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907 백두산식물-진들검정사초 (사초과 검정사초절) Carex meyeriana Kunth 2025. 6. 8. 중국 황송포. 현지에서 큰검정사초란 이름이 거론되었는데 그런 국명은 없다.검정사초절은 맞는 것 같은데 확인해 보니 진들검정사초의 이명으로 처리가 되어 있다. 2025. 6. 20. 백두산식물 -선토끼풀(콩과 토끼풀속) Trifolium hybridum L. 2025. 6. 10. 중국 이도백하 숙소 주변. 아침 시산 탐사를 하는데 너지 한 쪽에 선토끼풀이 무더기를 이루고 있다.서아시아 및 유럽 원산으로 우리나라에도 유입되어 있는 녀석이다. 작은잎 3장으로 된 겹잎으로 작은잎은 가장자리에 가시 모양의 톱니가 있다. 탁엽은 피침형으로 길이 3~5cm, 끝이 꼬리처럼 길다. 꽃은 5~9월에 담홍색으로 피는데 줄기 윗부분 또는 잎겨드랑이에서 난 길이 5~7cm 꽃줄기에 20~30개가 모여 두상꽃차례로 핀다. 토끼풀에 비하여 줄기가 직립하고 가지 끝 또는 잎겨드랑이에서 짧은 꽃자루가 있는 머리모양꽃차례가 줄기 위쪽과 잎겨드랑이에 2~3개가 난다. 탁엽 애기노랑토끼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025 https://qwe.. 2025. 6. 20. 토끼풀 (콩과 토끼풀속) Trifolium repens L. 2025. 6. 동네. 토끼풀 한 무더기가 어떤 이유인지 모르지만 모두 꽃잎을 펼치지 않았다.다른 개체들은 정상적으로 꽃을 피웠는데 말이다. 폐쇄화라 그랬더니 그게 왜 폐쇄하냐고? 그런다.바이러스나 충령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봐야한다고..... 정상적으로 꽃을 피운 녀석 애기노랑토끼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025 https://qweenbee.tistory.com/8891230https://qweenbee.tistory.com/8893411 https://qweenbee.tistory.com/8893803https://qweenbee.tistory.com/8895420 https://qweenbee.tistory.com/8910296 https.. 2025. 6. 20. 애기노랑토끼풀(콩과 토끼풀속) Trifolium dubium Sibth. 2025. 5. 8. 제주. 꽃이 시들어도 화피가 벗겨지지 않은 채 결실한다. 애기노랑토끼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025 https://qweenbee.tistory.com/8891230https://qweenbee.tistory.com/8893411 https://qweenbee.tistory.com/8893803https://qweenbee.tistory.com/8895420 https://qweenbee.tistory.com/8910296 https://qweenbee.tistory.com/8912134 노랑토끼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9431 https://qweenbee.tistory.com/.. 2025. 6. 20. 구실잣밤나무(참나무과 모밀잣밤나무속) Castanopsis sieboldii (Makino) Hatus. ex T. Yamaz. & Mashiba 2025. 5. 8.. 제주. 5월의 제주 계곡은 구실잣밤나무 비릿한 꽃내음으로 온통 누렇다. 암꽃과 수꽃 암꽃은 내년에 열매가 익는다. 수꽃 구실잣밤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41 hhttps://qweenbee.tistory.com/8893782https://qweenbee.tistory.com/8895791 https://qweenbee.tistory.com/8897600https://qweenbee.tistory.com/8897716 https://qweenbee.tistory.com/8899379 https://qweenbee.tistory.com/8901827 https://qweenbee.tistory.com/8902.. 