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5955

만첩빈도리(수국과 말발도리속) 열매 Deutzia crenata f. plena Schneid 2025. 11. 17. 동네. 대마도에서 만난 둥근말발도리 정체를 찾는다고 수변천에 심어 둔 이 녀석 열매를 촬영했는데둥근말발도리처럼 열매와 화축, 어린가지에 털이 많이 보이는데화축의 털은 성모로 보이기도 하고 어린가지는 누운털로 보이기도 한다. 잎 뒷면에도 누운털이 많이 보인다.(여름에 다시 관찰해야 털의 성격이 파악될 것 같다) 햇가지의 털 물참대 : https://qweenbee.tistory.com/8885942 https://qweenbee.tistory.com/8889955 https://qweenbee.tistory.com/8888023 https://qweenbee.tistory.com/8891881 https://qwee.. 2025. 11. 18.
대마도식물- 둥근말발도리(수국과 말발도리속) Deutzia scabra Thunb. 2025. 10. 10. 오메가 해안. 분명 담았는데 아무리 찾아도 안 보여서내 기억의 오류인 줄 알았더니 내 기억이 맞았다. ㅎㅎ 이 녀석도 바위산 초입에서 만났던 말발도리속 녀석과 같은 녀석이다.화축, 화경, 꽃받침, 잎에 성모가 가득하다. 잎맥이 깊고 잎끝이 급하게 짧다 블친이 알려 준 학명 Deutzia scabra 로 며칠을 검색 끝에 드뎌 위키페디아에서 같은 이미지의 자료를 찾았다.(구글에서는 만첩빈도리 이미지가 대부분이라 이 학명이 아닌 것 같아서 정리를 하지 못하고 있었더랬다)원산지가 일본으로 고유종인 것 같다.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이 학명에 둥근말발도리란 국명을 붙여 두었다Deutzia scabra는 일본이 원산지인 수국과(Hydrangeaceae)에 속하는 꽃식물 종으로, 동아시아 본.. 2025. 11. 18.
둥근바위솔(돌나물과 바위솔속)Orostachys malacophylla (Pall.) Fisch. 2025. 11. 15. 경북 동해안. 누구나 다 아는 그 곳.올해는 바위솔이 대풍이었다. 좀바위솔 : https://qweenbee.tistory.com/8889138 https://qweenbee.tistory.com/8887056 https://qweenbee.tistory.com/8890950 https://qweenbee.tistory.com/8894705 https://qweenbee.tistory.com/8898365 https://qweenbee.tistory.com/8900148 https://qweenbee.tistory.com/8906142 https://qweenbee.tistory.com/8906149 https://qweenbee.tistory... 2025. 11. 17.
둥근바위솔(돌나물과 바위솔속)Orostachys malacophylla (Pall.) Fisch. 2025. 11. 15. 경북. 야생화 사이트 정모가 있어서 참석.오랜만에 만나는 회원들 반갑고, 모처럼 바닷가에서 하루를 잘 보냈다. 좀바위솔 : https://qweenbee.tistory.com/8889138 https://qweenbee.tistory.com/8887056 https://qweenbee.tistory.com/8890950 https://qweenbee.tistory.com/8894705 https://qweenbee.tistory.com/8898365 https://qweenbee.tistory.com/8900148 https://qweenbee.tistory.com/8906142 https://qweenbee.tistory.com/8906149 .. 2025. 11. 17.
몽골식물 -양귀비과 현호색속 Corydalis sibirica (L.f.) Pers 2025. 8. 5. 몽골. 오르혼강 주변. 괴불주머니절 식구가 하나 눈에 들어 온다,6월에 왔을 때도 처음 보는 괴불주머니 식구를 담은 적이 있는데꽃색은 다르지만 이 녀석도 자잘하게 갈라진 옆형과 짧은 거가 특이한 같은 녀석으로 보인다. 눈괴불주머니 : https://qweenbee.tistory.com/8910589 선괴불주머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06 https://qweenbee.tistory.com/8886648 https://qweenbee.tistory.com/8899816선괴불주머니 열매: https://qweenbee.tistory.com/8894728 https://qweenbee.tistory.com/89.. 2025. 11. 17.
대마도식물 - 둥근풍선초(협죽도과) Gomphocarpus physocarpus E.Mey. 2025. 10. 11. 대마도 해안. 3박 4일의 마지막 날 해안 지역을 돌아 다녔다.노지에 보이는 잎이 정향풀을 닮은 녀석을 발견했는데 구글렌즈로 확인해 보니 Gomphocarpus physocarpus 로 일본에 유입된 원예종이 탈줄한 거였다. 열매가 둥근 풍선 처럼 부풀어 오른다고 해서 '둥근풍선초' 또는 '큰풍선초란' 란 유통명으로 국내 조경용으로 들어와 있는 녀석이다.국가표준식물록에도 '둥근풍선초'란 국명으로 재배식물에 등록이 되어 있다. 남아프리카 원산이다, 잎을 따 보니 흰 유액이 나왔다.이 종의 원산지는 S. 모잠비크에서 S. 아프리카입니다. 관목이며 주로 계절에 따라 건조한 열대 생물 군계에서 자랍니다. 환경적 용도와 사회적 용도, 독과 약으로 사용됩니다. 해와 사이트에서 퍼온 열매 사.. 2025. 11. 17.
