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공부방/신종 미기록종 연구논문

사철검은재나무(Symplocos nakaharae (Hayata) Masam.)의 분류학적 실체 및 국내 분포 _54회 한국식물분류학회 학술대회 포스터

by 여왕벌. 2023. 1. 30.

사철검은재나무라.........목록으로만 있던 녀석이 하나 나타났다.

상록의 검은재나무와 비슷하지만 잎 가장자리가 말린다고 한다.

 

초록은 볼 수 있는데 

온라인포스터의 창이 열리지 않아서 PDF 파일을 볼 수가 없다.

학술대회가 끝이나면 볼 수 있을라나?

 

구글에서 가져온 일본 자료이다 

 

 

표준식물목록의 학명

사철검은재나무: Symplocos lucida (Thunb.) Siebold & Zucc.

검은재나무 : Symplocos prunifolia Siebold & Zucc.

 

사철검은재나무(Symplocos nakaharae (Hayata) Masam.)의
분류학적 실체 및 국내 분포
 
최영민1, 한병우p2, 조웅래1, 현진오2
 
1한국파라택소노미스트회, 하남; 2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 하남
 
 
 
60년 전 문헌으로만 기록된 후, 실체가 확인되지 않았던 사철검은재나무(Symplocos nakaharae (Hayata) Masam.)의 자생지를 경상남도 거제도에서 발견하여 보고한다. 
사철검은재나무는 한국산 노린재나무속(Symplocos) 식물 중 검은재나무(S. sumuntia Buch.-Ham. ex D. Don)와 함께 상록수이므로 검노린재나무(S. tanakana Nakai), 노린재나무(S. sawafutagi Nagam.), 섬노린재(S. coreana (H. L?v.) Ohwi) 등 낙엽성 식물들과 구분된다. 또한 사철검은재나무는 제주도에 자생하는 검은재나무에 비해 잎가장자리가 안쪽으로 말리며, 꽃차례는 털이 없고, 대부분 응축된 형태로서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열매에 턱잎이 숙존하는 것도 식별형질이다. 거제도 자생지는 면적 약 26,000㎡의 대규모 자생지로서 바닷가에 인접해 있다. 
생육지 식생은 곰솔, 소나무 숲으로 아교목층에는 굴참나무, 사스레피나무, 관목층에는 거제딸기, 초피나무, 초본층에는 으름덩굴, 자금우, 주름조개풀 등이 자라고 있다. 지름 23cm, 높이 15m의 개체를 비롯하여, 200여 그루가 자생하고 있다. 그동안 문헌에서만 한반도에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온 식물들의 자생 여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한데, 매화오리나무(Clethra barbinervis Siebold & Zucc.), 거미난(Taeniophyllum glandulosum Blume), 황새승마(Actaea cimicifuga L.) 등이 문헌에는 기재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한반도에 분포하지 않는 대표적인 식물이다. 사철검은재나무도 문헌에만 기록되었을 뿐, 지금까지 한반도에서 채집된 표본이 전혀 없어 한반도 미분포 식물로 여겨져 왔다.

 

 

검노린재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0111    http://blog.daum.net/qweenbee/8888014

http://blog.daum.net/qweenbee/8893875     http://blog.daum.net/qweenbee/8895699

http://blog.daum.net/qweenbee/8895754     http://blog.daum.net/qweenbee/8895798

http://blog.daum.net/qweenbee/8895712     http://blog.daum.net/qweenbee/8905375

검노린재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7188   http://blog.daum.net/qweenbee/8891095

http://blog.daum.net/qweenbee/8894129    http://blog.daum.net/qweenbee/8894686

http://blog.daum.net/qweenbee/8894863    http://blog.daum.net/qweenbee/8894688

http://blog.daum.net/qweenbee/8901714    http://blog.daum.net/qweenbee/8896917

http://blog.daum.net/qweenbee/8894688    blog.daum.net/qweenbee/8906251

검노린재 종자 : http://blog.daum.net/qweenbee/8897004    http://blog.daum.net/qweenbee/8897005

검노린재 동아 : http://blog.daum.net/qweenbee/8900637

 

노린재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0112   http://blog.daum.net/qweenbee/8885995

http://blog.daum.net/qweenbee/8891874     http://blog.daum.net/qweenbee/8899397

http://blog.daum.net/qweenbee/8900952     blog.daum.net/qweenbee/8905825

노린재나무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7192   http://blog.daum.net/qweenbee/8890901

http://blog.daum.net/qweenbee/8894687     http://blog.daum.net/qweenbee/8898287

노린재나무 동아 : http://blog.daum.net/qweenbee/8895346    http://blog.daum.net/qweenbee/8903564

 

섬노린재 꽃 :

섬노린재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904196

섬노린재 종자 :

 

사철검은재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910020    https://qweenbee.tistory.com/8910095   

          https://qweenbee.tistory.com/8910111

 

검은재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902434

검은재나무 : http://blog.daum.net/qweenbee/8889428     http://blog.daum.net/qweenbee/8895455

http://blog.daum.net/qweenbee/8904207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