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884

몽골식물 - 피뿌리풀(팥꽃나무과 피뿌리풀속) Stellera chamaejasme L. 2025. 6. 21-28. 몽골. 몽골 흡수굴로 가는 길이나 테를지 주변에서 만나는 피뿌리풀은한국인들에게는 매우 감동적이고 만나보고 싶은 야생화 중 하나이다.오래 전에 제주도에서 한 두포기 감질나게 나타나곤 했지만 지금은 그 마저도 다 납치가 되어 사라져 버렸으니남의 나라에서 만나는 피뿌리풀의 반가움이야 오죽이나 하겠는가 싶다. 몽골의 피뿌리풀 군락은 동북부지역이 더 풍성하고 내몽골이 더 대군락이다.내몽골과 동북부 몽골에서 만났던 대군락애 비하여 다소 빈약하지만 이 정도로도 한국 야생화메니아들은 반색을 한다. 테를지국립공원에서 2025. 6. 22. 저 멀리 우기노르 호수가 가물거리는 거리에 나타났다, 2025. 6. 23. 피뿌리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79.. 2025. 7. 4.
몽골식물- 마르타곤백합(백합과 백합속) Lilium martagon L. 2025. 6. 26. 몽골. 이범 탐사에서 세 군데 숲에서 녀석을 만났다. 땅나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8485 https://qweenbee.tistory.com/8888486https://qweenbee.tistory.com/8896122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2https://qweenbee.tistory.com/8896123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9https://qweenbee.tistory.com/8897863 https://qweenbee.tistory.com/8897897https://qweenbee.tistory.com/8897948 http.. 2025. 7. 3.
백두산식물-날개하늘나리 Lilium pensylvanicum Ker Gawl. 2025. 6. 10. 중국 이도백하. 봉오리가 많이 보이는 게 날개하늘나리다. 헌데 30분 만 시간을 준다기에 맘이 급해서 바쁘 움직이다 보니 꽃이 핀 걸 보지 못하고나중에서야 핀 녀석이 있다는 전갈에 부랴부랴 녀석을 찾았다. 땅나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8485 https://qweenbee.tistory.com/8888486https://qweenbee.tistory.com/8896122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2https://qweenbee.tistory.com/8896123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9https://qweenbee.tistory.com/889786.. 2025. 7. 3.
몽골식물- 모노스페르마마황(마황과 마황속)phedra monosperma J.G.Gmel. ex C.A.Mey. 2025. 6. 23. 몽골. 엘슨타스라이 호수 2023.년에 막화 된 사구 지역에서 속새 줄기를 닮은 녀석이 나무 등걸에 붙어 있는 게 신가했던 녀석이다.돌아와서 검색하다가 마황이라는 걸 알고 꽃과 열매를 보고싶어 하였더랬는데,바위산 바위 틈에서 붉은 열매를 대면하고 어찌나 반갑던지. 바위산위에 큰솔나리가 있다고 하길래 올라가지 않으려고 했었는데,(작년 내몽골에서 큰솔나리를 질릴 정도로 봤기에)산 위에서 마황이다 하는 소리에 언제 그랬냐는 듯이 잽싸게 올랐다. 건조한 바위 틈에 속새같은 잎 위에 빨간 열매를 달고 있는 모습이 어찌나 귀엽던지... 중국 북동부,중남부, 중북부, 내몽골 지역과, 연해주 몽골 일대가 원산지인 ephedra monosperma은 상록 관목으로 주로 건조한 지역에서 잘 자란다... 2025. 6. 30.
몽골 탐사 시작 6월21일 부터 28일까지 몽골식물 탐사 시작한다11시 10분에 울란바토르 공항 도착먼저 테를지국립공원으로 출발 2025. 6. 21.
백두산식물 -우수리꽃다지(베추과 꽃다지속) 2025. 6. 9. 북백두. 이른 아침 새벽을 틈타서 비밀 특공대처럼 움직인 탐사에서 만난 우수리꽃다지다.우수리꽃다지는 2015년에 보고된 꽃다지속 녀석이다. 구름꽃다지 : 줄기에 짧은털이 밀생하고 잎에도 털이 있으며 식물체에는 전체에 짧은털이 많다. 6-14개의 잎이 달리고, 다소 달라붙어 있다.우수리꽃다지 : 줄기 위쪽과 화경이 무모이거나 털이 약간 있고 경엽의 수가 1~4개이다. 구름꽃다지에 비하여 전초가 약간 더 크다 꽃다지 : https://qweenbee.tistory.com/8893213 https://qweenbee.tistory.com/8889577https://qweenbee.tistory.com/8887580 https://qweenbee.tistory.com/.. 2025. 6. 20.
백두산식물 - 새둥지란(난초과 새둥지란속) Neottia papilligera Schltr. 2025. 6. 10. 중국 내두산. 홍산무엽란이라 부르던 녀석이다.모두가 숲에 퍼져서 욘석을 찾느라고 뒤지고 다녔는데 결국 대장이 찾아내었다. 새둥지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91994 https://qweenbee.tistory.com/8912138새둥지란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0549 https://qweenbee.tistory.com/8912139 한라새둥지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95774 2025. 6. 20.
백두산식물 - 새둥지란(난초과 새둥지란속) 열매 Neottia papilligera Schltr. 2025. 6. 10. 내두산. 작년의 흔적이 아직도 남아 있다. 새둥지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91994 https://qweenbee.tistory.com/8912138새둥지란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0549 https://qweenbee.tistory.com/8912139 한라새둥지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95774 2025. 6. 20.
