의문 때문에 열매를 자세하게 들여다 보다가 그 유관에 대한 궁금증이 해결되는 것 같다
아래 그림을 자세히 보면 열매 표면에 녹색의 줄이 여러 개 보인다. 참나물 열매에도 유관으로 추정이 되는 여러 개의 짙은 색 줄이 보인다
한라참나물의 열매에는 13-17개의 유관이 존재한다 고 한다. 혹시 이 줄이 유관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갑자기 드는 것이다.
<한라참나물> 2010. 10. 16. 제주.
아무튼 다시 열매 형태로 돌아 와서
한라참나물과 참나물 열매 사진을 보면 두 쪽이 함께 결실되는 경우보다
대부분 그 중 한 쪽만 크게 성숙하여서 가운데 부분 쪽으로 휘어진 형태로 부풀어 오른 모양을 하고 있다.
한쪽만 결실하는 경우의 원인은 영양 공급이나 수정 여부 그 왜 다른 요인이 있지 않을까 추정이 된다
10월과 11월에 담은 이 매끈하고 둥글게 성숙한 열매를 벌레집이라 한다면 제대로 여문 열매는 어디에 있을까?
혹시나 이와 다른 열매 이미지가 있는가 싶어서 여기 저기 찾아 봐도
내 자료와 같은 이런 모양 이외의 참나물과 한라참나물 열매 이미지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더 정확한 확인이 필요해서 한국야생식물종자은행의 종자 사진을 찾아 보았다.
그림 복사나 스크랩이 안 되어서 주소를 기재한다
참나물 종자 : http://www.seedbank.re.kr/detail.php?seed=2322
가는참나물 종자 : http://www.seedbank.re.kr/detail.php?seed=2324
이 사이트의 참나물속 열매는 참나물 열매와 가는참나물 열매 자료 이외에 다른 참나물 열매는 아직 자료가 없는 것 같다
위 주소의 종자 사진을 보면 표면이 쭈글쭈글하지만 열매의 형태는 내 자료의 열매 모양과 같다.
종자 은행에 게시된 종자 모습은 마주보는 2개의 분과 열매가 건조되어 분리된 모습이다.
암술을 더듬이처럼 달고 2개의 분과가 마주보는 모습으로 마치 무당벌레처럼 생긴 분과 열매가
건조해지면 한 개의 암술에 원통형 반달 모양의 분과 열매로 갈라지게 된 것이다.
표면이 쭈글쭈글한 것은 건조된 상태이기 때문에 말라서 생긴 주름으로 짐작할 수 있다.
마르지 않은 싱싱한 참나물 열매의 표면을 보면 바탕보다 짙은 선이 여러 개 나 있는 것이 보인다.
그 선이 유관이 아닐까 하고 위에서 언급을 하였는데
아마 열매가 건조하면서 그 선을 중심으로 주름처럼 쭈글쭈글한 표면이 잡히는 것 같다
아무튼 참나물과 한라참나물의 열매 자료라고 올려둔 것을 벌레집으로 볼 수도 있을 것 같아서
산형과 참나물속과 그 근연종을 중심으로 열매를 살펴보았는데 결론은 벌레집이 아닌 열매라는 것이다.
남은 일 하나는 덕유산에서 받아온 참나물 열매를 찾아서 잘라보고 속을 들여다 보는 일만 남은 것 같다.
참나물속 열매 살피기 : http://blog.daum.net/qweenbee/8892975
참나물 : http://blog.daum.net/qweenbee/8892418 http://blog.daum.net/qweenbee/8886510
http://blog.daum.net/qweenbee/8892005 http://blog.daum.net/qweenbee/8888782
http://blog.daum.net/qweenbee/8894449 http://blog.daum.net/qweenbee/8894473
http://blog.daum.net/qweenbee/8896452 http://blog.daum.net/qweenbee/8896509
참나물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2829 http://blog.daum.net/qweenbee/8894450
큰참나물 : http://blog.daum.net/qweenbee/8892827 http://blog.daum.net/qweenbee/8896172
http://blog.daum.net/qweenbee/8896508 http://blog.daum.net/qweenbee/8898102
http://blog.daum.net/qweenbee/8898102
큰참나물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2828 http://blog.daum.net/qweenbee/8896520
큰참나물 신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90127 http://blog.daum.net/qweenbee/8891899
http://blog.daum.net/qweenbee/8899687
그늘참나물 : http://blog.daum.net/qweenbee/8892006 http://blog.daum.net/qweenbee/8892419
http://blog.daum.net/qweenbee/8894451 http://blog.daum.net/qweenbee/8895846
http://blog.daum.net/qweenbee/8896453
대마참나물 : http://blog.daum.net/qweenbee/8892571 http://blog.daum.net/qweenbee/8892452
http://blog.daum.net/qweenbee/8886693 http://blog.daum.net/qweenbee/8892216
http://blog.daum.net/qweenbee/8888658 http://blog.daum.net/qweenbee/8894035
http://blog.daum.net/qweenbee/8899662
대마참나물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2872
대마참나물 어린싹 : http://blog.daum.net/qweenbee/8899664 http://blog.daum.net/qweenbee/8901026
한라참나물 : http://blog.daum.net/qweenbee/8896638 http://blog.daum.net/qweenbee/8898342
한라참나물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9225 http://blog.daum.net/qweenbee/8890978
http://blog.daum.net/qweenbee/8901812
한라참나물 종자 : http://blog.daum.net/qweenbee/8898499 http://blog.daum.net/qweenbee/8901812
'들꽃공부방 > 식물공부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별꽃 폐쇄화 열매도 제 기능을 다할까? (0) | 2013.06.23 |
---|---|
동백나무겨우살이 꽃 (0) | 2013.01.31 |
개싹눈바꽃(미나리아재비과) (0) | 2012.10.11 |
그 녀석은 참줄바꽃일까=>선덩굴바꽃(놋젓가락나물) (0) | 2012.09.17 |
눈빛승마(미나리아재비과) 암과 수꽃 (0) | 2012.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