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4922 대설산식물-장미과 조팝나무속 마르바시모츠케 Spiraea betulifolia var. aemiliana (C. K. Shunied) Koidz 2024. 7. 6. 대설산 아사히다케. 원산지는 E. 시베리아에서 북일본까지로 잎이 동글동글 귀여운 관목이다. 갈기조팝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4069 https://qweenbee.tistory.com/8891893https://qweenbee.tistory.com/8889987 https://qweenbee.tistory.com/8889290 https://qweenbee.tistory.com/8888315 https://qweenbee.tistory.com/8902595https://qweenbee.tistory.com/8907389 https://qweenbee.tistory.com/8909188 털긴잎조팝나무 꽃 : https://qw.. 2024. 12. 30. 대설산식물 - 백두산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paishanensis Kitag.= Ranunculus acris L. subsp. nipp 2024. 7. 5. 대설산 구로다케. 오르는 등산로 좌우에 금매화속 녀석과 함께 노랗게 길 밝혀주던 녀석이다. 지난해 이 녀석을 백두산미나리아재비로 동정을 했는데 일본고산식물도감에 실려 있는 Ranunculus acris subsp. nipponicus 와 같은 녀석으로 일본명 '미얀마킨포우게' ミャンマーキンポーゲ 대표적 일본 고산식물의 하나로 변이 폭이 넓다. 큐식물 사이트에서는 Ranunculus paishanensis Kitag.의 동의어로 기재되어 있다.Ranunculus paishanensis 는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백두산미나리아재비' 의 학명으로 정리되어 있다. 개구리갓 :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8 https://qweenbee.tistory.. 2024. 12. 30. 북해도식물 - 솔나물(꼭두서니과 솔나물속) Galium verum L. subsp. asiaticum (Nakai) T.Yamaz. 2024. 7. 5. 온천지구 숙소 주변에서 이른 아침 시간 무작정 탐사로 만난 솔나물 녀석이다.색이 연노랑, 노랑, 흰색 등 다양하게 나타나서 혹시 다른 녀석일까 살폈는데 그냥 솔나물로 봐야겠다, 애기솔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82 https://qweenbee.tistory.com/8888555https://qweenbee.tistory.com/8890913 https://qweenbee.tistory.com/8894424 솔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890914 https://qweenbee.tistory.com/8888292https://qweenbee.tistory.com/8896115 ht.. 2024. 12. 29. 북해도식물-구름꿩의밥(골풀과 꿩의밥속) Luzula oligantha Sam. 2024. 7. 5. 구로다케. 열매가 익어가는 녀석들이 대부분인데 위로 올라가니 꽃도 피우고 있다.> Luzula oligantha 꽃은 어두운 갈색 또는 짙은 갈색으로 줄기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우산모양꽃차례로 달린다. 열매는 삭과, 삼릉상 난형으로 화피보다 길다. 씨는 타원형, 길이 1.0~1.3mm, 폭 0.6mm다. 산새밥에 비해 외화피편과 내화피편의 길이가 거의 같고, 꽃밥이 수술대 길이의 절반 쯤이므로 구분된다. Luzula nipponica 산꿩의밥과 비슷한 형태이지만, 높이가 평균 19.5cm 내외로서 작으며, 줄기는 다소 굵고 소화서 축은 평균 1.1cm 내외로서 두상화가 밀집된 형태로 나타났다. 또한 이 종의 뚜렷한 특징은 아래 포길이가 평균 4.1cm로서 화서보다 훨씬 길.. 2024. 12. 29. 가는오이풀(장미과 오이풀속) Sanguisorba × tenuifolia Fisch. ex Link 2022. 9. 20. 수목원 식재. 화서가 급하게 아래로 늘어지면서 가늘고 길다. 화사가 꽃밥보다 더 넓다. 원산지는 중국 북중부, 만주, 내몽골, 몽골, 일본 캄차카 하바롭스크 쿠릴 제도, 연해주, 사할린, 대한민국이다. 오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6638 https://qweenbee.tistory.com/8892762https://qweenbee.tistory.com/8901346 구슬오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909 https://qweenbee.tistory.com/8894425 https://qweenbee.tistory.com/8899872 https://qweenbee.tistor.. 2024. 12. 27. 귀리(벼과 귀리속) Avena sativa L. 2023. 5. 21. 전남. 처음에는 왜 메귀리를 이렇게 심어 놓았을까 하며 가축사료용으로 재배하는 줄알았더니곡물인 귀리를 재배하고 있다는 걸 나중에서야 눈치를 채었다. ㅎㅎ 귀리 : https://qweenbee.tistory.com/8911608 메귀리 : https://qweenbee.tistory.com/8907056 https://qweenbee.tistory.com/8907057 https://qweenbee.tistory.com/8907203 https://qweenbee.tistory.com/8907916 https://qweenbee.tistory.com/8908773 ******************************************.. 