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747 우산이끼 2010. 5. 13. 논둑. 비오는 날 이렇게 찢어진 우산 쓰고 다니면 비 다 맞겠지? 삿갓우산이끼는 삿갓으로 지붕을 확실하게 덮어서 비는 안 맞을 거다. 암수딴그루로 9개의 돌기가 있는 우산살 모양의 생식기를 가진 게 암생식기, 원반처럼 펼친 우산 모양이 수생식기이다. 이 녀석은 이다. 우산살 같은 암생식기 아래 볼록하니 암탉이 병아리 품듯이 포자를 품고 있다. 땅바닥에 너브데하게 깔린 것이 , 엽상체 등면 중앙부에는 군데군데에 잔 모양의 가 생기고, 그 속에 많은 가 형성되는데, 무성아는 빗물에 씻겨 다른 곳으로 운반되며, 그 곳에서 싹이 터서 또 다른 엽상체가 된다. 우산이끼 : http://blog.daum.net/qweenbee/8887886 http://blog.daum.net/qweenbe.. 2010. 5. 13. 계수나무(계수나무과) 2010. 5. 13.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엔 ♬~계수나~무 한~나무/ 토~끼 한 마리~♪ 이웃하는 생물자원연구소 마당에 계수나무가 있었구먼.학교 텃밭에 심을 거리를 얻으러 연구소를 들렀더니마당에 동그란 이파리 나불거리면서 계수나무가 커다랗게 내려다 보고 있다. 하~! 이 녀석 꽃이 언제 피더라? 아무리 둘러 봐도 꽃은 안 보인다.아하~! 잎이 나기 전에 빨갛게 촉수처럼 꽃을 피우던 그 녀석이구나. 에혀~! 여기 있는 줄 알았더라면 진즉 와 볼 걸 그랬지.그런데 암수딴그루라고 하는데 열매를 찾아 봐도 안 보이는 걸 보니 모두 숫놈인 것 같다.어~! 그런데 한 가지 빠진 게 있다. 토깽이가 없다. 계수나무 옆에. 계수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 2010. 5. 13. 병꽃나무(병꽃나무과 병꽃나무속) 2010. 5. 6. 작은 골짝이 병꽃으로 온통 노르스름하다. 이렇게 병꽃으로 골짝을 도배한 건 첨 본다. 삼색병꽃입네 붉은 병꽃입네 그래도 기냥 병꽃이다. 한 그루에서도 가지에 따라 아이보리색 꽃도 피고 얼룩이도 피고 있으니.. 2010. 5. 13. 단삼(Salvia miltiorrhiza) 한 종류 2010. 5. 13. 잎을 얼핏 보고 장딸기인가 했더니 초본이었다. 내 기억으로는 처음 보는 녀석인데 귀화종인 것 같다. 건조한 밭둑에 터 잡은 이 털보 녀석은 뉴구? 아고야~! 관찰할 거리 또 생겼다. 끙! 5. 17. 딱 한송이 피었다. 헌데 참배암차즈기 같이 긴 혓바닥이 나와 있다. 5. 19. 화서가 생겼다. 꿀풀과 같다. 아무리 봐도 모르겠다. 2010. 5. 29. 이렇게 꽃이 피었다. 둥근배암차즈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92209 https://qweenbee.tistory.com/8892210 https://qweenbee.tistory.com/8892565 https://qweenbee.tistory.com/8894380 https://qweenbe.. 2010. 5. 13. 뽕나무(뽕나무과) 암꽃 수꽃 Morus alba L. 2010. 5. 12. 점심 시간을 이용하여 학교 동네를 한 바퀴 돌았다.산자락 무덤 옆에서 붉은조개나물이 꽃을 곱게 피고 있는 것을 만났다.하천 변에는 수영이 붉게 꽃을 피우고 있다. 자세히 들여다 보이 꽃이 엄청 이쁘다. 중학교 축대 위에 뽕나무 암꽃도 자잘하게 피어서 또 그냥 지나치지 못하였다.잎이 작고 꽃도 작지만 하얀 암술이 짧은 게 산뽕은 아닌 것 같다. 퇴근 길에 마치 버드나무 수꽃같이 다글다글 꽃을 달고 있는 녀석이 있길래벌써 꽃가루가 날리고 있는데 웬 지각생인가 하여 다가갔더니, 하이고! 반가워라! 