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884

흰꼬리사초(사초속 흰꼬리사초절) Carex brownii Tuck. 2025. 5. 30. 경남 사지포. 사지포 식물상 조사 중에 만난 녀석. 자소수 포의 까락이 길다. 화살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8868 긴화살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8869 흰꼬리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8948 https://qweenbee.tistory.com/8908949(수과) https://qweenbee.tistory.com/8911972 https://qweenbee.tistory.com/8912097 2025. 6. 6.
아그배나무(장미과 사과나무속) Malus toringo (Siebold) Siebold ex de Vriese 2025. 5. 11. 제주. 팥배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844 https://qweenbee.tistory.com/8888235 https://qweenbee.tistory.com/8893698 https://qweenbee.tistory.com/8905306 https://qweenbee.tistory.com/8900245팥배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9219 https://qweenbee.tistory.com/8887089 https://qweenbee.tistory.com/8891214 https://qweenbee.ti.. 2025. 6. 6.
눈범꼬리(마디풀과 범꼬리속) Bistorta suffulta (Maxim.) Greene ex H.Gross 2025. 5. 11. 제주. 제주조릿대가 산지 숲 가장자리를 점령하여서 눈범꼬리 녀석이 제대로 살지를 못하고 밀려나고 있다. 범꼬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6077 https://qweenbee.tistory.com/8888354 https://qweenbee.tistory.com/8888254 https://qweenbee.tistory.com/8890294 https://qweenbee.tistory.com/8892107 https://qweenbee.tistory.com/8905744범꼬리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1687 눈범꼬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7.. 2025. 6. 6.
솔비나무(콩과 다릅나무속)새순 Maackia fauriei (H.Lév.) Takeda 2025. 5. 11. 제주. 제주도에서만 볼 수 있는 다릅나무속 녀석이다.새순이 올라오는 모습이 사실 꽃보다 더 이쁘다. 고삼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0411 https://qweenbee.tistory.com/8903007https://qweenbee.tistory.com/8897907 https://qweenbee.tistory.com/8903007 https://qweenbee.tistory.com/8903007 https://qweenbee.tistory.com/8902905 https://qweenbee.tistory.com/8904930고삼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8917 https://.. 2025. 6. 6.
점박이천남성(천남성과 천남성속) Arisaema serratum (Thunb.) Schott 2025. 5. 11. 제주.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천남성과 녀석이다.작은잎 5~10장을 가진 2개의 잎이 나고 줄기부와 잎자루에 자색 또는 자갈색의 얼룩무늬가 있다. 2025. 6. 6.
얇은잎고광나무(수국과 고광나무속) Philadelphus tenuifolius Rupr. & Maxim. 2025. 5. 21. 경북.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고광나무속 녀석은 모두 얇은잎고광나무라는 사실은 이미 10년도 더 전에 확인이 된 사실이다.고광나무는 잎이 더 두껍고 암술대 기부와 화반에 털이 많은데 비하여 얇은잎고광나무는 털이 없다. 현재 남한에 분포하는 녀석들은 화반과 암술대에 털이 없는 얇은잎고광나무이다.그 동안 고광나무로 오동정이 되어 있었던 것이다. 얇은잎고광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3750 https://qweenbee.tistory.com/8890230 https://qweenbee.tistory.com/8895664 https://qweenbee.tistory.com/8901077https://qweenbee.tistory.com/890.. 2025. 6. 6.
덧나무(인동과 딱총나무속) Sambucus racemosa L. subsp. sieboldiana (Blume ex Miq.) H.Hara 2025. 5. 11. 제주. 제주도와 남해의 섬에 분포한다.잎은 마주나기 하며 홀수깃꼴겹잎이고, 소엽은 2~4쌍이며 거꿀피침형이고 점첨두 또는 첨두. 꽃 길이 3~4㎜로 연한 황백색이고 깊게 5개로 갈라지며, 수술이 5개이고 암술은 1개이며 암술머리는 붉은색이고 꽃대는 길고, 입상의 돌기가 있다. 말오줌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7520 https://qweenbee.tistory.com/8902226https://qweenbee.tistory.com/8903723 https://qweenbee.tistory.com/8908767 https://qweenbee.tistory.com/8910982 https://qweenbee.tistor.. 2025. 6. 6.
만첩빈도리(수국과 말발도리속) Deutzia crenata Siebold & Zucc. 2025. 6. 3. 도청. 수변천 산책하는 중에 만첩빈도리가 화사하게 핀 것을 만났다.지금은 그냥 빈도리 이명으로 처리가 되어 있다. 물참대 : https://qweenbee.tistory.com/8885942 https://qweenbee.tistory.com/8889955 https://qweenbee.tistory.com/8888023 https://qweenbee.tistory.com/8891881 https://qweenbee.tistory.com/8892012 https://qweenbee.tistory.com/8895823 https://qweenbee.tistory.com/8900923 https:.. 2025. 6. 6.
