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929 백두산식물 -선주름잎(현삼과 주름잎속) Mazus stachydifolius (Turcz.) Maxim. 2025. 6. 7. 중국 화룡. 화룐 작은 산에서 나오다가 다시 찾아낸 두포기의 선주름잎이다. 일반적으로 가지가 많이 발생하는데 한 녀석은 원줄기만 꼿꼿하게 자라고 있는 모습도 보여주었다. 주름잎 : https://qweenbee.tistory.com/8898814 https://qweenbee.tistory.com/8902527 https://qweenbee.tistory.com/8905647주름잎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0411흰색 주름잎 : https://qweenbee.tistory.com/8893657 https://qweenbee.tistory.com/8900419 https://qweenbee... 2025. 6. 17. 누운주름잎(현삼과 주름잎속) Mazus miquelii Makino 2025. 5. 16. 서해섬. 대청지치가 보여서 밭 가장자리를 뒤져 보다가 누운주름잎을 발견하고 깜짝 놀럈다.우리나라에서도 흔하지 않은 녀석이라 아직 만나보지 못한 녀석이라 더 반가웠는데,,줄기는 꽃이 진 다음 밑에서 기는줄기가 사방으로 뻗어 번식한다. 꽃대 높이는 5~10㎝ 정도이다. 잎이 군생한다. 잎은 거꿀달걀 모양, 타원형 또는 넓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둔하며 엽병과 더불어 길이 4~7㎝, 너비 1~1.5㎝로서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엽병은 윗부분에 날개가 있으며 벋어가는 줄기의 잎은 엽병이 짧고 길이 1.5~2.5㎝이다. 꽃은 5~8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줄기 상부에 순형의 꽃이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꽃차례에 털이 있고 꽃자루는 꽃받침보다 길다. 꽃받침은 길이 7~10㎜로서 5개로 .. 2025. 6. 17. 백두산식물 -산개갈퀴(꼭두서니과 갈퀴덩굴속) Galium platygalium (Maxim.) Pobed. 2025. 6. 7. 중국 화룡. 2019년 이 곳에서 처음 만나서 정체를 찾으려고 자료를 찾다가넓은긴잎가퀴의 기재문과 거의 같아서 그리 정리해 두었는데 현재 넓은긴잎갈퀴는 긴잎갈퀴의 이명으로 처리가 되어 있다. 현장에서 산개갈퀴란 ㄱ박사의 이야기에 돌아와서 국내의 생물자원관과 수목원 사이트를 검색해 보니 학명만 등록되어 있고 기재문도 이미지도 전혀 없다.결국 구글과 큐의 이미지를 확인해보니 산개갈퀴 Galium platygalium (Maxim.) Pobed. 와 같은 이미지가 검색이 된다. 중국식물지의 번역허브, 다년생, 얇은 기는 뿌리 줄기에서. 줄기는 직립하고 높이는 20-35cm이며 4 개의 두꺼운 능각도이 있으며 마디는 매끄럽고 광택이 있거나 흉측합니다. 잎은 4 (-6)의 소용돌이, subs.. 2025. 6. 17. 백두산식물 - 복주머니란/얼치기복주머니란/노랑복주머니란 2025. 6. 7. 연길 회룡. 국내에서 보던 붉은색의 복주머니란은 보이지 않고 얼치기복주머니란만 몇 군데 보인다.2019년에 한번 와 봤다는 기억이 있는데 군락은 그대로 있기는 한데 규모가 많이 줄어든 것 같다. 다른 장소의 복주머니 군락이 있던 얕은 산지는 사유지 개발로 인하여 거의 사라져 버렸다고 한다.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복주머니란 속에 등록되어 있는 분류군으로 광릉요강꽃 Cypripedium japonicum Thunb. 광릉요강꽃 노랑복주머니란 Cypripedium calceolus L. 노랑복주머니란 복주머니란 Cypripedium macranthos Sw. 복주머니란 산서복주머니란 Cypripedium shanxiense S.C.Chen 산서복주머니란 양머리복주머니란 Cypripedium.. 2025. 6. 16. 백두산식물 -선주름잎(현삼과 주름잎속) Mazus stachydifolius (Turcz.) Maxim. 2025. 6. 7.백두산.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이 녀석을 언젠가 만나겠지 했었는데 이번 백두 탐사에서 반가운 첫 만남을 하였다. 국내에서도 서해안 쪽에 몇 포기가 있다는 소식이 있었지만 금방 사라졌다기에 아쉬웠더랬는데,다른 어느 녀석보다 더 반가웠다. 산으로 오르는 숲 길에 있던 녀석은 앞서 가던 사람들의 발길에 밟혀서 흙 투성이가 되어 버린 걸 발견하여서 겨우 겨우 살려 놓았다.전초 크기가 생각보다 많이 컸고, 줄기와 잎에 센 털이 밀생하여 거친 느낌을 주었다. 5~6월에 연한 보라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서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줄기에 긴 백색털이 퍼져 있다. 줄기잎은 마주나거나 어긋나며, 잎자루는 없다.잎몸은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2~7cm, 폭 5~20mm, 가장자리는 고르지 않은 .. 2025. 6. 15. 백두산식물 - 연변족도리풀??(쥐방울덩굴과 족도리풀속) Asarum yeonbyeonense M. Kim & S. So 2025. 6. 7. 화룡. 이번에 화룡에서 만난 족도리풀 한 녀석을 두고 이러쿵 저러쿵 이야기들이 있었다.금오족도리네, 만주족도리네 의견분분 했지만 이 녀석은 꽃받침 열편이 정삼각상이고 꽃받침 기부에 흰색 원형고리 띠가 안 보여서 두 녀석과는 거리가 있었다. 꽃의 형태는 연변족도리와 일치하니 결국 소순구가 발표한 연변족도리풀로 봐야한다고 결론을 내리긴 했는데....문제는 이 녀석의 잎 양면에는 털이 거의 안보이고 잎가장자리에 털이 약하게 있고, 잎자루에 털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녀석은 잎자루에 털이 없고 꽃받침 열편 가장자리에 녹색을 띠고 있다.연변과 녹연변의 두 가지 특징을 함께 가지고 있는데 중간형으로 보인다. 족도리풀속의 1신종: 연변족도리풀(Asarum yeonbyeonense.. 2025. 6. 15. 미국타래사초(괭이사초아속 미국타래사초절) Carex muehlenbergii Willd. var. enervis Boott 2025. 6. 6. 경남. 왼쪽의 녀석은 또 다른 녀석으로 관찰 중이다. 오른쪽 미국타래사초 미국타래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12098 https://qweenbee.tistory.com/8912107미국타래사초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12102 타래사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95693 http://blog.daum.net/qweenbee/8888321http://blog.daum.net/qweenbee/8897762 https://blog.daum.net/qweenbee/8907255 https://blog.daum.net/qweenbee/890.. 