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759 유동(대극과) 2010. 5. 22. 제주. 비가 온다는데도 일단 중문 쪽과 서쪽으로 탐사를 떠난다. 마악 수목원 근처를 지나는데 비바람으로 인하여 바닥에 하얗게 떨어져 있는 꽃! 유동이다! 사진으로만 봤는데..다들 유동을 담은 기회가 없었나 보다. 모두 나무 아래서 꽃들 담느라 정신이 없디. 대극과(大戟科 .. 2010. 5. 23. 세번 째 제주 꽃나들이2(나도수정초,무엽란,콩짜개란,부처손,석곡,참꽃나무 2010. 5. 21. 제주의 숲은 가히 원시적이라 깊고 습하여 많은 것을 품고 있다. 곶자왈은 곶자왈대로, 한라산 자락의 숲은 숲대로, 오름은 오름대로의 식생을 가지고 있는 듯하다. 어두운 숲 속 좁은 길을 한참 들어가니 연등이 걸린 작은 공터가 나온다. 일행을 따라 나무 사이를 헤치느라 정.. 2010. 5. 23. 피뿌리풀(팥꽃나무과) 2010. 5. 21. 제주. 제주 오름에만 자생하는 피뿌리풀인데...... 당장 몇 시간 전에 파간 듯한 구덩이를 보고 망연자실하였다.1주일 전에 꽤 많았다던데 우리 모두 무척 분개하며 허탈한 기분으로 주변을 뒤져서 겨우 서너 포기 담았다.하도 캐 가서 이젠 피뿌리풀을 구경하기도 힘들단다. 피뿌리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7968 https://qweenbee.tistory.com/8889963피뿌리풀(몽골) : https://qweenbee.tistory.com/8909018 https://qweenbee.tistory.com/8909015 https://qweenbee.tistory.com/8898888 .. 2010. 5. 23. 세번 째 제주 꽃나들이1(갯장구채,등심붓꽃,갯대추,차걸이란,피뿌리풀... 2010. 5. 21. 제주. (21~22) 제주는 언제 가도 처음처럼 새롭다. 연휴라 간신히 잡은 뱅기표로 올해 세번째 제주 꽃나들이를 다녀 왔다. 이번에는 지난 4월 확인하지 못했던 지치류 한 종과 부처손, 나무꽃들을 담는 게 목적이었다. 초파일 연휴 이틀 동안 오름이며 해안이며 곶자왈을 정신 없이 다녔다. 22일.. 2010. 5. 23. 각시둥굴레(백합과 둥굴레속) 2010. 5. 20. 봉정사. 언제나 줄기를 꼿꼿하게 세우고 잎 겨드랑이에 하나씩 쌀알 같은 하얀 꽃을 달고 있는 녀석이다. 6. 16. 봉정사. 왕둥굴레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2486 종둥굴레 : http://blog.daum.net/qweenbee/8891704 http://blog.daum.net/qweenbee/8890049 http://blog.daum.net/qweenbee/8888276 http://blog.daum.ne.. 2010. 5. 22. 두루미꽃(백합과) 2010. 5. 16. 동그란 연두색 하트가 바닥에 깔렸다. 아무튼 새 이름과 관련이 있는데..... 이름이 생각나지 않고 자꾸만 오리만 떠오른다. 오리난초? 오리풀??? 에거~~~! 집에 와서야 두루미꽃이 생각났다. 하기사 두루미나 오리나 새는 새다. 큰두루미꽃이란 녀석도 있는데 이 상태로는 달리 구분할 방법이 .. 2010. 5. 21. 이스라지(장미과) Prunus nakaii H. Lév. 2010. 5. 4. 오가는 길.. 이스라지 :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달걀 모양 타원형 이거나 긴 타원형이다. 잎 뒷면 맥 위에 잔털이 나고가장자리에 잔 겹톱니가 있다.소화경은 길이1.7-2.2cm 정도로서 털이 없거나 있고, 꽃받침통은 잔털이 있거나 없으며, 꽃받침잎은 타원형으로 잔톱니와 더불어 잔털이 있다.꽃잎은 타원형 또는 긴 난형이고 수술이 꽃잎보다 짧으며 암술대에 잔털이 있고 자방에 털이 없다. 산이스라지 : 잎은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깊은 복거치가 있다. 엽병은 길이 3-5mm이다. 화경에 털이 없고 길이 1cm 정도이며, 꽃잎은 길이 1㎝이고 난형이며 백색 또는 담홍색이다.꽃받침통은 잔털이 있거나 없으며, 꽃.. 2010. 5. 21. 복주머니란(백합과) 2010. 5. 16. 몇 포기 꽤 있었다는데, 꽃봉오리도 물고 있었다는데.... 아무도 모를 줄 알았다더니 파간 흔적이 여기 저기 보이고 겨우 만난 두 포기.. 반갑다고 빨갛게 고개 들고 있는데 아직 눈맞춤할 인연이 아닌 모양이구나. 2010. 5. 20. 개벚지나무(장미과) 2010.5. 16. 석포. 흠~! 역시 자생의 개벚지나무라 느낌이 다르다. 이 녀석을 볼 시간이 없을 거라 포기하다가 농업기술센터의 개벚지나무 꽃을 담으면서 그나마 다행이라 했었는데 높은 고개 가는 길 옆에 이제 막 피기 시작하는 개벚지나무가 반갑다. 