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905 애기황새냉이(십자화과) 2010. 3. 27. 경산. 먼 남녘에 까지 와서 황새냉이를 담는 내도 차암~! 한심하다. 근데 이 궁금쟁이 기질은 버리지 못하겠는데 워쩌누. 꽃은 피는 때가 있어서 시기를 놓쳐버리면 자료로서 가치가 없어져 버린다. 그래서 나는 1. 보이는 건 모두 담는다. 2. 보이는 즉시 담는다는 걸 꼭 염두에 둔다. 이따가 담아야지 하고 두었다가 다른 길로 가 버리거나 너무 늦어서 황망히 자리를 뜨다보면 결국 담지 못하고 온 경우가 있기 때문에 보이는 즉시 담는다는 게 여왕벌 탐사 원칙이다. 애기황새냉이는 황새냉이보다 전초가 작고 꽃도 더 작다. 일년 동안 4~5회 싹이 터 자라고 진다 황새냉이 : http://blog.daum.net/qweenbee/8900827 큰황새냉이 : http://blog.daum.n.. 2010. 3. 31. 3월 30일(28일째) 화욜 3월 30일(28일째) 화욜 어제부터 썸머타임 1시간 적용되었는데도 아침 다섯 시(어제시간으로 네 시)에 기상하여 멜 확인하고 출근 준비다. 내 몸에 있는 생물시계는 자꾸 앞으로 거꾸로 돌려놓아도 잘도 돌아간다.― 역쉬 우리 엄마가 만든 아주 훌륭한 명작품(ㅎㅎ)인데- 지중해관으로 출근, 쥔장은 어.. 2010. 3. 31. 회양목(회양목과) 2010. 3. 28. 회양목 나무에 꿀벌이 들락날락 하기에 들여다 보니 꽃이 피었다. 이 녀석 열매가 벌어지면 꼭 부엉이 같이 생겼다. 작년에 담은 올빼미 삼형제다. 회양목 암꽃 수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89547 http://blog.daum.net/qweenbee/8887592 http://blog.daum.net/qweenbee/8887583 http://blog.daum.net/qweenbee/8.. 2010. 3. 30. 산수유(층층나무과) 2010. 3. 30. 학교. 꽃눈이 모자를 벗긴 했는데 꽃술이 아직 안 터진다. 이 녀석 추위에 단단히 겁 먹었다 보다. 크~! 꿀벌은 아직 찾아주지 않고 파리 녀석이 오후 햇살을 즐기고 있다. 2010. 3. 30. 3월 29일(27일째) 월욜 관공서 가는 날. 3월 29일(27일째) 월욜 관공서 가는 날. 새벽 다섯 시에 일어나 꼭두새벽부터 수선을 떤다. 비자를 받기 위해 가는 관공서(외국인 관청, 한국의 외무부와 비슷한)는 한국이든 독일이든 똑같은가 보다(한국에서 독일대사관을 찾아서 한참을 기다린 기억이 있음). 대~충 씻고 새벽 별을 보며 다섯 시 반에 .. 2010. 3. 30. 꽃다지(십자화과) 2010. 3. 29. 연 이틀 볕이 따습더니만 냉이와 꽃다지가 이제사 기운을 차리고 하얗게 노랗게 꽃을 피워댄다. 어릴 적 꽃다지를 발음 때문에 그랬는지는 몰라도 코따대기라고 불렀다. 이 녀석은 냉이를 캘 때 가끔씩 따라와서 국이나 나물로 끓여 먹기도 했다. 열매에 털이 없는 녀석이 있는데 민꽃다지라고도 한단다. 꽃다지 : https://qweenbee.tistory.com/8893213 https://qweenbee.tistory.com/8889577 https://qweenbee.tistory.com/8887580 https://qweenbee.tistory.com/8887481 https://qweenbee.tistory.com/8895400 https://qweenbee.tistory.com/8.. 2010. 3. 29. 냉이(십자화과) 2010. 