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공부방501

갈퀴덩굴속(검은개선갈퀴/개선갈퀴) 갈퀴덩굴속-정금선.pdf  잎 줄기 열매 꽃색 개선갈퀴 6윤생엽, 좁은 장타원형끝이 둥글고 주맥 끝에 돌기가 돌출하는 미철두 능선 위에 밑을 향한 고부라진 가시 갈고리 모양의 긴 가시 밀생 백색 검은개선갈퀴 6윤생엽. 좁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하반부 너비가 가장 넓고  위쪽이 좁아져서 끝이 뾰족한 예두(점첨두) 가시 없음 갈고리 모양의 털 밀생 백색   A. 강모형: 갈퀴덩굴, 가는네잎갈퀴, 산갈퀴, 개선갈퀴, 큰잎갈퀴, 흰갈퀴B. 무모형: 좀네잎갈퀴,네잎갈퀴, 두메갈퀴, 털둥근갈퀴, 검은개선갈퀴, 긴잎갈퀴, 민둥갈퀴, 애기솔나물C. 연모형: 네잎갈퀴, 흰솔나물, 솔나물 (긴잎갈퀴, 민둥갈퀴)     A. 점첨두형: 민둥갈퀴B. 예두형: 좀네잎갈퀴, 두메갈퀴, 산갈퀴, 검은개선갈퀴, 긴잎갈퀴C. 미철.. 2016. 8. 11.
산박하(꿀풀과 산박하속) 새싹 2016. 5. 21. 항상 헷갈리는 꿀풀과 신초이다. 자생환경에 따라 약간씩 달라 보이니 헷갈릴 수 밖에 파리풀 : http://blog.daum.net/qweenbee/8888647 http://blog.daum.net/qweenbee/8886251 http://blog.daum.net/qweenbee/8898269 http://blog.daum.net/qweenbee/8898812 파리풀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900546 파리풀 새싹 : http://blog.daum.net/qweenbee/8892181 http://blog.daum.net/qweenbee/8901178 산박하/오리방풀/방아풀/자주방아풀 비교 : http://blog.daum.net/qwe.. 2016. 6. 1.
쥐손이풀속 새싹 2016. 5. 1. 강원도. 놋젓가락나물 새싹과 섞여 있는데 뭔가 좀 달라 보인다 잎을 하나 뜯어 보니 털이 없는 놋젓가락에 비하여 잎 뒷면과 잎자루에 털이 많다. 자세히 보면 잎의 갈라짐도 놋젓가락보다 둔하다. 이질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750 https://qweenbee.tistory.com/8890668 https://qweenbee.tistory.com/8889027 https://qweenbee.tistory.com/8896348 이질풀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6837 https://qweenbee.tistory.com/8908618 선이질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4.. 2016. 5. 12.
가는장대/장대나물/장대냉이 2016. 4. 19. 이름이 엉겨 있어서 봄철 헷갈리는 녀석이다. 1. 가는장대 잎이 가늘고 꽃이 연한 자색을 띠고 있어서 무 꽃을 보는 느낌이다. 가는장대 어린 싹 2. 장대나물 전초가 끈끈이대나물 비슷한 느낌을 주는데 잎 아래가 줄기를 싸고 있고 꽃을 보잘 것 없다 장대나물 어린 싹 3. 장대냉이 전초에 별모양의 털이 많고 연자색 자잘한 꽃이 피고 꽃술이 길다 장대냉이 어린 싹 : 잎 양면어 별모양 혹은 Y자 모양으로 갈라진 털이 많다 바위장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68 https://qweenbee.tistory.com/8910710 (대설산) 바위장대 변종 : https://qweenbee.tistory.com/8887881 갯장대 : https://q.. 2016. 4. 19.
오리나무/물오리나무/사방오리나무/덤불오리나무 비교 2016. 3. 30. 국내 자생하는 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에는 오리나무, 물오리나무,사방오리나무, 좀사방오리나무, 두메오리나무, 덤불오리나무 등이 이다. 설악산에서 자생한다는 덤불오리나무는 아직 대면하지 못하였다. 그 중에서 자료가 확보된 녀석으로 비교 자료를 만들어 본다 (2022. 1.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두메오리나무가 덤불오리나무의 이명으로 처리가 되어 수정한다) 오리나무 물오리나무 사방오리나무 덤불오리나무 오리나무의 꽃과 열매가 물오리나무보다 작다. 오리나무 물오리나무 사방오리나무 덤불오리나무 오리나무 물오리나무 사방오리나무 덤불오리나무 오리나무: 세로로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물오리나무 : 매끈하고 평활하다 사방오리나무 : 비늘처럼 얇게 갈라진다. 덤불오리나무: 오리나무 꽃 : https://qwee.. 2016. 3. 29.
열매가 익으려면 2년이 걸린다 며칠 전 세종시의 한 수목원을 방문한 적이 있는데 대왕참나무 아래를 서성거리다가 겨울눈을 담아 왔다. 자료를 정리하려고 원본을 확인하는데 겨울눈 사이에 어린 열매가 눈에 들어 오는 것이었다. 하~! 대왕참나무 열매도 2년 만에 익는 경우였던 걸 이번에야 확인하게 되었다. 수목의.. 2016. 3. 14.
