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260 보현개별꽃은 아직 수면 중 2025. 4. 24. 보현이를 찾아야 할 일이 생겼다.식물의 형질을 분석하여 그 위치를 정리하기 ㅎ위한 시료를 채집해야 해서. 산사면을 뒤졌지만 태백개별꽃이 제법 피고 있었고 덩굴개별꽃도 아직 개화한 개체들이 어쩌다 보일 정도라보현개별꽃은 아직 그림자도 안 보인다. 꽃이 펴야 확인을 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 녀석을 찾으려고 2012년 다친 발목 때문에 목발을 짚고 보현산을 뒤져서 결국은 녀석을 찾아 내었다여태 사이버상에서 검색되는 보현개별꽃을 제대로 찾아 놓았던 자료는 딱 하나 밖에 없었고다른 자료는 모두 덩굴개별꽃을 잘못 올려 두었던 것이다. 보현개별꽃은 태백개별꽃과 덩굴개별꽃의 교잡종이다. 그래서 결실이 안 된다.꽃은 덩굴개별꽃이요, 전초는 큰(태백)개별꽃의 특징을 닮았다. 꽃잎은 5(6).. 2025. 4. 26. 뫼제비꽃 Viola selkirkii Pursh ex Goldie 2025. 4. 24. 경북. 고산의 뫼제비도 피기 시작이다.민둥뫼제비꽃에 비하여 잎이 둥글고 작으며 무늬가 없다. 뫼제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4014 https://qweenbee.tistory.com/8908801 https://qweenbee.tistory.com/8903927 https://qweenbee.tistory.com/8911098 https://qweenbee.tistory.com/8911916 https://qweenbee.tistory.com/8911938 민등뫼제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7008 https://qweenbee.tistory.com/890.. 2025. 4. 26. 노랑무늬붓꽃(붓꽃과 붓꽃속) Iris odaesanensis Y. N. Lee 2025. 4. 25. 이 군락이 많이 많이 번성하길...... 난장이붓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5932 https://qweenbee.tistory.com/8903955https://qweenbee.tistory.com/8904038 https://qweenbee.tistory.com/8907196 https://qweenbee.tistory.com/8910387 https://qweenbee.tistory.com/8911095난장이붓꽃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8957 솔붓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355 https://qweenbee.tist.. 2025. 4. 26. 노랑무늬붓꽃(붓꽃과 붓꽃속) Iris odaesanensis Y. N. Lee 2025. 4. 25. 몇 년 전 꽃자리 정보를 대충 알고 갔다가 허탕쳤던 곳.꽃동무 덕분에 드뎌 이 곳을 찾아 대면을 하였다. 무리지어서 건강하게 사는 모습을 보니 고맙고 감격스러웠다. 난장이붓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5932 https://qweenbee.tistory.com/8903955https://qweenbee.tistory.com/8904038 https://qweenbee.tistory.com/8907196 https://qweenbee.tistory.com/8910387 https://qweenbee.tistory.com/8911095난장이붓꽃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8957.. 2025. 4. 26. 왜미나리아재비(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Ranunculus franchetii H.Boissieu 2025. 4. 23. 강원도. 참 무성의하게도 찍었다. 자료로서 가치도 없고, 그림도 안 되고, 이러려고 카메라 들고 댕기나?반성합니다. 앞으로 안 그럴게요. 개구리갓 :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8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9https://qweenbee.tistory.com/8889489 https://qweenbee.tistory.com/8897174https://qweenbee.tistory.com/8895284 https://qweenbee.tistory.com/8895474https://qweenbee.tistory.com/8897174 https://qweenbee.tistory.com/8902.. 2025. 4. 26. 홀아비바람꽃(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Anemone koraiensis Nakai 2025. 4. 23. 강원도. 홀아비들이 완전 잔치를 벌이고 있다. https://qweenbee.tistory.com/8890296 https://qweenbee.tistory.com/8886127https://qweenbee.tistory.com/8896528 https://qweenbee.tistory.com/8909086(몽골)https://qweenbee.tistory.com/8910842(몽골) https://qweenbee.tistory.com/8911716(몽골)https://qweenbee.tistory.com/8910844(몽골) https://qweenbee.tistory.com/8896529 https://qweenbee.tistory.com/8887929 h.. 2025. 