2. 29. 학교 앞 밭둑에 냉이 꽃이 하얗게 피고 있다. 얼마 전 퇴근하면서 캔 냉이를 양념을 묻혀 냉이 무침을 했더니 뿌리가 달큰한 맛이 돌면서 향이 얼마나 나던지... 2010. 3. 29. 돌단풍(범의귀과) 2010. 3. 28. 동강할미꽃도 마찬가지지만 물기 하나 없는 바위 틈에 뿌리 박고 어떻게 꽃을 피우는지. 생명의 신비가 경이롭다. 2010. 3. 29. 동강고랭이(사초과) 2010. 3. 28. 정선. 동강 할미와 이웃하여 동강 바위 벼랑에 살고 있는 녀석이다. 동강고랭이 입네, 정선황새풀입네 이름 때문에 내는 아직도 헷갈린다. 인터넷을 뒤져 봐도 이러쿵 저러쿵 설들이 많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도 국가표준식물목록에도 없다. 대한식물도감(이창복)에는 정선황새풀(S.. 2010. 3. 29. 처녀치마(백합과) 2010. 3. 28. 동강할매가 사는 곳 가까이 고개 마루 길섶에 처녀치마가 치맛폭을 펼치고 있다. 변덕스런 춘삼월 날씨에 동강할매 개화가 늦었으니 처녀도 당연히 꽃피지 못하였을거라 짐작했는데 생각보다 보라색 꽃색이 완연하다. 꽃잎을 펼친 녀석도 보인다. 동강 산마루 처녀는 동강할매의 외손녀일.. 2010. 3. 29. 애기감둥사초 2010. 3. 28. 동강할미가 사는 강변 바위틈 돌나들에 까맣게 꽃이삭 피우고 있는 녀석, 애기감둥사초로 동정이 되었단다. 누군지 몰라도 참 이름 잘 지었다. 꽃이삭이 올라올 때는 깜둥강아지 꼬리 같다. 사초속의 일반적인 꽃 구조로 보아서 위쪽 누른 색이 수꽃이고 바로 아래 흰 꽃술이 암꽃이다. <애.. 2010. 3. 29. 3월 27일(25일째) 토욜 3월 27일(25일째) 토욜 게난 오널이 고장피는 춘삼월 스무일뤘날(음력으론 이월 열이튼날) 매날 새백이(요슷시) 일어낭 공책이영 놀아난 행실머리가 이셔노난 여기선 노는 날이주마는 그시가 되난 일어난 안장 무신 쇠뿔이영 몰발콥 달믄 걸로 맹근 비료가 있짼 고라난 것도 튼내곡, 호썰 아라 보구적도.. 2010. 3. 29. 새포아풀(벼과 포아풀속) 2010. 3. 27. 쇠뿔현호색을 담고 나서 주차장 빈터 옆에서 쭈그리고 앉아 냉이랑, 개별꽃을 담고 있는데 어느새 새포아풀도 꽃을 피우고 있다. 새포아풀 : http://blog.daum.net/qweenbee/8887573 http://blog.daum.net/qweenbee/8900625 blog.daum.net/qweenbee/8906750 2010. 3. 29. 동강할미꽃(미나리아재비과)3 2010. 3. 28. ㄱㅇㄹ 뼝대는 아직 찬바람만 휘이 강변을 휘젓고 있었다. 작년보다 2주일이나 늦었지만 딱 한 개체만 개화하고 아직 꽃봉오리도 그리 부풀어 있지도 않았다. 동강할미 축제를 한다고 여기 저기 현수막이 걸려 있는데 아마 그 때 쯤이면 할미들이 분홍 저고리 곱게 피어 나지 않을까 싶다. 2010. 3. 28. 동강할미꽃(미나리아재비과) 2 2010. 3. 28. 동강할미는 동강 주변 석회암 바위벽에 서식하는 한국 특산식물로 많이 남채되어서 보호가 시급하다고 한다. 동강할미꽃을 자생지 주변에 많이 복원을 하고 있다는데 몰지각한 사람들은 그걸 파가 버린다고 하니...참 한심하다. 다행히 작년에 가보지 못했던 다른 한 곳에 들렀더니 강변에 .. 2010. 3. 28. 이전 1 ··· 1623 1624 1625 1626 1627 1628 1629 ··· 17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