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5958

몽골식물 - 향용머리(꿀풀과 용머리속) Dracocephalum moldavica L. 2025. 8. 8. 몽골. 카투만두로 이동하며 잠시 휴식 중에. 몽골 도감을 보면 비슷한 녀석으로 Dracocephalum moldavicum 과 Dracocephalum foetidum 인데Dracocephalum moldavicum 학명은 큐에서는 검색되지 않고 Dracocephalum moldavica 가 등록이 되어 있다.국가표준목록에 용머리속에 2016년 미기록식물로 보고된 향용머리 Dracocephalum moldavica L.란 녀석이 있는데내가 델꼬온 녀석과 거의 비슷하다. 향용머리는 중국, 유럽 등에서도 원예용으로 재배되고 있거나, 약용식물로 이용되고 있으며 국내 유입은 재배식물 또는 관상용으로 식물원이나 화원에 도입된 후 국내에 정착한 것으로 보고 있다,향용머리는 잎이 주걱형 혹.. 2025. 11. 13.
몽골식물 - 큰꽃개박하(꿀풀과 개박하속) Nepeta sibirica L. 2025. 8. 8. 몽골.강변 공원 같은 동네 주변에 군락을 지으며 과화 중인데 자생인지 심은 건지 좀 애매하다. 큰 도감에서는 이 녀석을 찾지 못했는데 작은 도감에서 찾았다.개박하속 Nepeta sibirica 인 것 같은데 개박하속에도 꽃받침 열편에 따라 종 구분이 되어 쉽지가 않다. 에혀~!! 일단 Nepeta sibirica으로 동정하는데, 알타이식물 탐사기에 큰꽃개박하로 명명해 놓아서 그레 따라 국명을 정리한다. 파리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647 https://qweenbee.tistory.com/8886251https://qweenbee.tistory.com/8898269 https://qweenbee.tistory.com/88988.. 2025. 11. 13.
몽골식물- 솔체꽃(산토끼꽃과 체꽃속) Scabiosa comosa Fisch. ex Roem. & Schult. 2025. 8. 몽골. 이동 중 언덕과 초지에서 만난 솔체꽃. 산토끼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8823 https://qweenbee.tistory.com/8886765https://qweenbee.tistory.com/8892682 https://qweenbee.tistory.com/8886793https://qweenbee.tistory.com/8896289 https://qweenbee.tistory.com/8898916https://qweenbee.tistory.com/8901681 https://qweenbee.tistory.com/8903020https://qweenbee.tistory.com/8905833 https://qween.. 2025. 11. 13.
몽골식물 - 실쑥(국화과 실쑥속) Filifolium sibiricum (L.) Kitam. 2025. 6. 몽골. 이 녀석은 쑥속이 아니라 별도의 자기 속을 가지고 있다. 비쑥??: https://qweenbee.tistory.com/8892956 https://qweenbee.tistory.com/8892953 https://qweenbee.tistory.com/8890178 https://qweenbee.tistory.com/8895811https://qweenbee.tistory.com/8896241 https://qweenbee.tistory.com/8898114 큰비쑥 : https://qweenbee.tistory.com/8889400 https://qweenbee.tistory.com/8893832 https://qweenbee.tis.. 2025. 11. 13.
몽골식물 -댕댕이나무(인동과 인동속) 열매 Lonicera caerulea L. 2025. 8. 5. 차강노르 분화구. 뒤쳐져서 분화구로 오른 수림 아래에서 백두산에서 자주 만나던 열매를 달고 있는 댕댕이나무를 만났다.예전에는 개들쭉나무라 분류되어 있더랬는데 지금은 댕댕이나무의 이명으로 처리가 되어 있다. 구슬댕댕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8223 https://qweenbee.tistory.com/8892104 https://qweenbee.tistory.com/8892105구슬댕댕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9101 https://qweenbee.tistory.com/8887087 https://qweenbee.tistory.com/888.. 2025. 11. 13.