대마도식물 -새깃아재비(새깃아재비과 새깃아재비속) Woodwardia japonica (L.f.) Sm. 2025. 10. 9. 대마도. 국내에서는 보기 드문 양치류로 알고 있다.대마도에서도 드물게 만났다.그런데 엄청 큰 녀석이다. 2025. 11. 17.
대마도식물 - 만년청(닭의장풀과 만년청속) Rohdea japonica (Thunb.) Roth 2025. 10. 9. 대마도. 이틀 째 연속 산행에 산 정상 까지 너무 힘들게 따라 올랐다.중간에 포기하겠다고 까지 했지만 조금만 가면 된다고 ...결국 그 말에 구역꾸역 올랐는데, 일행 중 한 분이 나와 함께 보조를 맞추어 주어서 정상을 밟을 수가 있었다. 우리나라에는 제주도와 사찰 주변에서 관상용으로 심어놓은 것은 본 적있는데 일본에서는 산 정상에는 만년청이 자생하고 있어서 신기했다. 대마도의 산은 고도가 낮고 섬이라는 환경 때문에 습도가 높아서산 계곡과 정상부의 바위와 나무에 난초류나 양치류, 이끼 등 습기를 좋아하는 식물들이 많이 자라고 있었다. 중국 중북부, 중국 중남부, 중국 남동부, 일본 원산으로 우리나라 전역에서 식재한다. 제주도에 야생 상태로 자라는 엽란은 잎자루가 길며, 꽃은 꽃차례.. 2025. 11. 17.
몽골식물 - 현삼과 송이풀속 Pedicularis labradorica Wirsing 2025. 6. 21. 몽골 테를지국립공원. 6월에 탐사했던 몽골 식물을 이제사 들여다 본다송이풀속이겠지 했던 녀석의 학명을 찾았다. 다른 곳에서는 본 적이 없고 이 곳에서만 딱 한번 처음 만났다. 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9 https://qweenbee.tistory.com/8898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3188 https://qweenbee.tistory.com/8896828 https://qweenbee.tistory.com/8906008 https://qweenbee.tistory.com/8908501 송이풀 새싹 : https://qweenbee.. 2025. 11. 16.
몽골식물-국화과 산솜방망이속 Tephroseris integrifolia(L.) Holub 2025. 6. 21. 몽골 테를지국립공원. 솜방망이랑 비슷하다. 도감과 구글에서 찾았다. 산솜방망이속 Tephroseris integrifolia(L.) Holub헌데 큐에서는 전혀 다른 녀석이다. 줄기 아래 잎 뿌리잎 타원형의 잎에 잎자루가 긴 게 국내 솜방방이와 다르다. 바위솜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44 https://qweenbee.tistory.com/8890167 https://qweenbee.tistory.com/8891837 https://qweenbee.tistory.com/8892026 https://qweenbee.tistory.com/8892030 https://qweenbee.tistory.com/8894406 https.. 2025. 11. 15.
백두산식물 - 참기생꽃 (앵초과 기생꽃속) Trientalis europaea L. 2025. 6. 8. 황송포. 습지 가장자리 수림 아래꿀렁이는 이탄층에 한 송이씩 별을 달고 있다. 참기생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0126 https://qweenbee.tistory.com/8891904 https://qweenbee.tistory.com/8891905 https://qweenbee.tistory.com/8895950https://qweenbee.tistory.com/8895951 https://qweenbee.tistory.com/8904101 https://qweenbee.tistory.com/8906456 https://qweenbee.tistory.com/8909863(몽골)https://qweenbee.t.. 2025. 11. 15.
백두산식물 - 함경딸기(장미과 산딸기속) Rubus arcticus L. 2025. 6. 8. 황송포. 짧은 시간 급하게 탐사를 하니 정성들여 담을 수가 없어서 대충 퍽샷을 날린다.초본 같은 키 작은 산딸기속 목본이다. 줄기에 짧은 털이 있으며 가시가 없다. 산딸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2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1https://qweenbee.tistory.com/8888114 https://qweenbee.tistory.com/8887732 https://qweenbee.tistory.com/8887246 https://qweenbee.tistory.com/8889901 https://qweenbee.tistory.com/8905826산딸기 열매 :.. 2025. 1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