2024. 12. 27. 기장(벼과 기장속) Panicum miliaceum L. 2022. 8. 27. 강원도 재배. 분명 촬영해 둔 것 같았는데 언제 촬영한지 몰라서 정리를 못했더니 오늘에야 파일을 찾았다. 기장 : https://qweenbee.tistory.com/8907781 https://qweenbee.tistory.com/8911606 개기장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81 https://qweenbee.tistory.com/8890867 https://qweenbee.tistory.com/8886955 https://qweenbee.tistory.com/8906475 https://qweenbee.tistory.com/8906477 개기장 영과 : https://qweenbee.t.. 2024. 12. 26. 북해도식물-구름꿩의밥(골풀과 꿩의밥속) Luzula oligantha Sam. 2024. 7. 5. 온천지구 이른 아침. 구로다케와 숙소 주변 숲에서 만난 녀석이다 > Luzula oligantha 꽃은 어두운 갈색 또는 짙은 갈색으로 줄기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우산모양꽃차례로 달린다. 열매는 삭과, 삼릉상 난형으로 화피보다 길다. 씨는 타원형, 길이 1.0~1.3mm, 폭 0.6mm다. 산새밥에 비해 외화피편과 내화피편의 길이가 거의 같고, 꽃밥이 수술대 길이의 절반 쯤이므로 구분된다. Luzula nipponica 산꿩의밥과 비슷한 형태이지만, 높이가 평균 19.5cm 내외로서 작으며, 줄기는 다소 굵고 소화서 축은 평균 1.1cm 내외로서 두상화가 밀집된 형태로 나타났다. 또한 이 종의 뚜렷한 특징은 아래 포길이가 평균 4.1cm로서 화서보다 훨씬 길게 나오며, 소.. 2024. 12. 26. 줄사초(사초과 사초속) Carex lenta D.Don 2024. 12. 17. 사초과 식물 대부분 5~6월이면 열매가 결실되어 떨어지는데그 중에서 가장 늦은 9월 쯤에 꽃을 피우고 이제서야 결실을 하는 녀석이 줄사초이다. 줄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6599 https://qweenbee.tistory.com/8908234 https://qweenbee.tistory.com/8909744 https://qweenbee.tistory.com/8911604 2024. 12. 24. 치자나무(꼭두서니과 치자나무속) Gardenia jasminoides J. Ellis 2024. 12. 17. 민가나 사찰에 주로 식재하는 녀석이 숲에서 나타났다.가까운 곳에 유실수를 심은 농가가 있긴 한데 거기서 심어놓은 건지 모르겠다. 베트남, 인도, 인도차이나, 일본, 중국, 타이완, 태국 등에 분포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중국에서 도입하여 관상용으로 심어 기르던 것이 야생화하여 숲 가장자리, 계곡과 산기슭, 들판 등에서 자란다. 열매에서 노란 물이 우러나서 염료로 쓰이기도 한다. 치자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0360치자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6987 https://qweenbee.tistory.com/8901853 https://qweenbee.tistory.c.. 2024. 12. 24. 사철검은재나무(노린재나무과 노린재나무속) Symplocos nakaharae (Hayata) Masam 2024. 12. 17. 날씨 때문일까? 예년보다 높은 기온이 계속되자 이른 봄에 피는 꽃이 벌써 폈다.하기사 개복수초가 12월에 피는 곳도 있으니. 꽃의 모습은 정상적인 모습이 아니고 수술도 제대로 나타나지 않고 있다. 검노린재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0111 https://qweenbee.tistory.com/8888014 https://qweenbee.tistory.com/8893875 https://qweenbee.tistory.com/8895699 https://qweenbee.tistory.com/8895754 https://qweenbee.tistory.com/8895712 https://.. 2024. 12. 23. 대설산식물-치시마엉겅퀴(국화과 엉겅퀴속) チシマアザミ kamtschaticum Ledeb. ex DC. 2024. 7. 5. 대설산 구로다케. 로프웨이 승강장 주변에서 만난 녀석이다. 그 곳은 약간 습기가 느껴지는 지역이다.잎가장자리와 기부에 잔 가시가 있지만 일반적인 억센 엉겅퀴 가시가 아니며, 엽신에 얕은 결각이 있고 부드럽고 위쪽에서 꽃가지가 많이 분지한다. 이 녀석 정체를 찾으려고 도감과 사이트와 이미지 검색을 엄청했는데 비슷하긴 하지만 확실하지 않아서 정리를 하지 못하였더니 며칠 만에 겨우 녀석의 정체를 찾았다.지난 해 카무이엉겅퀴 학명을 찾으면서 치시마엉겅퀴에도 접근했었는데도 그 녀석과 연결짓지 못하고 며칠 고생을 했다학명을 찾고서 이미지를 검색하니 대설산에서 촬영했다는 일본 자료가 많이 나타난다. Cirsium kamtschaticum 으로 일본명 '치시마엉겅퀴' チシマアザミ 으로 일본 북해.. 2024. 12. 22. 이전 1 2 3 4 5 6 7 8 ··· 20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