2025. 6. 20. 백두산식물-왕별꽃(석죽과 별꽃속) Stellaria radians L. 2025. 6. 11. 화룡. 큰솔나리를 담는다고 위험한 절벽을 오르는 걸 보면 다들 용감하다. 내몽골에서 큰솔나리 산사태를 만날 정도로 바위산 비탈에서 꽃멀미를 한 나는 멀리서 당겨서 몇 장 찍고 만다. 대신 하천 옆 풀밭에서 왕별꽃을 찾았다. 5장의 꽃잎이 빗살처럼 5~7갈래로 깊게 갈라져 있고 잎과 줄기에 누운털이 있다. 산지 풀밭이나 강가에서 자라며, 뿌리줄기가 가늘고 길게 뻗는다. 전체에 누운털이 드물게 있다한반도 북부지방에 자생하며, 러시아, 중국, 일본 등에 분포한다. 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7591 https://qweenbee.tistory.com/8889504https://qweenbee.tistory.com/8891440 h.. 2025. 6. 20. 백두산식물 -큰별꽃(석죽과 별꽃속) Stellaria bungeana Fenzl 2025. 6. 10. 내두산. 2019년 이 곳에서 꽃이 큰 이 녀석을 처음 만나서 정체를 찾느라고 한참 헤멨던 녀석이다.별꽃속 녀석을 점나도나물속에서 찾다가 허탕치고 결국 별꽃속에서 큰별꽃이란 녀석을 찾은 것이다.올해도 내두산 도로변에서 한 무리를 찾아서 알려주었더니 너도 나도 촬영에 열심이다. 왕벌꽃 정도로 꽃이 크지만 2개로 갈라진 5장의 꽃잎을 가진 전형적인 별꽃속 꽃 형태를 가지고 있다.줄기가 꼿꼿하게 자라다가 위쪽에서 가지를 많이 쳐서 풍성해 진다. 꽃자루, 꽃받침, 잎, 줄기 등 전초에 선모가 많다.평북, 함남북에 나며 일본, 만주, 사할린, 동시베리아에 분포한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난상 장타원형으로 길이 4~8㎝, 너비 2~3㎝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연모가 있다.양면 주맥에 종종.. 2025. 6. 20. 백두산식물-긴잎별꽃(석죽과 별꽃속) Stellaria longifolia Muhl. ex Willd. 2025. 6. 10. 이도백하. 공원. 지난해 5월 초순ㅇ에는 마악 개화가 시작한 모습을 보고 왔는데올해 6월 중순에는 개화가 절정이라 충분하게 관찰할 수가 있었다.이 번에는 줄기의 까슬거리는 돌기털과 잎 뒷면 백 위의 까슬거리는 돌기까지 확인을 하였다..원줄기의 능선 위에 미세한 돌기가 있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엽병이 없으며 선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1.5~2.5㎝, 폭 1.5~2.5㎜로서 비스듬히 서고 양면에 털이 없다. 꽃은 7~8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자라는 꽃자루 끝에 취산꽃차례로서 1개씩 달리며 꽃자루는 길이 2~6㎝로서 꽃이 핀 다음 굽고 밋밋하다. 화피 열편은 달걀 모양이며 털이 없고 희미한 3맥이 있으며 길이 2.5~3㎜로서 꽃잎보다 다소 짧고 꽃잎은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중국.. 2025. 6. 20. 백두산식물 - 실별꽃이 아닐까? 아니면 다른 녀석일까? 2025. 6. 7. 화룡. 긴잎별꽃이 아닐까 했는데, 짧은 꽃받침과 매끈한 줄기는 오히려 실별꽃 쪽이다..2019년 이 곳에서 녀석을 발견하고 촬영한 자료를 실별꽃으로 정리해 두었는데..... 국내 사이트의 기재문을 정리한 것이다 높이줄기잎꽃실별꽃 20~30cm모여나고 네모지며 털이 없다선형, 길이 2~3cm, 폭 1~2mm앞면에서 가운데 잎맥 다소 들어가고 뒷면에서는 두드러진다꽃잎은 꽃받침보다 1.5~2배 길다 소화경은 길이 2~5cm.