왕벚나무 Prunus × nudiflora : https://qweenbee.tistory.com/8900865 https://qweenbee.tistory.com/8902170 왕벚나무 동아 : https://qweenbee.tistory.com/8910049 일본산 왕벚나무 Prunus × yedoensis : https://qweenbee.tistory.com/8902253 https://qweenbee.tistory.com/8903718 https.. 2010. 5. 20. 이팝나무(물푸레나무과) 2010. 5. 19. 조팝나무 꽃도 풍년이고 이팝나무 꽃도 풍성하니 올해는 쌀밥 실컷 먹겠다. 이팝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87961 http://blog.daum.net/qweenbee/8895695 이팝나무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1181 http://blog.daum.net/qweenbee/8894782 http://blog.daum.net/qweenbee/8886108 이팝나무 종자 : http://blog... 2010. 5. 20. 은난초(난초과) 2010. 5. 19. ㅂㅈㅅ. 초록의 숲은 참 싱그러웠다. 숲 언저리 신갈나무 발치에 은난초는 초록 잎새에 하얀 꽃봉오리로 무슨 말을 할듯 말듯 망설이고만 있다. 은난초 : 꽃자루가 포엽보다 더 길다 은대난초 : 꽃자루가 포엽보다 짧다. 포엽이 꽃대 위로 길게 뻗는다. 은난초 : http://blog.daum.net/qw.. 2010. 5. 20. 긴사상자(산형과 긴사상자속) 2010. 5. 19. 봉정사. 숲 아래 긴사상자가 한창 자그마하게 꽃을 달고 있다. 어두워서 담기가 에롭다. 열매가 길고 밀모가 가득하다. 개사상자는 잎만 무성하고 아직 꽃 피울 생각이 없다. 소산경 수 총포편 줄기 열매수 열매 길이 열매자루 개화시기 사상자 5~9개 4~8개 녹색, 짧은누운털 4~12개 2.5mm~4mm 2~3mm 6~8월 개사상자 2~4개 없거나 1개 자주색, 긴 잔털 3~6개 4.5mm~5mm 2~10mm 5~6월 긴사상자 3~6개 개화시 떨어짐 소총포 5~6개 녹색, 긴 잔털 5~10개 18mm-20mm 길다 5-6월 벌사상자 15-30개 8-11개 때때로 자줏빛을 띠고 털이 있음 10-20여개 2.3mm 6-7월 짧은사상자 3-6개 피침형 녹색, 털이 적다 5-10 18-20m.. 2010. 5. 20. 귀룽나무(장미과) ? 2010. 5. 16. 귀룽나무와 흡사하지만 화서와 꽃 속의 색으로 봐서 귀룽나무로 보기에는 찜찜한 녀석이다. 귀룽나무의 화서는 원뿔에 가까운데 이 녀석은 원기둥형이다. 즉 막대아이스크임 형상을 하고 있다. 이렇게 화서도 뻣뻣하게 서 있다. 귀룽나무는 아래로 늘어지는데.........에고~! 내 의심병 어디 가나? 벚지나무 종류 중에 하나일 것 같은데....그래도 귀룽나무로 봐야겠다. 귀룽나무는 꽃 속에 노란색이 강한데 이 녀석은 노란색이 없다. 꽃잎이 가침박달처럼 꽃잎 기부가 엉성하다. 이 녀석이 귀룽나무다. 이 녀석의 잎 요건 귀룽나무의 잎이다. 잎은 거의 비슷하다. 제주왕벚나무 Prunus × nudiflora : https://qweenbee.tistory.com/8900865 https://qw.. 2010. 5. 20. 귀룽나무(장미과) 2010. 5. 16. 귀룽나무가 하얗게 꽃을 달고 바람에 그네를 타고 있다. 강원도의 숲은 귀룽나무, 개벚지나무, 야광나무, 세로티나벚나무들로 온통 하얗다. 헌데 귀룽나무랑 거의 흡사한 종이 있는데 화서가 좀 다른 게 보인다. 그 녀석은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을까? 제주왕벚나무 Prunus × nudiflora : https://qweenbee.tistory.com/8900865 https://qweenbee.tistory.com/8902170 제주왕벚나무 동아 : https://qweenbee.tistory.com/8910049 일본산 왕벚나무 Prunus × yedoensis : https://qweenbee.tistory.com/8902253 https://qweenbee.tistory.com/8.. 2010. 5. 20. 가시오갈피나무(두릅나무과) 2010. 5. 16. 강원도. 까치밥나무를 담느라 숲 속에서 웅크리고 다니는데 자그마한 가시오갈피나무가 두어 그루 보인다. 작년에도 이 정도 크기의 가시오갈피나무를 담았었다. 이 녀석은 약재로 인기가 있어서 보이는대로 수난을 당하는 모양이다. 검색 조회가 많은 녀석 중 하나다. 있는 장.. 2010. 5. 20. 이전 1 ··· 1588 1589 1590 1591 1592 1593 1594 ··· 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