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764

푼지나무(노박덩굴과) 암꽃 수꽃 2010. 5. 19. 푼지나무는 노박덩굴과 흡사하나 잔 가지에 잎의 탁엽이 변한 고부라진 가시가 있어서 손으로 쓸어보면 따갑다. 바위나 나무 등걸 어디에나 덩굴성 줄기로 잘 기어 오른다. 노박덩굴과 푼지나무는 암수딴그루이다. 암꽃이다. 짧은 헛수술과 갈라진 암술이 있다. 수꽃이다. 노란.. 2010. 5. 19.
명자순(범의귀과) 암꽃 수꽃 2010. 5. 16. 강원도 높은 고개 까치밥나무도 우연히 눈에 띄어서 담고 있는데 명자순 꽃을 드뎌 만났다. 해가 뉘엿거리는 시각에 그만갈까 자리를 뜨려는데 그 옆에 자그마한 꽃이 보인다. 명자순이다. 내 다리 길이 보다 더 낮은 가느다란 나무 가지에 자그마한 잎새. 자세히 들여다 봐야만 꽃이 보인다. 작년 함백산에서 관목을 헤치다가 우연히 열매를 담았었는데 그 산으로 가는 고개 길 숲 속에 많기도 하다. 암꽃도 보이고 수꽃도 보인다. 내가 올해 꽃복은 무지 많이 받은 것 같다. 한 곳에 앉으면 보이는 대로 담으니 내 가는 곳이 꽃밭이다. 암수딴그루다. 이 녀석은 암꽃이다. 꽃 아래 자방이 보인다. 총상화서에 달리며 수꽃화서에 7-10송이 암꽃화서에 2-6송이씩 달리고(확인한 바로는 꽃송이는 크게 차.. 2010. 5. 19.
싸리냉이(배추과 황새냉이속) 2010. 4. 21. 근생엽은 길이 10cm정도로서 우상으로 완전히 갈라지며 열편은 5-11개이고 가장자리가 2-3개의 둔한 톱니모양으로 갈라진다. 경생엽은 위로 갈수록 작아지지만 기수우상으로 갈라지는 것이 근생엽과 같으며 소엽이 다시 3-5개로 갈라진다. 줄기 아랫쪽 잎이다. 톱니 모양으로 갈라진다. 줄기 위쪽 잎이다. 2010. 5. 15. 늦은 시각이라 흐리다. 경생엽은 위로 갈수록 작아지지만 기수우상으로 갈라지는 것이 근생엽과 같으며 소엽이 다시 3-5개로 갈라진다. 황새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900827 https://qweenbee.tistory.com/8908081 https://qweenbee.tistory.com/8910376 황새냉이 새싹 : h.. 2010. 5. 19.
복장나무/복자기(단풍나무과) 2010. 5. 16. <복장나무> 잎에 자잘한 톱니가 끝까지 나 있고 수피가 진한 회색으로 매끈한 편임 < 복자기 > 잎에 큰 톱니가 3~4개 있고 수피가 밝은 회색으로 거칠고 세로로 껍질이 벗겨짐 <복장나무> 암수딴그루인데 수꽃이다. 복장나무 자잘한 톱니가 있다 수피가 진한 회색으.. 2010. 5. 19.
노랑선씀바귀/선씀바귀(국화과) 원줄기 끝의 산방화서에 20개 정도 달리며 소화는 23~27개로서 황색이며 길이 12mm이고 통부는 길이 3.5mm로서 털이 없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으며 로제트 형으로 퍼지고 도피침형 또는 도피침상 장 타원형이며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거나 깃처럼 갈라지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입자루로 된다.   노랑선씀바귀와 같으나 선씀바귀는 꽃이 흰색이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으며 로제트 형으로 퍼지고 도피침형 또는 도피침상 장 타원형이며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거나 깃처럼 갈라지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입자루로 된다.  고들빼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83    https://qweenbee.tistory.com/8888076h.. 2010. 5. 18.
벌씀바귀(국화과 선씀바귀속) Ixeris polycephala Cass. 2010. 5. 8. 꽃은 선씀바귀보다 작고 뽀리뱅이 꽃 크기와 비슷하다.설상화만으로 이루어진 연한 황색의 두상화는 지름 약 1.2cm로서 여러 개가 원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꽃이 핀 다음 처진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거나 그 전에 없어지고 선상 피침형이며    줄기잎은 이저로 잎의 아랫 부분이 화살 촉처럼 갈라져서 줄기를 감싸듯이 붙어 있다.  고들빼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83    https://qweenbee.tistory.com/8888076https://qweenbee.tistory.com/8899366    https://qweenbee.tistory.com/8900622   https://qweenbee.tistory.com/.. 2010. 5. 18.
청시닥나무(단풍나무과) 수꽃 2010. 5. 16. 강원도 하늘 고개. 나도바람꽃을 찾아서 숲을 뒤지다가 포기하고 돌아 오려고 하는데 어린 잎이 달린 나무에 노란 꽃이 보인다. ㅎ..바닥만 살피다가 나무 꽃을 놓칠 뻔 했다. 강원도 높은 산의 나무꽃은 아랫쪽에서 볼수 없는 것들이 많아서 보이는 대로 담는다. 첨에는 .. 2010. 5. 18.
