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3409

할미꽃(미나리아재비과 할미꽃속) Pulsatilla koreana (Y.Yabe ex Nakai) Nakai ex T.Mori 2023. 3. 16. 대구. 산개나리 때문에 내려갔다가 산개나리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돌아오는 길에 고ㄷ속도로가 내려다 보이는 언덕에 잠시 들렀다. 이제 마악 굽은 허리 펴고 붉은 세월 전설을 만드려는 할미 앞에 무릎을 꿇었다. 할미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1444 http://blog.daum.net/qweenbee/8889538 http://blog.daum.net/qweenbee/8898516 http://blog.daum.net/qweenbee/8903623 http://blog.daum.net/qweenbee/8905067 blog.daum.net/qweenbee/8906809 (노랑) https://blog.daum.net/qweenbee/89082.. 2023. 3. 16.
쇠뿔현호색(양귀비과 현호색속) Corydalis cornupetala Y.H.Kim & J.H.Jeong 2023. 3. 15. 경북. 숲 관리를 하면서 작은 관목을 모두 베어 버린 덕분에 쇠뿔현호색 개체가 엄청 많아진 것 같다. 걸리적 거리는 것이 없으니 사진 촬영에도 많이 도움이 되었다. 이 곳 숲에만 자생하는 녀석은 화관 위 아래 순판이 소의 뿔처럼 길게 갈라진 모습이 인상적이다 쇠뿔현호색 : http://blog.daum.net/qweenbee/8889532 http://blog.daum.net/qweenbee/8889533 http://blog.daum.net/qweenbee/8891435 http://blog.daum.net/qweenbee/8891434 http://blog.daum.net/qweenbee/8887564 http://blog.daum.net/qweenbee/8893206 http.. 2023. 3. 16.
노루귀(미나리아재비과 노루귀속) Hepatica asiatica Nakai 2023. 3. 14. 산사숲. 산개나리와 의성개나리 개화 시기를 살피러 산사숲에 들렀다가 노루귀랑 한참 놀았다. 고운사에 2년간 머문 적 있으시다는 상주에 계시는 스님도 노루귀를 담고 계셨는데 사진도 잘 찍고 얘기도 재미있게 잘 하셔서 코치 받아가면서 작품(?)을 만들었는더니 그런대로 분위기가 나온 것 같다. 노루귀 : http://blog.daum.net/qweenbee/8891445 http://blog.daum.net/qweenbee/8891446 http://blog.daum.net/qweenbee/8891412 http://blog.daum.net/qweenbee/8891413 http://blog.daum.net/qweenbee/8893251 http://blog.daum.net/qweenb.. 2023. 3. 14.
올괴불나무(인동과 인동속) Lonicera praeflorens Batalin 2023. 3. 13. 경북. 벌써 자주색 꽃신을 벗어버린 발레리나. 괴불나무족 중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꽃을 피운다. 괴불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89956 http://blog.daum.net/qweenbee/8893063 http://blog.daum.net/qweenbee/8897766 http://blog.daum.net/qweenbee/8904786 blog.daum.net/qweenbee/8905396 괴불나무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9162 http://blog.daum.net/qweenbee/8894627 http://blog.daum.net/qweenbee/8892742 http://blog.dau.. 2023. 3. 14.
생강나무(녹나무과 생강나무속) Lindera obtusiloba Blume 2023. 3. 13. 경북. 상수리와 갈참나무는 아직 움도 트지 않은 산사 숲에 벌써 생강나무는 노랗게 꽃을 피웠다. 수꽃이다. 암꽃이다. 비목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87751 http://blog.daum.net/qweenbee/8889854 http://blog.daum.net/qweenbee/8895451 http://blog.daum.net/qweenbee/8897344 https://blog.daum.net/qweenbee/8907072 비목나무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9022 http://blog.daum.net/qweenbee/8886680 http://blog.daum.net/qweenbee/889.. 2023. 3. 14.
개암나무(자작나무과 개암나무속) Corylus heterophylla Fisch. ex Trautv. 2023. 3. 13. 경북. 오랜만에 산사 숲에 들렀다. 여고 후배가 동네 초입에 넓게 터를 잡고 갤러리와 그림 작업실을 운영하는 곳. 가끔 이 곳을 지나면 그녀의 안부를 물으면서 잠시 이야기를 나누곤 한다. 간호사 생활을 접고 하고싶던 그림을 위하여 늦은 나이에 미술대학교에 들어 가서 학부를 마치고 유럽 쪽으로 유학까지 다녀온 화가 김종희. 자신의 꿈을 위하여 과감히 도전을 할 수 있는 용기는 후배가 아닌 선배이다. 육순이 다 된 나이에 뒤늦게 의사와 결혼하여 친구처럼 살아가는 그녀의 인생이 박수를 보낸다. 개암나무 암꽃의 붉은 촉수가 그녀의 인생처럼 정열적이다. 주렴처럼 늘어뜨린 수꽃은 이미 꽃가루를 다 뿌렸다. 참개암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87624 .. 2023. 3. 14.