몽골식물- 석죽과 2025. 8. 6. 차강노르. 숲 초입에서 만난 석죽과 녀석이다.꽃은 벼룩이울타리 크기인데, 잎이 점나도나물쪽 같다. 2025. 11. 13.
몽골식물- 금방망이(국화과 금방망이속) Senecio nemorensis L. 2025. 8. 7. 몽골 차강노르. 숙소 뒤에 있는 3500고지를 향하여 오르는 수림 아래노랗게 꽃을 피운 금방망이가 무리지어 나타난다. 앞 선 일행을 따라 잡아 올라야 하는데 더딘 발걸음에 마음이 조급해진다.그래도 급하게 몇 컷 인증샷!! 금방망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0783 https://qweenbee.tistory.com/8888551https://qweenbee.tistory.com/8894405 https://qweenbee.tistory.com/8899876https://qweenbee.tistory.com/8901280 https://qweenbee.tistory.com/8898874 (몽골)https://qweenbee... 2025. 11. 13.
방동사니아재비(사초과 방동사니속) Cyperus cyperoides (L.) Kuntze 2025. 9. 16. 제주. 이 녀석은 제주도 여기 저기서 늘 자라고 있었더랬다.다만 내가 녀석을 발견하지 못하고 못 봐 준 것이었던 거다. 9월 제주도 여행에서 만났던 몇 종 중에 의미있는 만남이었다. 2025. 11. 13.
제주상사화(수선화과 상사화속) Lycoris × chejuensis K.H.Tae & S.C.Ko 2025. 9. 16. 제주. 공원 숲 아래서 오랜만에 만나는 제주상사화. 진노랑상사화 : https://qweenbee.tistory.com/8890896 https://qweenbee.tistory.com/8890895 붉노랑상사화 : https://qweenbee.tistory.com/8892534 제주상사화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46 https://qweenbee.tistory.com/8894698 https://qweenbee.tistory.com/8912617 상사화 : https://qweenbee.tistory.com/8886460 https://qweenbee.tistory.com/8901385 .. 2025. 11. 12.
곰취(국화과 곰취속)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2025. 9. 16. 제주. 곰취 : https://qweenbee.tistory.com/8890832 https://qweenbee.tistory.com/8894198 https://qweenbee.tistory.com/8892395 https://qweenbee.tistory.com/8888557https://qweenbee.tistory.com/8900778 https://qweenbee.tistory.com/8896664 https://qweenbee.tistory.com/8899887 https://qweenbee.tistory.com/8900581 https://qweenbee.tistory.com/8901656 h.. 2025. 11. 12.
미역취(국화과 미역취속)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 (Nakai ex H.Hara) Kitam. ex H.Hara 2025. 9. 16. 제주. 한라산 고지대의 미역취는 전초크기가 왜소하지만 미역취의 환경차이에 따른 모습으로 보고 있다. 미역취 : https://qweenbee.tistory.com/8890837 https://qweenbee.tistory.com/8900471https://qweenbee.tistory.com/8886962 https://qweenbee.tistory.com/8889072https://qweenbee.tistory.com/8900346 https://qweenbee.tistory.com/8896493https://qweenbee.tistory.com/8900343 https://qweenbee.tistory.com/8903266https://qweenbee.tist.. 2025. 11. 12.
바늘엉겅퀴 (국화과 엉겅퀴속) Cirsium rhinoceros (H.Lév. & Vaniot) Nakai 2025. 9. 16. 제주. 제주도 산지 고지대에 자생하는 녀석으로 긴 피침형의 총포가 발달한다. 엉겅퀴(해안형) : https://qweenbee.tistory.com/8890179 https://qweenbee.tistory.com/8886916https://qweenbee.tistory.com/8901298 https://qweenbee.tistory.com/8902508https://qweenbee.tistory.com/8901337 https://qweenbee.tistory.com/8903881엉겅퀴 : https://qweenbee.tistory.com/8901209 https://qweenbee.tistory.com/8901292 ht.. 2025.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