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905

이스라지(장미과) Prunus nakaii H. Lév. 2010. 4. 29. 출근길 퇴근하는 길에 흘낏 이스라지가 핀 것 같아서 담아야겠다고 생각하고 깜빡했다.아침 출근 길에 차를 세우고 산에 오르니 이제 막 피기 시작하고 있었다.5월이 다가오니 장미과 나무 꽃들이 개화가 시작되도 있다. 그런데 산이스라지인지는 모르겠다.맨눈으로 암술대 털을 확인해 볼 수도 없고...시간 여유가 있을 때 이 녀석 해부해 봐야겠다. 이스라지 :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달걀 모양 타원형 이거나 긴 타원형이다. 잎 뒷면 맥 위에 잔털이 나고가장자리에 잔 겹톱니가 있다.소화경은 길이1.7-2.2cm 정도로서 털이 없거나 있고, 꽃받침통은 잔털이 있거나 없으며,꽃받침잎은 타원형으로 잔톱니와 더불어 잔털이 있다.꽃잎은 타원형 또는 긴 난형이고 수술이 꽃잎보다.. 2010. 4. 28.
길마가지나무(인동과) 2010. 4. 24. 제주. 경북 북부지방에서는 길마가지를 구경할 수가 없다. 남방바람꽃을 보려고 오름 근처에 차를 주차하는데 옆에 길마가지나무가 있다고 일러준다. 내게 일러주는 게 아니라 다른 일행 한 분한테 말이다. 그런데 내가 더 호들갑을 떠니까 나는 당연히 길마가지를 본 적이 있는 줄 알았단다. 제주에 내려 오면서 길마가지 꽃도 담을 수 있으면 좋겠다는 기대는 했었지만 시기가 너무 늦어서 만나기 어렵겠다 싶어 보고싶은 목록에서 이야기하지 않았더니 그래서 내게 일러주지 않았던 거다. 고맙게도 이 녀석은 가지 끝에 늦둥이 꽃 몇송이를 달고 육지 손님을 기쁘게 해 주었다. 어린 열매와 꽃을 함께 담는 행운까지 얻었다. 야호다~! 헌데 길마가지나무랑 숫명다래나무랑 너무 흡사하여 야생화 사이트마다 이름을.. 2010. 4. 28.
미치광이풀(가지과) 2010. 4. 27. 먼산. 4월 초순 남녘 경주 부근에서 미치광이풀을 처음 만났었다. 겨우 5~6개체가 한 군데 피어 있었는데 그 때 이 녀석을 직접 대면한 게 처음이었다. 오늘 오후 북쪽 높은 산 미치광이풀 밭에서 원없이 놀았다. 정상 아래 8부 능선에는 미치광이가 깔대기 모양의 꽃을 조롱조롱 달고 4월 말 늦은 시각의 방문객을 반겨 주었다. 독초라 이 녀석을 함부로 먹으면 신경을 마비시켜서 미치게 한단다. 그래서 이런 이름을 얻었겠지? 2010. 4. 27.
노랑미치광이풀(가지과) 2010. 4. 27. 먼산. 노랑미치광이가 피었다는 소식에 잠시 시간이 나서 북쪽으로 차를 달렸다. 1시간 정도 올라야 하는 경사가 급한 산이라 정확한 위치를 몰라 ㅇㄱ님께 전화를 연결한다. 3시부터 산을 오르는데 하늘이 어두워진다 싶더니만 헐~~! 싸락눈이 떨어진다. 그래도 비가 아니어서 다행이다. 오.. 2010. 4. 27.
4월 26일(55일째 월욜) 4월 26일(55일째 월욜) 즐건(?) 주말이 지나가고 다시 한 주가 시작되는 월욜……. 청소를 마치고 오전에 Rhododendron SP.랑 Azalea SP. 꽃따는 작업(시기 놓치면…….ㅠㅠㅠ)을 시작하려는데 오늘이 월욜이라 수족관에 ‘자원봉사자’ 할아버지 두 분이 오셔서 수조를 청소하는데 같이 하는 게 어떻겠냐고 한.. 2010. 4. 27.
금난초(난초과) 2010. 4. 25. 제주. 새우난초, 꼬마은난초, 금난초 모두 내겐 처음 접하는 녀석들이다. 난초 종류에 대하여 크게 관심을 가지지 않은 탓도 있겠지만 육지에는 은난초는 흔한데 다른 녀석들은 특별하게 자생지를 찾아야 하기 때문이다. 금난초 꽃잎 속의 빨간 무늬가 무척 인상적이었다. 은난.. 2010. 4. 27.
꼬마은난초(난초과) 2010. 4. 25. 제주. 참말로 땅꼬마다. 안내하신 ㄴ님도 어제 본 녀석을 못 찾아서 한참을 헤맸다. 꼬마를 찾았다고 하여 가다갔는데도 얼른 보이질 않는다. 세상에나~!! 키가 5cm 정도 될까? 요렇게 작은 은난초도 하나의 식물체라니! 딱 두 개체만 있었는데 핀지 며칠 되어 꽃잎 끝이 마르고 있.. 2010. 4. 27.
