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804 제비꿀(단향과) 2010. 4. 23. 제주. 4월 제주 해안에서 담아 두고 올리지 못하였다. 제비꿀도 몇 종이 되던데 성이 뭔지 확인해 볼 시간이 없다. 일단 기냥 제비꿀로 올려둔다. 2010. 5. 30. 참꽃나무(진달래과) 2010. 5. 21. 제주. 제주에서만 볼수 있는 녀석이다. 경남이나 전남에서도 볼수 있다고는 한다. 한라산 산록은 붉은 참꽃나무 꽃으로 원시의 숲이 잔치 분위기였다. 한라산으로 오르면 털진달래가 피고 있겠지만 시간이 여의치 않아서 털진달래 까지는 기대하지 못하지만 산록도로를 달리는.. 2010. 5. 30. 은대난초/은난초(난초과) 2010. 5. 21. 제주. <은대난초> 은대란초는 화서보다 포엽이 더 길고 꽃색이 약간 누른 빛을 띤다. 꽃잎도 벌어지는 듯 만듯 시원하게 펴지지 않는다. 거가 은난초보다 짧다. 꽃은 5~6월에 피며 백색으로서 완전히 펴지지 않고 포는 선형 또는 넓은 선형이며 길이 4-7mm이지만 밑에 달려 있.. 2010. 5. 30. 윤노리나무(장미과) 2000.5. 21. 제주. 윤노리나무도 종이 많다. <떡> <민><털> <좀> <꼭지>그리고 기냥 윤노리나무가 있다. 화경과 잎에 털이 보이기는 하나 <털> 윤노리나무를 제외하고는 어릴 때에는 잎에 털이 있다가 사라진다고 한다. 화경에 모두 백색의 털을 가지고 있는데 <민>.. 2010. 5. 30. 애기노랑토끼풀(콩과) 2010. 5. 21. 제주. 4월에 제주에서 개자리, 잔개자리, 좀개자리를 모두 담았는데 이번에 노랑토끼풀까지 다 만났다. 노랑토끼풀과 애기노랑토끼풀의 차이점은 전초 크기와 화서의 크기가 다르다. 두상화서의 접형화가 5~15개이면 애기노랑토끼풀, 30개 정도면 노랑토끼풀이다. 두상화서는 원형 또는 타원형 줄기에는 누운 털이 다소 보이고 잎 뒷면에는 털이 없다. 꽃자루가 마디보다 길고 두상화서에 애기노랑토끼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025 https://qweenbee.tistory.com/8891230 https://qweenbee.tistory.com/8893411 https://qweenbee.tistory.com/8893803 https://qweenbee... 2010. 5. 30. 애기풀(원자과) 2010. 5. 21. 제주. 피뿌리풀을 담는데 애기풀이 쳐다본다. 안 담아 주면 삐치겠지. 이 녀석은 볕이 잘 드는 무덤가에서 솜양지꽃과 함께 쉽게 만날 수 있다. 애기풀 : http://blog.daum.net/qweenbee/8888068 http://blog.daum.net/qweenbee/8888024 애기풀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8831 원지 : http://blog.daum.net/qweenbee/8888131 ht.. 2010. 5. 30. 물참대(수국과 말발도리속) Deutzia glabrata Kom. 2010. 5. 28. 광릉수목원. 말발도리와 비교할 자료를 수목원에서 담게 되어 기쁘다.작년에 설악산에서 물참대를 담긴 했지만 꽃의 특징이 제대로 잡히지 않았는데 몇송이 남지 않았지만선명하게 담을 수 있어 다행이다. 수술이 10개, 암술은 끝이 3갈래고 갈라져 있다. 수술은 기것 5개 짧은 것이 5개이다. 수술대가 꽃밥 쪽으로 점차 가늘어져서 마치 길다란 삼각형 형상이다. 꽃츤 5-6월 피고 지름 8-12㎜로서 백색이며 많은 꽃이 산방화서에 달리며 털이 없다.꽃받침과 꽃잎이 각각 5개이고 1개의 암술을 10개의 수술들이 둘러싸고 있다.화반(花盤)에 털이 없고 암술대는 3개(간혹 2개)이다. 꽃받침에 성모가 있다. 어린 가지는 붉은 빛이 돌며 늙은 가지의 수피는 회색 또는 흑회색으로 불규.. 2010. 5. 30. 가는쑥부지깽이(십자화과) 2010. 5. 29. 뱅뱅 돌았다. 분명 꽃이 피고 있다고 했는데... 물도리동 낙동강가로 내려가서 주변을 살피다가 절벽으로 난 길을 여나믄 발짝 들어가다가 되돌아 나왔다. "안 보이는데요?" 절벽으로 난 길을 20 여 m 들어가면 길 주변에 있단다. 다시 복슬강아지가 짖어대는 곳을 지나서 절벽 길.. 2010. 5. 29. 말발도리(수국과 말발도리속) Deutzia parviflora Bunge 2010. 5. 29. 안동. 물참대와 말발도리는 꽃 피는 시기도 같고 꽃도 비슷하여 헷갈려들 한다. 물참대는 잎 앞에 약간의 성모가 있기도 하나 뒷면에는 털이 전혀 없고,말발도리는 잎 앞 뒷면, 잎자루에 성모가 많아서 만지면 바삭바삭한 촉감을 준이다.꽃술을 보면 물참대의 수술은 꽃밥을 정점으로 긴 세모 모양이고, 말발도리는 긴사각형 모양으로 수술대 모양이 다르다. 