뽕나무 수꽃이 아닌가?퇴근 길에 뽕나무마다 쳐다봐도 암그루만 보여서 그눔 수꽃 만나기 참 에롭다고 투덜거렸는데..수술이 4개이고 암꽃에 있는 자방이 안 보인다. .돌뽕나무 꽃 .. 2010. 5. 13. 바위장대 변종 (Arabis serrata) 2010. 4. 십자화과 중에서 꽃이 큰 편이다. 근생엽이 잎이 방석처럼 펼쳐져서 자줏빛이 돈다. 잎은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으로 끝이 날카롭고 거친 톱니가 있다 잎이 빳빳하며 가장자리에 까칠한 톱니가 만져진다. 총상화서는 원줄기 끝에서 서고 소화경은 길이 3-4mm로서 성모가 있으나 열매일 때는 길이 7-10mm로서 털이 없어진다. 꽃받침잎은 길이 3mm이며 꽃잎은 길이 6-7mm이다. 열매는 장각으로서 다소 꼬불꼬불하고 길이 2-6(보통 4-6)cm 폭 1-1.2mm이며 끝이 뾰족하고 검은 자주색 또는 녹색이다. 잎은 혁질로 빳빳하고 거친 톱니가 있으며 표면에 성모가 있다. 높이 10-20cm로서 전체에 성모(星毛)와 차상(叉狀)의 털이 있으며 밑에서 짧게 뻗는 가지가 나온다. 근생엽에서 새 줄기.. 2010. 5. 13. 개갓냉이/속속이풀/좀개갓냉이 비교 늘 헷갈려들 하는 냉이 종류다. 잎의 결각으로 쉽게 구분을 하거나 열매 모양으로도 구분이 가능하다. 개갓냉이 속속이풀 좀개갓냉이 셋 중에서 꽃이 가장 크다. 총상으로 달리고 꽃받침잎은 선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털이 약간 있다. 소화경은 5-8mm로고 꽃잎은 꽃받침보다 약간 길며 4강웅예(4强雄蘂)와 1개의 암술이 있다. 개갓냉이보다 작다. 꽃의 구조는 개갓냉이와 같다. 총상으로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5-7mm, 꽃받침잎은 4개이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2mm정도이다. 꽃잎도 4개이며 주걱모양으로서 꽃받침보다 약간 길고 황색이며 4강웅예(4强雄蘂)와 1개의 암술이 있다. 꽃이 가장 작다. 맨눈으로 거의 볼 수 없을 정도다. 엽액에 1개씩 달리며 소화경이 거의 없다. 꽃받침잎은 긴 타원형이고 길.. 2010. 5. 13. 풀또기/만첩풀또기(장미과) 2010. 4. 21. 학교 풀또기. 이름도 참 이쁘다. 꽃을 보면 꼭 원예종 같은데 한국산이란다. 그냥 앵두나무려니 했었는데 유난히 붉은 기운이 강한 분홍색에 꽃이 커서 눈길을 끈다. 한반도 함경남도 회령, 무산 지방에 자생하며, 중국 동북부에도 분포한다. 이 종은 열매의 크기가 2cm가 넘지 않을 정도로 매우 작고 열매가 달리는 꽃줄기는 열매의 직경보다 더 작아서 열매가 달리는 부분이 매우 왜소해 보이는 특징이 있다. 널리 재배하는 앵도나무와 유사하나 꽃과 열매가 앵도나무보다 조금 더 큰 특징으로 구분한다. 2010. 5. 13. 2010. 4. 위키백과사전에는 이 사진을 풀또기로 올려 놓았다. 그러나 기재문을 읽어 보면 홑으로 된 위의 녀석이 풀또기가 맞고 이 녀석은 여러 겹으로 된 만첩풀또기다. .. 2010. 5. 13. 귀룽나무(장미과) 2010. 5. 7. 커다란 솜사탕 같다. 귀룽나무가. 바람에 건들거리는 나뭇가지에 하얗게 솜사탕이 그네를 타고 있다. 한 웅큼 따서 입에 털어 넣고 싶을 만큼 풍성하다. 4. 13. 구미. 열매다. 2010. 5. 12. 당단풍나무/단풍나무 2010. 5. 11. 학교 마당의 당단풍나무가 이제사 꽃을 피운다. 작년부터 나뭇가지가 죽어 나가더니 올해는 죽은 가지가 더 많아 졌다. 그래도 여전히 꽃은 곱게 피워준다. 고사하는 이유를 모르겠다. 당단풍나무는 잎의 갈래가 9~11개로 갈라지는데 단풍나무는 5~7갈래로 갈라지고 잎 뒷면에 털.. 2010. 