후박나무(녹나무과 후박나무)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2010. 4. 24. 제주. 상록성 나무 종류들이 아직 꽃을 피우지 않고 있다.겨우 후박나무 정도가 연두색으로 꽃이 피기 시작하는 걸 몇 장 담을 수 있었다.일본목련을 후박나무란 이름으로 부르기도 하여 정작 후박나무를 잘 모르는 경우가 있다.               지난해 담은 수형과 수피다.     생달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767  https://qweenbee.tistory.com/8893761                 https://qweenbee.tistory.com/8895793         생달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1077  https://qweenbee.tistory.com/88893.. 2010. 4. 27.
청개족도리풀/개족도리풀(쥐방울덩굴과) 2010. 4. 25. ㅎㅎ...곶자왈 바위를 몇 번이나 오르내리면서 (청)개족도리를 찾았다. 결국 한 발 아래 쪽 바위를 살펴서 찾아내었다. 내 밝은 눈썰미가 여기서도 한 건 올렸다. 헌데 핀지 한참 되어서인지 꽃잎이 싱싱하지는 않다. 그래도 귀한 녀석이니 몇장 담아줘야 섭하지 않제여. 잎에 얼.. 2010. 4. 27.
각시족도리풀(쥐방울덩굴과) 2010. 4. 25. 제주. 오름 삼나무 숲 아래 각시가 살고 있었다. 각시는 속살이 희고 꽃잎(?)이 밖으로 도르르 말려 있다. 이른 시각이라 빛이 충분하지 않았지만 내가 뭐 예술 할 작품을 담는 게 아니니 그냥 봐 줄 정도만 나오면 되는겨. 왜 이 오름은 까끄라기란 이름을 가지고 있을까? 아고야~! 이쁜 각시 삼동서다. 꽃 속에 꽃이 또 피었다. 오름 숲이 너무 우거져서인가? 간벌하느라 삼나무를 많이 베어 놓았다. 이끼를 이부자리 삼고 삼나무 초록잎을 배경으로 각시들이 망원렌즈를 돌리고 논다. 삼나무 둥치에 터를 잡고 올망졸망 귀엽기도 하다. 족도리풀: https://qweenbee.tistory.com/8889805 https://qweenbee.tistory.com/8889681 https://.. 2010. 4. 27.
청로님께 도시렴수다~~~ 여기 임재 괸당산디 삼춘산디 청로니임 마씨~~~!!! 어떵허당 보난 여기 아라젼 들락 거렴신디 여기 왕 보민 아무거또 아닝거 달마도 놋띠선 뱅삭뱅삭 우서지곡 해연 여청왕벌니임안티 나 호썰 여왁헐 구녕맹그라도랜 고란 나두어십쮸우~ 경핸 여기 "친구방"이랜 헌 구녕에 세들언 사람수괴~~~ ^^* 통생맹.. 2010. 4. 27.
새우난초(난초과) 2010. 4. 24. 제주. 새우난초를 첨 봤다. 곶자왈 숲 아래 군락을 이루고 있는 모습이 장관이다. 헌데 이 곶자왈을 개발하는지 큰 나무들을 옮긴다고 붉을 천으로 표시를 해두었다. 곶자왈이 자꾸 사라진다고 걱정하는 환경 프로그램을 본적이 있다. 아마존 밀림이 지구의 허파 구실을 하듯이 .. 2010. 4. 27.
제주 봄꽃 나들이 3(반디지치,새우란,개구리발톱,점박이천남성,남방바람꽃, 2010. 4. 24. 제주. 뚜껑별꽃 해안에서 아쉬운 발길을 돌렸다. 만나야 할 게 아직 남아 있으니 바삐 서둘러야 했기 때문이다. 모슬포항 포구 식당에서 두분과 함께 낙지 물회 한 그릇으로 늦은 점심을 해결한다. 아침 일찍 햄버거 하나로 해결하였던 터라 시장기가 있었지만 함께 한 두분 역시 시장하기는 .. 2010. 4. 27.
산딸기(장미과) 2010. 4. 25. 제주. 맥도에서 발견되었다는 맥도딸기는 열매가 노랗게 익는다는데... 기냥 산딸기 나무일까? 산딸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2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1 https://qweenbee.tistory.com/8888114 https://qweenbee.tistory.com/8887732 https://qweenbee.tistory.com/8887246 https://qweenbee.tistory.com/8889901 https://qweenbee.tistory.com/8905826 산딸기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4093 https://qweenbee.tisto.. 2010. 4. 26.
수리딸기(장미과) 2010. 4. 25. 제주. 잎이 하도 이뻐서 들여다 보는데 잎자루와 줄기에 가시가 보인다. 어? 딸기 종류인가? 주변을 살펴보니 다른 개체에 꽃이진 모습이 보인다. 분명 딸기 종류가 맞다. 그런데 내 하드에 입력된 딸기 종류 중에 이런 잎은 없었는데... 담아 와서 확인해 보니 수리딸기다. 그런데...꽃이 없어 아쉽다. 어린가지가 녹색이고 밀모가 있다. 잎 뒷면 중심 맥 위에 가시가 있고, 어린 줄기는 녹색에 뽀얀 밀모가 덮여 있다. 잎은 긴 난형에 엽저가 깊은 심장형이다. 잎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점첨두이고 예저 또는 심장저이며 길이 8-15cm로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잔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맥 위에 털이 있고 뒷면은 융모가 밀생하며 밑부분이 3개로 갈라지는 것도 있는데, 특히 맹아.. 2010. 4.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