2025. 6. 14. 백두산 탐사 출국 6월7일-12일 5박 6일동안 중국 연변과 백두산 야생화 탐사를 위하여 출국 대기 중이다 다녀온 후 하루 쉬고 소청도 식물상 조사하러 또 출발.뒤이어 21일 몽골 식물탐사하러 출국해야한다. 그러면 6월이 다 간다 2025. 6. 7. 천문동(백합과 비짜루속) 열매 Asparagus cochinchinensis (Lour.) Merr. 2024. 10. 7. 님도. 남도의 섬은 조사하는 중에 해안 습지에서 만난 천문동.막 올챙이가 나올 것 같은 하얀 개구리알 처럼 여문 천문동 열매가 가득이다. 천문동은 암그루 만나기가 쉽지 않은데 용케도 열매 가득 달고 있는 녀석을 만났다.주변 물체에 의지하여 길게 줄기를 감아 올리고 잎이 퇴화한 가시가 있다.잎 처럼 보이는 것은 가지이다. 천문동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76 https://qweenbee.tistory.com/8896023https://qweenbee.tistory.com/8896873 https://qweenbee.tistory.com/8897760https://qweenbee.tistory.com/8901126 htt.. 2025. 6. 6. 미국타래사초(괭이사초아속 미국타래사초절) 종자 Carex muehlenbergii Willd. var. enervis Boott 2025. 6. 5. 표본 촬영한다고 줄기를 잘라와서는 몇 날을 미루어 두었다가 이제사 카메라를 들었다. 미국타래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12098 https://qweenbee.tistory.com/8912107미국타래사초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12102 타래사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95693 http://blog.daum.net/qweenbee/8888321http://blog.daum.net/qweenbee/8897762 https://blog.daum.net/qweenbee/8907255 https://blog.daum.net/qweenb.. 2025. 6. 6. 작은비사초 결실기 Carex brevior (Dewey) Mack. ex Lunell 2025. 5. 30. 경남. 한달 후 2차 조사.결실기에 어떻게 변했을까 굴금했던 사초 몇 녀석 중 하나.한석은 확실히 아니다. 작은비사초로 최종 동정 확인한다 작은비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12100 https://qweenbee.tistory.com/8912101 한석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9009한석사초 수과 : https://qweenbee.tistory.com/8909008 2025. 6. 6. 작은비사초 개화기 Carex brevior (Dewey) Mack. ex Lunell 2025. 5. 20. 경남. 한석사초와 많이 닮았다 싶어서 확인해 보니 한석과는 다르다.작은비사초로 올려 놓은 걸 보니 그 녀석 같기도 한데.......작은비사초로 최종 확인했다 작은비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12100 https://qweenbee.tistory.com/8912101 한석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9009한석사초 수과 : https://qweenbee.tistory.com/8909008 2025. 6. 6. 창골무꽃(꿀풀과 골무꽃속) Scutellaria barbata D.Don 2025. 5. 31. 경남. 반지련으로 불리며 약재로 재배하던 녀석인데 재배종이나 귀화식물에 등록되어 있지 않고 자생식물에 기록되어 있다. 골무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04 https://qweenbee.tistory.com/8897674 https://qweenbee.tistory.com/8901071 https://qweenbee.tistory.com/8905733골무꽃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0729 https://qweenbee.tistory.com/8905372 떡잎골무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740 https://qween.. 2025. 6. 6. 미국타래사초(괭이사초아속 미국타래사초절) Carex muehlenbergii Willd. var. enervis Boott 2025. 5. 30. 경남. 타래사초와는 다른데 어떤 녀석일까 궁금했던 녀석은 미국타래사초로 동정이 끝났다.달포 전 조사 때 몇 포기 보였는데 결실기로 넘어가니 여기 저기 제법 여러 개체가 눈에 띈다. 2025. 5. 2. 개화기 미국타래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12098미국타래사초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12102 타래사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95693 http://blog.daum.net/qweenbee/8888321http://blog.daum.net/qweenbee/8897762 https://blog.daum.net/qweenbee/89.. 2025. 6. 6. 흰꼬리사초(사초속 흰꼬리사초절) Carex brownii Tuck. 2025. 5. 30. 경남 사지포. 사지포 식물상 조사 중에 만난 녀석. 자소수 포의 까락이 길다. 화살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8868 긴화살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8869 흰꼬리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8948 https://qweenbee.tistory.com/8908949(수과) https://qweenbee.tistory.com/8911972 https://qweenbee.tistory.com/8912097 2025. 6. 6. 이전 1 ··· 34 35 36 37 38 39 40 ··· 17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