붉은조개나물(꿀풀과) 2010. 5. 12. 안동. 학교 주변을 어정거리다가 무덤가에 조개나물 군락을 발견하다. 붉은조개나물도 함께 펴 있다. 2010. 5. 18.
산철쭉(철쭉과) 2010. 5. 15. 소백산, 지리산 철쭉제를 하는 주인공이 바로 이 붉은 산철쭉이다. 그래서 가 아니라 라 칭하는 게 맞다고 그랬다. 뭐 그 이름 붙이는 거야 지자체에서 고칠 일이고. 어릴 적 우리들은 진달래를 참꽃이라 불렀고 이 산철쭉을 진달래라 부르면서 진달래는 먹으면 죽는다고 했었다. 화경(꽃대)에 털이 있고 가지끝에 2~3송이가 달리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갈색털이 있다. 꽃잎 내측에는 진홍색의 반점이 있다. 수술은 10개이며 수술대는 털이 없거나 기부에 복모가 있다. 화경 및 꽃받침에 끈적끈적한 액이 있다. 벌써 염세적인 파리 한 마리가 끈적이에 붙어서 세상을 하직 하였다. ㅎ 이눔 산철쭉은 산에서 피지 않고 석포 개천가에도 피고 있다. 이젠 이름을 도랑철쭉이라고도 불러야 되지 않을까 ㅎ.. 2010. 5. 18.
유럽나도냉이/나도냉이(십자화과) 2010. 5. 15. 나도냉이랑 꽃이 같아서 구분 포인트를 모르면 기냥 나도냉이라 할 게다. 강원도에는 길 가 풀밭은 물론이고 작은 물도랑은 이 유럽나도냉이로 온통 노랗다. 이 녀석을 조경용으로 식재하면 유채꽃 만큼이나 효과 있을 거 같다. 나도냉이의 장각 열매는 화축에 거의 붙다시피 하여 평행으로 곧게 선다유럽나도냉이의 장각 열매는 약간 휘어지며 화축에 대하여 70도 정도 각도를 유지하며 옆으로 펼쳐진다. 꽃밭침에 각상 돌기가 있다. 나도냉이의 장각과 열매는 화축에 거의 붙어서 평행을 유지하지만 유럽나도냉이의 장각과 열매는 화축과 많이 벌어져 있다. 나도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87824 https://qweenbee.tistory.com/8899302 http.. 2010. 5. 18.
장대나물(십자화과 장대나물속) 2010. 5. 15. 이 녀석은 꽃이 피기 전에 끈끈이대나물과 흡사하여 처음 이 녀석을 산에서 만났을 때 끈끈이대나물인 줄 알았다. 줄기잎은 잎자루가 없고 아랫부분이 줄기를 감싸듯이 붙어 있다. 근생엽은 잎 가장자리에 결각이 져 있다. 바위장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68 https://qweenbee.tistory.com/8910710 (대설산) 바위장대 변종 : https://qweenbee.tistory.com/8887881 갯장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95 https://qweenbee.tistory.com/8893884 https://qweenbee.tistory.com/8895658 https://qweenb.. 2010. 5. 18.
모과나무 개량종일까?==>유럽모과나무 2010. 5. 15. 안동. 주차장 주변에 일부러 심어 둔 거 보면 개량 유실수 같은데 꽃과 잎이 모과나무를 닮았다. 개량 모과나무일까? 명자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5512 http://blog.daum.net/qweenbee/8904996 https://blog.daum.net/qweenbee/8908262 명자나무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4959 http://blog.daum.net/qweenbee/8886346 풀명자나무/명자나무 : http://blog.daum.net/qweenbee/8889871 모과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7216 http://blog... 2010. 5. 18.
갯개미자리롸 분홍개미자리 비교표 <펌> 항 목-------------갯개미자리(분홍)------------------------유럽개미자리(분홍개미자리) 꽃받침------------반점 있다--------------------------------반점없다 암술머이----------3개로 갈라진다---------------------------좌동 턱잎--------------합생, 넓은 세모꼴, 흰색 막질---------------이생, 바소꼴, 은색 수술--------------2-5.. 2010. 5. 18.
털야광나무(장미과 사과나무속) 2010. 5. 15. 청량산 야광나무가 꽃이 이렇게 크구나 했더니 잎자루와 뒷면에 털이 밀생하는 털야광나무이다 평소에 그냥 지나쳐 봤더니 꽃이 배꽃 정도로 엄청 크다. 흰색의 꽃이 밤에 길잡이처럼 빛을 낸다고 해서 야광나무라 했다던가? 믿거나 말거나. ㅎ 이 녀석도 잎자루와 잎 뒷시면의.. 2010. 5. 18.
당조팝나무(장미과) 2010. 5. 15. 안동. 작은 도랑가 바위 둑에도 산 자락 등산로 초입에도 당조팝나무가 한창이다. 역시 흰색은 참 순박하고 정결해 보여서 좋다. 2010. 5.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