말발도리(범의귀과 말발도리속) Deutzia parviflora Bunge 2025. 5. 21. 경북. 말발도리 : 꽃 가운데가 짙은 노란색이고 수술대가 사각이 지며 잎 양면에 성모가 많아서 파삭거린다.물참대는 : 꽃 가운데가 밝은 노란색이고 수술대는 긴 삼각상이며 잎양면에 털이 없다. 물참대 : https://qweenbee.tistory.com/8885942 https://qweenbee.tistory.com/8889955 https://qweenbee.tistory.com/8888023 https://qweenbee.tistory.com/8891881 https://qweenbee.tistory.com/8892012 https://qweenbee.tistory.com/8895823 h.. 2025. 6. 5.
이삭사초(사초속 왕비늘사초절) Carex dimorpholepis Steud. 2025. 6. 2. 도청. 천년숲 연못 주변과 수변천 물도랑에 한창 열매가 주렁주렁이다. 이삭사초 : 정소수가 자웅성이다.참삿갓사초 : 정소수가 웅자성, 또는 웅성이다 이삭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7829 https://qweenbee.tistory.com/8887995 https://qweenbee.tistory.com/8897829 https://qweenbee.tistory.com/8897835 https://qweenbee.tistory.com/8908849 https://qweenbee.tistory.com/8908941 https://qweenbee... 2025. 6. 5.
산겨이삭(벼과 겨이삭속) Agrostis clavata Trin. 2025. 6. 4. 동네숲. 겨이삭 : https://qweenbee.tistory.com/8907226 https://qweenbee.tistory.com/8907325 https://qweenbee.tistory.com/8907329 https://qweenbee.tistory.com/8907503 산겨이삭 : https://qweenbee.tistory.com/8907217 https://qweenbee.tistory.com/8907327 https://qweenbee.tistory.com/8907328 https://qweenbee.tistory.com/8908036 https://qweenbee.tisto.. 2025. 6. 5.
속털개밀(벼과 갯보리속) Elymus ciliaris (Trin. ex Bunge) Tzvelev 2025. 6. 3. 천년 숲. 포영과 호영에 털이 무척 많고 포영 2개의 크기가 비슷하며 호영보다 내영의 길이가 짧다.결실기가 되면 까락이 옆으로 꺽여 젖힌다. 포영 2개 2025. 5. 13. 인천 개밀 : https://qweenbee.tistory.com/8907144 https://qweenbee.tistory.com/8906549 https://qweenbee.tistory.com/8907314 https://qweenbee.tistory.com/8907502 https://qweenbee.tistory.com/8912083 여름개밀 : https://qweenbee.tistory.com/8906469 https://qwee.. 2025. 6. 4.
김의털(벼과 김의털속) Festuca ovina L. 2025. 6. 4. 도청 숲. 황톳길 맨발 걷기하는 산책로를 따라 김의털이 회청색 분위기를 내면서 실처럼 가느다란 잎을 뭉쳐서 보여준다.양지바른 무덤 주변에서도 흔하게 만나는 녀석이다. 호영은 5개의 맥이 있고, 3.5~4.5mm이며, 짧은 까락이 있다 제1포영은 길이 2~3mm이고, 제2포영은 3~4mm이다. 김의털 : https://qweenbee.tistory.com/8897764 https://qweenbee.tistory.com/8895642 https://qweenbee.tistory.com/8907097 https://qweenbee.tistory.com/8907332 https://qweenbee.tistory.com/8907.. 2025. 6. 4.
김의털아재비(벼과 김의털아재비속) Festuca parvigluma Steud. 2025. 5. 6. 4. 도청 숲. 이른 시각에 카메라를 목에 걸었다. 황토길을 걸으면서 이 녀석을 제대로 촬영해야했기 때문이다.화서의 가지가 길고 가느다란 화서의 가지가 듬성하고 개방화서로 가지 중간 이상에 소수가 달린다.결실기에는 화서가 응축되어서 다른 모습을 하여 혼란을 준다. 김의털 : https://qweenbee.tistory.com/8897764 https://qweenbee.tistory.com/8895642 https://qweenbee.tistory.com/8907097 https://qweenbee.tistory.com/8907332 https://qweenbee.tistory.com/8907403 https://qwe.. 2025. 6. 4.
봄망초(국화과 개망초속) Erigeron philadelphicus L. 2025. 5. 13. 인천. 개망초보다 설상화가 무척 많으며 엽저가 줄기를 감싸고 줄기 속이 비어 있는 특징이 있다. 망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87402 https://qweenbee.tistory.com/8887209 https://qweenbee.tistory.com/8898368 https://qweenbee.tistory.com/8896356https://qweenbee.tistory.com/8905868 https://qweenbee.tistory.com/8901416https://qweenbee.tistory.com/8903140 망초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3289 .. 2025. 6.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