백두산식물-진들검정사초 (사초과 검정사초절) Carex meyeriana Kunth 2025. 6. 8. 중국 황송포. 현지에서 큰검정사초란 이름이 거론되었는데 그런 국명은 없다.검정사초절은 맞는 것 같은데 확인해 보니 진들검정사초의 이명으로 처리가 되어 있다. 2025. 6. 20.
백두산식물 -선토끼풀(콩과 토끼풀속) Trifolium hybridum L. 2025. 6. 10. 중국 이도백하 숙소 주변. 아침 시산 탐사를 하는데 너지 한 쪽에 선토끼풀이 무더기를 이루고 있다.서아시아 및 유럽 원산으로 우리나라에도 유입되어 있는 녀석이다. 작은잎 3장으로 된 겹잎으로 작은잎은 가장자리에 가시 모양의 톱니가 있다. 탁엽은 피침형으로 길이 3~5cm, 끝이 꼬리처럼 길다. 꽃은 5~9월에 담홍색으로 피는데 줄기 윗부분 또는 잎겨드랑이에서 난 길이 5~7cm 꽃줄기에 20~30개가 모여 두상꽃차례로 핀다. 토끼풀에 비하여 줄기가 직립하고 가지 끝 또는 잎겨드랑이에서 짧은 꽃자루가 있는 머리모양꽃차례가 줄기 위쪽과 잎겨드랑이에 2~3개가 난다. 탁엽 애기노랑토끼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025 https://qwe.. 2025. 6. 20.
토끼풀 (콩과 토끼풀속) Trifolium repens L. 2025. 6. 동네. 토끼풀 한 무더기가 어떤 이유인지 모르지만 모두 꽃잎을 펼치지 않았다.다른 개체들은 정상적으로 꽃을 피웠는데 말이다. 폐쇄화라 그랬더니 그게 왜 폐쇄하냐고? 그런다.바이러스나 충령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봐야한다고..... 정상적으로 꽃을 피운 녀석 애기노랑토끼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025 https://qweenbee.tistory.com/8891230https://qweenbee.tistory.com/8893411 https://qweenbee.tistory.com/8893803https://qweenbee.tistory.com/8895420 https://qweenbee.tistory.com/8910296 https.. 2025. 6. 20.
애기노랑토끼풀(콩과 토끼풀속) Trifolium dubium Sibth. 2025. 5. 8. 제주. 꽃이 시들어도 화피가 벗겨지지 않은 채 결실한다. 애기노랑토끼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025 https://qweenbee.tistory.com/8891230https://qweenbee.tistory.com/8893411 https://qweenbee.tistory.com/8893803https://qweenbee.tistory.com/8895420 https://qweenbee.tistory.com/8910296 https://qweenbee.tistory.com/8912134 노랑토끼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9431 https://qweenbee.tistory.com/.. 2025. 6. 20.
구실잣밤나무(참나무과 모밀잣밤나무속) Castanopsis sieboldii (Makino) Hatus. ex T. Yamaz. & Mashiba 2025. 5. 8.. 제주. 5월의 제주 계곡은 구실잣밤나무 비릿한 꽃내음으로 온통 누렇다. 암꽃과 수꽃 암꽃은 내년에 열매가 익는다. 수꽃 구실잣밤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41 hhttps://qweenbee.tistory.com/8893782https://qweenbee.tistory.com/8895791 https://qweenbee.tistory.com/8897600https://qweenbee.tistory.com/8897716 https://qweenbee.tistory.com/8899379 https://qweenbee.tistory.com/8901827 https://qweenbee.tistory.com/8902.. 2025. 6. 20.
백두산식물-왕별꽃(석죽과 별꽃속) Stellaria radians L. 2025. 6. 11. 화룡. 큰솔나리를 담는다고 위험한 절벽을 오르는 걸 보면 다들 용감하다. 내몽골에서 큰솔나리 산사태를 만날 정도로 바위산 비탈에서 꽃멀미를 한 나는 멀리서 당겨서 몇 장 찍고 만다. 대신 하천 옆 풀밭에서 왕별꽃을 찾았다. 5장의 꽃잎이 빗살처럼 5~7갈래로 깊게 갈라져 있고 잎과 줄기에 누운털이 있다. 산지 풀밭이나 강가에서 자라며, 뿌리줄기가 가늘고 길게 뻗는다. 전체에 누운털이 드물게 있다한반도 북부지방에 자생하며, 러시아, 중국, 일본 등에 분포한다. 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7591 https://qweenbee.tistory.com/8889504https://qweenbee.tistory.com/8891440 h.. 2025. 6. 20.
백두산식물 -큰별꽃(석죽과 별꽃속) Stellaria bungeana Fenzl 2025. 6. 10. 내두산. 2019년 이 곳에서 꽃이 큰 이 녀석을 처음 만나서 정체를 찾느라고 한참 헤멨던 녀석이다.별꽃속 녀석을 점나도나물속에서 찾다가 허탕치고 결국 별꽃속에서 큰별꽃이란 녀석을 찾은 것이다.올해도 내두산 도로변에서 한 무리를 찾아서 알려주었더니 너도 나도 촬영에 열심이다. 왕벌꽃 정도로 꽃이 크지만 2개로 갈라진 5장의 꽃잎을 가진 전형적인 별꽃속 꽃 형태를 가지고 있다.줄기가 꼿꼿하게 자라다가 위쪽에서 가지를 많이 쳐서 풍성해 진다. 꽃자루, 꽃받침, 잎, 줄기 등 전초에 선모가 많다.평북, 함남북에 나며 일본, 만주, 사할린, 동시베리아에 분포한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난상 장타원형으로 길이 4~8㎝, 너비 2~3㎝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연모가 있다.양면 주맥에 종종.. 2025. 6.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