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거나 여러 개가 모여 취산꽃차례 긴잎별꽃20~40cm4개의 능선이 있으며 그 위에 아주 작은 돌기가 있어 다소 거칠다선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1.5~2.5cm,폭 1.5~2.5mm 꽃받침과 길이가 같거나 약간 길다. 잎겨드랑이에서 자라는.. 2025. 6. 20. 백두산식물 -민솜대(백합과 두루미꽃속) Maianthemum dahuricum (Turcz. ex Fisch. & C.A.Mey.) LaFrankie 2025. 6. 11. 내두산. 진펄현호색 열매를 보러 들렀지만 거의 다 사그러지고 잎도 누렇게 변해서 생을 마감한 상태라.주변을 뒤지다가 민솜대 몇 포기 꽃이 핀 걸 찾았다. 풀솜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097 http://blog.daum.net/qweenbee/8888097https://qweenbee.tistory.com/8887922 https://qweenbee.tistory.com/8891735https://qweenbee.tistory.com/8891917 https://qweenbee.tistory.com/8903486https://qweenbee.tistory.com/8899950 https://qweenbee.ti.. 2025. 6. 19. 백두산식물-별사초(사초속 산사초절) Carex tenuiflora Wahlenb. 2025. 6. 8. 황송포. 자잘한 사초 소수에 꽂혀서 시간 가는 줄 몰랐다.한반도 중부 이북의 아고산 습지에 자생한다. 2025. 6. 19. 백두산식물 -풍선난초 Calypso bulbosa (L.) Oakes 2025. 5. 9. 백두산 언저리. 이른 새벽부터 숲을 뒤지느라 분주하다.두 포기가 나란히 서 있는 풍선난초 앞에 빛이 들어오길 기다린다면서 카메라를 세팅해 놓고 꼼짝하지 않는 일행이 있었다. 나는 빛이 없어도 아무 상관 없다고 말했는데, 그 말인 즉슨 빛이 안 들어 올 때 좀 비켜 주면 몇 장 찍겠다는 말이었다.그런데도 옆에서 찍으라는 말에 어이가 없었는데 (본인은 딱 적당한 위치를 차지하고 빛 들어 오길 기다리고 있으면서 다른 사람은 대충 옆에서 찍으라는 것이다.) 한참을 옆에 서서 기다리자 그래도 잠깐 카메라를 옮겨주어서 두어 장 촬영은 했다. 개화한 모델이 별로 많지 않아서 다들 몰려들어 버리니까 참 난감한 상황인데 조금씩 배려해서 촬영하면 얼마나 좋을까만. 2025. 6. 19. 백두산식물-댕댕이나무(인동과 인동속) Lonicera caerulea L. 2025. 6. 8. 백두산 언저리. 개들쭉나무로 분류되어 있었더랬는데 댕댕이나무의 이명으로 처리가 되어 버렸다. 구슬댕댕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8223 https://qweenbee.tistory.com/8892104 https://qweenbee.tistory.com/8892105구슬댕댕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9101 https://qweenbee.tistory.com/8887087 https://qweenbee.tistory.com/8886532 https://qweenbee.tistory.com/8892755https://qweenbee.tist.. 2025. 6. 19. 백두산식물-중삿갓사초(사초속 중삿갓사초절) Carex tuminensis Kom. 2025. 6. 8. 중국 길림성. 숙소 주변 물통이에서 만난 녀석이다. 백두산 두만강 유역에 분포하고 있는 사초라고 한다.모든 포엽에서 2~4개의 소수가 나와서 한 개의 줄기에 10~30개의 많은 소수가 달린다. 만나기 어려운 귀한 녀석을 만난 것 같다. 한 마디에서 여러개의 화경이 나온다. 2025. 6. 19. 백두산식물-산사초(사초속 산사초절) Carex canescens L. 2025. 6. 8. 중국 황송포. 자인편이 갈색인 큰산사초가 북부지방 습지에서 자란다. 2025. 6. 19.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1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