수술대가 꽃밥과 함께 사격 표적처럼 생겼다. ㅎ 꽃밥과 꽃속에 노란색이 강하다. 꽃은 지름 12mm정도로서 백색이며 성모가 있고 산방화서에 달리며꽃받침은 통형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꽃잎도 5개로 갈라진다.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는 거의 톱니가 없으며 암술대는 3갈래이고 화반(花盤)에 성모가 있다. 높이가 2m에 달하고 소지는 .. 2010. 5. 29. 국립(광릉)수목원 반바퀴(일본매자,미선,홍자단,버들까치수염,블루베리 2010. 5. 28. 광릉수목원. 연수를 마치니 오후 시간 여유가 있어서 광릉 수목원으로 달렸다. 양재에서 1시간 여 네비 아줌마의 안내를 따라 가니 포천군에 다다른다. 주차장으로 들어가려는데 "사전에 예약이 되지 않은 분은 입장할 수 없습니다" 란 문구가 보인다. 매표소 옆에서 눈치를 보니 사전 예약자.. 2010. 5. 29. 마디풀(마디풀과 마디풀속) Polygonum aviculare L. 2010. 5. 27. 양재천. 벌써 마디풀이 곱게 꽃을 피운다. 이 녀석은 여름이나 되어야 피는데...유난스러웠던 겨울 추위와 봄 늦도록 눈이 내려서 봄꽃들이 너무 늦더니만 여름 꽃들은 성급해진 모양이다. 얼마나 이쁜가! 아무도 눈여겨 봐 주지 않지만 저대로 이렇게 이쁘게 꽃을 피우고 있는 것을........... 흰색 바탕에 홍백색의 꽃이 6~7월에 잎겨드랑이에서 1송이 또는 여러 송이가 무리져 핀다.꽃잎은 없으나 꽃받침이 꽃잎처럼 보인다. 열매는 세모지며 꽃받침에 붙어 있다. 크롭하여 보니 오밀조밀 곱다.봉오리일 대 꽃받침 끝이 붉은색이 진하더니만 개화하니 연한 분홍이거나 흰색 태를 두른 듯하다. 연초록색을 띠는 줄기는 단단하며 30㎝ 정도 곧추서서 자라지만 때때로 옆으로 비스듬히 누.. 2010. 5. 29. 길다닥냉이(나도콩냉이) Lepidium densiflorum 2010. 5. 28. 양재천. 연수 마지막 날 아침 양재천 산책이다. 서울 발걸음 그리 쉬운 일 아니라 한 가지라도 더 건질 게 없나 싶어서 땅바닥만 쳐다보고 다닌다. 아침 운동 하러 나온 사람들이 땅바닥에 쪼그리고 있는 내가 궁금한지 곁에 와서 말을 붙인다. "에구~! 참말로 작은 꽃이 있네~!" 그들은 이제 까지 풀밭에서 꽃을 보지 못했던 거다. 아니 들여다 볼 생각이 없었던 게다. 물장구 치는 소리에 주시를 하니 수달 같다. 설마 조심성 많은 녀석이 이 훤한 아침에 사람들 눈에 띌라고? 다시 보니 팔뚝만한 잉어다. 잉어가 아침 식사 중인지 계속 후절펑 거리며 물을 튀긴다. 헌데...잉어가 문제가 아니다. 이 녀석은 무슨 다닥냉이지? ************************************.. 2010. 5. 29. 상산(운향과) 2010. 5. 21. 제주. 상산 열매 모양이 마치 초록별 같다. 4월 말 경에 암꽃과 수꽃을 담느라고 수선을 떨었는데 벌써열매가 이렇게 커졌다. 제주의 숲 가장자리에는 상산나무가 거의 자리를 잡고 특이한 냄새를 날리고 있다. 상산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9233 http://blog.daum.net/qweenbee/88880.. 2010. 5. 28. 사슨딸기(장미과) 2010. 5. 21. 제주. 육지의 멍석딸기보다 잎이 유난히 작았다. 그냥 멍석딸기려니 하고 지나칠려다가 아무래도 잎이 자그마한게 이상하여 담았다. 잎이 작아서 좀딸기를 떠올렸는데 좀딸기와는 거리가 있다. 함께 있던 ㅊ님도 그냥 멍석딸기라 생각하고 무심하게 넘기려다가 함께 담았다. 소엽이 3~5장 되는 유사종이다. ▶청멍석딸기(var. concolor NAK. et NEMOTO.) : 잎 뒷면에 털이 거의 없다. ▶멍석딸기(R. parvifolius L.) : 잎 표면에 잔털이 있고 뒷면에 백색 밀모가 있다 ▶사슨딸기(var. taquetii T.LEE) : 잎의 길이가 2cm이고 표면에 잔털이 있으며 뒷면에 백색 밀모가 있고 엽병과 줄기에 가시가 많으며 제주도에서 자란다. 멍석딸기를 찾아보니 멍석딸기.. 2010. 5. 27. 물까치수염(앵초과) 2010. 5. 22. 제주. 제주에는 처음 보는 녀석들이 많아서 올 때마다 새롭다. 까치수염 가족 중에 물까치수염이란 녀석도 있었다. 부슬거리는 비를 맞으면서도 봐야할 건 봐야겠기에 제주 꽃동무의 안내를 받으면서 물까치수염 서식지를 찾으니... 시기가 좀 늦은 것 같다. 그래도 어딘가 홍도.. 2010. 5. 27. 이전 1 ··· 1587 1588 1589 1590 1591 1592 1593 ··· 17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