5. 12. 삿갓우산이끼 2010. 5. 12. 학교. 학교 뒤쪽 마을로 통하는 계단에 삿갓우산이끼 암생식기탁이 보인다. 은행나무가 우거진 습한 곳이라서 늘 이끼가 끼어 있긴 했지만 삿갓우산이끼가 거기 있을 줄은 몰랐던 거다. 삿갓 모양의 암생식기탁 아래가 공처럼 볼록하고 하얀 헛뿌리가 보인다. 삿갓(암생식기탁)의 아래 부분의 모습이다. 마치 게슴츠레 눈 뜨고 졸고 있는 청개구리 눈 같다. ㅎㅎ 며칠 메마른 날씨에 엽상체는 거의 말랐다. 우산이끼 : http://blog.daum.net/qweenbee/8887886 http://blog.daum.net/qweenbee/8890865 http://blog.daum.net/qweenbee/8887149 삿갓우산이끼 : http://blog.daum.net/qweenbee/88878.. 2010. 5. 12. 벌깨덩굴(꿀풀과 벌깨덩굴속) 2010. 5. 6. 담아 둔지 한참 된다. 기다리다가 지쳐서 다 시들었을 줄 알았더니 아직 싱싱하게 입벌리고 왜 쳐박아 두냐고 고래고래 소리 지르고 있다. 미안 혀다. 미안 혀! 숲 그늘을 좋아한다. 꽃이 진 다음 줄기가 벋으면서 땅에 닿으면 뿌리를 내린다. 흰벌깨덩굴 : http://blog.daum.net/qweenbee/8.. 2010. 5. 12. 솜방망이(국화과 산솜방망이속)Tephroseris kirilowii (Turcz. ex DC.) Holub 2010. 5. 3. 봉정사. 바위솜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44 https://qweenbee.tistory.com/8890167 https://qweenbee.tistory.com/8891837 https://qweenbee.tistory.com/8892026 https://qweenbee.tistory.com/8892030 https://qweenbee.tistory.com/8894406 https://qweenbee.tistory.com/8895574 https://qweenbee.tistory.com/8895649 https://qweenbee.tistory.com/8895999 https://qweenbee.tistory.c.. 2010. 5. 12. 만첩풀또기(장미과 벚나무속) Prunus triloba Lindl. var. truncata Kom. 2010. 4. 29. 인근 사찰. 풀또기의 품종으로 조경수로 많이 심는다. 앵도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3812 https://qweenbee.tistory.com/8897383https://qweenbee.tistory.com/8899099 https://qweenbee.tistory.com/8902319https://qweenbee.tistory.com/8906940 https://qweenbee.tistory.com/8908641앵도나무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5566 https://qweenbee.tistory.com/8911114 산옥매 : htt.. 2010. 5. 12. 양버즘나무(버즘나무과) 암꽃 수꽃 2010. 5. 11. 내 어릴 적 초등학교 마당에 커다란 양버즘나무가 서 있었다. 나무가 우람하고 가지가 넓게 퍼져서 그늘이 깊었다. 어떤 해에는 벌레들이 우글거려서 접근하기 조차 하기 싫었지만 그 나무 그늘은 우리들의 놀이터 였다. 여름이면 탁구공만한 양버즘나무 열매를 따서 머리에 튕.. 2010. 5. 12. 이전 1 ··· 1593 1594 1595 1596 1597 1598 1599 ··· 17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