털민들레/흰노랑민들레/흰민들레/붉은씨서양민들레/서양민들레/산민들레/좀민들레/나도민들레 비교 2011. 4. 15. 민들레 Taraxacum platycarpum -일본고유종 털민들레 Taraxacum mongolicum =>2024. 1. 국명이 로 수정 고시 흰털민들레 Taraxacum platypecidum 흰민들레 Taraxacum coreanum 좀민들레 Taraxacum hallaisanense -한국특산종 산민들레 Taraxacum ohwianum 흰노랑민들레 Taraxacum coreanum var. flavescens Kitam=>흰민들레의 이명으로 처리 서양민들레 Taraxacum officinale 영도민들레 Taraxacum formosanum Kitam =>2024. 1. 5. 종으로 승격 고시 붉은씨서양민들레 Taraxacum laevigatum Andrz. ex Bes.. 2015. 12. 24.
층층이꽃/산층층이/두메층층이/탑꽃/애기탑꽃 비교 제대로 살피지 않던 탑꽃속 녀석들을 정리한다  잎 모양잎 기부 잎 길이잎자루 줄기화서 간격소포꽃색, 길이꽃받침 털층층이꽃난형, 좁은난형, 양면 털, 선점 없음원형3~7cm 2~20mm 잔털거리가 있다꽃자루보다 길다홍자색,8~9mm퍼진털산층층이난형,양면 털,  좁은난형원형3~7cm 2~20mm 잔털 거리가 있다꽃자루보다 길다담홍,흰색,6~7m퍼진털 샘털두메층층이 좁은난형, 난형,양면 긴털, 뒷면 뚜렷한 선점원형,약간심형 3~5cm 5~20mm아래 향한 털거의 열결된다꽃자루보다 짧다 담자색, 5~6mm 긴털과 샘털애기탑꽃넓은난형,난원형털 없음, 선점 없음원형1~3cm 8~15mm 잔털거의 열결된다꽃자루보다 짧다담홍자색,5mm맥위 짧은털탑꽃난형, 긴난형,뒷면 옅은 선점쐐기형,원형1.5~5cm 고불거리 털엽액,.. 2015. 12. 7.
수송나물/나래수송나물 Salsola komarovii Iljin/Salsola tragus L. 수송나물 : Salsola komarovii Iljin날수송나물 : Salsola tragus L. 수송나물   나래수송나물 : 닭벼슬 모양의 인편 날개가 발달한다.  수송나물 종자 나래수송나물 종자      수송나물 (꽃)  나래수송나물(열매)  호모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1039   https://qweenbee.tistory.com/8891038 https://qweenbee.tistory.com/8909432 (꽃)호모초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8570호모초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8469호모초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1129 꼬.. 2015. 11. 19.
나도미국외풀(현삼과 밭둑외풀속) 2015. 8. 12. 안동. 댐 수변 물이 빠진 곳에 습지 식물이 밭을 일구고 있다그 사이 외풀 종류도 보이는데 미국외풀인 것 같기도 한데,얕은 톱니가 2~3개 있고 엽저가 더 넓고 잎자루가 없다. 미국외풀은 아니고, 밭둑도 아니다.  꽃잎 아랫순판에 자반이 있는 점 무늬가 있다.  꽃자루가 잎 길이와 거의 같거나 짧은 모습이다     엽저가 더 넓고 뚜렷한 3~5개의 맥과  2-3쌍의 거치가 보이고 잎자루는 없다.잎가장자리에 희미한 톱니가 있거나 없다.  꽃받침 열편이 끝까지 갈라져 있고 열매 길이와 같다.열매는 타원형이며 꽃자루 길이의 변이가 크다    외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15    https://qweenbee.tistory.com/8901605 .. 2015. 11. 3.
실제비쑥(국화과 제비쑥속) 살피기 2015. 9. 24. 경북. 안동, 의성, 군위에 이르기까지 실제비쑥이 눈에 많이 띈다. 이 녀석은 제비쑥의 변종으로 신초 때부터 잎의 좁고 가늘게 갈라진다. 줄기 중간 부위와 화서에 가까운 경생엽은 아마도 쑥속 중에서는 가장 가늘지 싶은데 두화 또한 제비쑥과 사철쑥에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작다. 실제비쑥 : 지름 1mm 길이 1.5mm 제비쑥 : 지름 1.5mm 줄기잎의 열편이다. 얼핏 사철쑥으로 보여지기도 하지만 잎 갈림이 다르다. 화서를 맺지 않은 줄기 끝의 잎이다. 비쑥??: https://qweenbee.tistory.com/8892956 https://qweenbee.tistory.com/8892953 https://qweenbee.tistory.com/8890178 https://qwe.. 2015. 10. 8.
실제비쑥/제비쑥 비교 2015. 9. 24. 내 사는 곳 건조하고 메마른 야트막한 산에서 제비쑥의 변종인 실제비쑥을 만날 수 있다. 논문에 의하면 실제비쑥은 경북과 경남 지역에 분포 한다고 한다 3년 전 처음 이 녀석을 만날 때 유난스레 잎이 가는 녀석이라 신기해서 눈이 가던 녀석인데 이 녀석 꽃 또한 먼지처럼 작은 모습을 하고 있었다. 더러 줄기 잎이 가늘게 갈라진 제비쑥을 만나며 실제비쑥인가 헷갈리는 경우가 있는데 꽃의 크기에서 약간 차이가 난다. 아래는 안동 지역의 제비쑥과 실제비쑥을 비교 해 본 모습이다. 비쑥??: https://qweenbee.tistory.com/8892956 https://qweenbee.tistory.com/8892953 https://qweenbee.tistory.com/8890178 htt.. 2015. 9.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