국내의 감자개발나물(미나리과 개발나물속)과 대암개발나물의 실체 Sium tenue Kom 2022. 12. 5. 감자개발나물 검토 2탄이다. 꽃동무가 물개발나물이라고 올린 자료의 오류를 확인하다가 여기까지 오게 되었다. 벌써 정리해 두고 여태 비공개로 두었다가 공개로 돌린다. 국가 기관에 올려진 대암개발나물 관련 정보는 아래와 같다. -한반도생물다양성 포털 - 대암개발나물 Sium heterophyllum Y.N.Lee 은 강원도 대암산과 대관령의 습지 또는 물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거나 땅 위로 눕고, 속이 비어 있다. 덩이뿌리는 창형 또는 난형이다. 잎은 홑잎과 겹잎을 모두 가진다. 꽃은 지름 3.5cm쯤의 산형화서를 이루고, 포는 선형으로 3~5개다. 꽃잎은 5개, 흰색이다. 열매는 난형이다. 홑잎과 겹잎이 함께 달려 개발나물속(Sium)의 다른 식물들과 구분된.. 2023. 3. 13.
감자개발나물(미나리과 개발나물속) 재조명 _ 주아의 실체 Sium ninsi L. 2022. 11. 23. 꽃동무가 물개발나물이라고 올린 자료를 확인하다가 국내의 감자개발나물 분포의 존재에 대한 의문을 품게 되었다. 국립수목원 포털이나 생물종다양성 포털에는 감자개발나물은 근생엽과 줄기 아래 잎이 깃꼴로 갈라지고, 근경은 짧고 뿌리는 방추형으로 굵은 뿌리를 가지고 있으며 가을철에 잎겨드랑이에 주아(살눈)가 달리기도 하는 특징이 있다고 기록이 되어 있다.. 하지만 여태 국내의 감자개발나물이라는 녀석의 잎겨드랑이에 있다는 주아를 본 적이 없다.(물론 전국을 다 뒤진 것은 아니다) 꽃이나 열매를 촬영할 때 살눈이 있을까 살펴보기도 하지만 그 살눈이 내 눈에는 한 번도 나타나주지 않았던 것이다. 국내에는 이 주아를 촬영한 자료가 전무한 것 같다. 이참에 감자개발나물의 주아에 대하여 확인해 보려.. 2023. 3. 13.
너도바람꽃(미나리아재비과 너도바람꽃속) Eranthis stellata Maxim. 2023. 3. 11. ㅊ산. 경북 북부지역에서 가장 늦게 너도바람이 피는 곳이다 문경이나 괴산 지역의 골짜기는 이미 절정이 넘어 사그러지고 있는데 이제 싱싱하게 피어나고 있었다, http://blog.daum.net/qweenbee/8890296 http://blog.daum.net/qweenbee/8886127 http://blog.daum.net/qweenbee/8896528 http://blog.daum.net/qweenbee/8896529 http://blog.daum.net/qweenbee/8887929 http://blog.daum.net/qweenbee/8887871 http://blog.daum.net/qweenbee/8891646 http://blog.daum.net/qweenbee/8.. 2023. 3. 13.
참개암나무(자작나무과 개암나무속) Corylus sieboldiana Blume 2023. 3. 11. 경북 잔가지와 암꽃포의 부드러운 털이 일단 개암나무는 아니고 물개암나무나 참개암나무로 보인다. 그래도 수꽃 화서가 길고 포가 불그레한 색을 띠 점으로 참개암나무로 정리해 둔다 잎과 열매가 달릴 때 다시 확인해 봐야겠다. 참개암나무 물개암나무 열매를 싸고 있는 포가 열매 아래서 부터 급하게 좁아지며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며 얕게 갈라진다 열매의 포가 열매 아래에서 완만하게 폭이 줄어든다. 물개암나무에 비하여 잎이 좁고 작으며 잎 뒷면 맥위, 맥액에 긴털, 잎자루에 거센 털이 없으며 뒷면 광택이 있다. 잎의 폭이 참개암나무보다 더 넓고 둥글며 결각이 더 뚜렷하다. 잎 표면과 뒷면 맥 위에 긴털이 있으며, 잎자루에 털이 있다. 주로 강원 이남(경남, 전북 이남) 에 분포한다. 전국의 높.. 2023. 3. 13.
노루귀(미나리아재비과 노루귀속) Hepatica asiatica Nakai 2023. 3. 10. 대구. 소복하니 무더기로 피어 있는 분홍색 노루귀가 정말 이쁘다. 우리 꿀벌 아그도 여왕벌 앞에서 재롱을 피워주어서 더 반갑다. 노루귀 : http://blog.daum.net/qweenbee/8891445 http://blog.daum.net/qweenbee/8891446 http://blog.daum.net/qweenbee/8891412 http://blog.daum.net/qweenbee/8891413 http://blog.daum.net/qweenbee/8893251 http://blog.daum.net/qweenbee/8893252 http://blog.daum.net/qweenbee/8895348 http://blog.daum.net/qweenbee/8902080 노루귀.. 2023. 3. 12.
제주산버들(버드나무과 버드나무속) 동아 Salix blinii H.Lév. 2023. 1. 13. 제주. 지금 쯤 꽃이 폈을 게다. 한라산 고지대에 자생한다 아래는 생태숲에 식재되어 있던 녀석이다. 버드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87696 http://blog.daum.net/qweenbee/8891512 http://blog.daum.net/qweenbee/8893331 http://blog.daum.net/qweenbee/8895375 http://blog.daum.net/qweenbee/8895376 http://blog.daum.net/qweenbee/8897268 http://blog.daum.net/qweenbee/8897312 http://blog.daum.net/qweenbee/8899041 http://blog.daum.. 2023. 3.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