4. 26. 가지털괭이눈(범의귀과 괭이눈속) Chrysosplenium ramosissimum Y.I.Kim & Y.D.Kim 2025. 4. 23. 무성지가 가지를 많이 치며 잎 표면에 광택이 있는 백색 반점이 밀생한다.무성지는 2~5개가 생기며 결실 후 바닥을 기면서 30cm까지 자라며 옆액에서 2회 이상 가지를 치고 털이 밀생한다. 괭이눈속 종 검색표 : 한림대 김용인 교수의 식물분류학회 공개 강좌 자료(2019. 4)1. 잎 어긋나기 2. 개화기에 포엽이 노란색 --------------------------------------- 시베리아괭이눈(오대산괭이눈) 2. 개화기에 포엽이 녹색 또는 연녹색 3. 무성지가 있고 줄기 잎과 무성지 잎은 이형 ----------------------------------- 애기괭이눈 3. 무성지가 없고 줄기 잎과 무성지 잎은 동형 ---------.. 2025. 4. 25. 서양민들레(국화과 민들레속) Taraxacum officinale F.H.Wigg. 2025. 4. 경북. 서양민들레가 한창 곱다.잎의 날카로운 결각과 부속체로 봐서는 붉은씨서양민들레일 수도 있다. 민들레속 재검토 : https://qweenbee.tistory.com/8902202 털민들레=>민들레 : https://qweenbee.tistory.com/8902174 https://qweenbee.tistory.com/8893415 https://qweenbee.tistory.com/8911909https://qweenbee.tistory.com/8900464 https://qweenbee.tistory.com/8895447https://qweenbee.tistory.com/8899116 https://qweenbee.tistory.com/8.. 2025. 4. 25. 제 이름을 찾은 민들레 Taraxacum mongolicum Hand.-Mazz. 2025. 3. 24. 대구. 그 동안 털민들레란 국명으로 바뀌어 불리던 녀석이 다시 민들레란 이름을 되찾았다.서양민들레나, 붉은씨서양민들레와 달리 총포편이 뒤집어지지 않는다. 흰민들레, 민들레, 산민들레, 좀민들레는 총포편이 뒤집어지지 않는다.흰민들레와 민들레는 총포면에 돌기같은 부속체가 발달한다. 민들레속 재검토 : https://qweenbee.tistory.com/8902202 털민들레=>민들레 : https://qweenbee.tistory.com/8902174 https://qweenbee.tistory.com/8893415 https://qweenbee.tistory.com/8911909https://qweenbee.tistory.com/8900464 h.. 2025. 4. 25. 흰민들레(국화과 민들레속) Taraxacum coreanum Nakai 2025. 4. 20. 밭갈이 하는 트렉터가 화면 안으로 들어온다. 들쭉날쭉 불규칙한 잎의 톱니가 민들레나 서양민들레와 다르다. 민들레속 재검토 : https://qweenbee.tistory.com/8902202 털민들레=>민들레 : https://qweenbee.tistory.com/8902174 https://qweenbee.tistory.com/8893415 https://qweenbee.tistory.com/8911909https://qweenbee.tistory.com/8900464 https://qweenbee.tistory.com/8895447https://qweenbee.tistory.com/8899116 https://qweenbee.tist.. 2025. 4. 25. 물박달나무(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 Betula davurica Pall. 2025. 4. 21. 경북. 큰산, 큰 계곡에 가야 녀석을 만날 수 있었는데박달나무와 함께 참 오랜만에 녀석을 들여다 본다. 수피가 회갈색이고 얇은 조각으로 너덜너덜 떨어지며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4~8cm, 폭 3~6cm, 끝은 뾰족하다. 잎맥 위에 털이 있고, 측맥은 6~8쌍이다. 잎자루에 털이 있다. 꽃은 5월에 암수한그루에 핀다. 수꽃이삭은 원통 모양으로 길이 6~7cm, 밑으로 처진다. 암꽃이삭은 가지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곧추선다. 열매이삭은 원통 모양으로 길이 2~4cm, 폭 1cm 정도이다박달나무에 비해 잎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측맥은 6~8쌍이고, 열매에 날개가 있으므로 구별된다. 자작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7777.. 2025. 4. 24. 박달나무(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 Betula schmidtii Regel 2025. 4. 21. 경북. 박달나무는 목질이 단단하여 순라꾼의 육모방망이를 박달나무로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동해로 가기 위하여 울진 불영계곡과 통고산을 지나는데 박달나무가 엄청 많이 보인다.마침 개화 시기라서 오랜만에 녀석의 꽃을 촬영하였다. 해발 고도 1,000m 이하의 산지에 자라는 낙엽 활엽수이다.나무껍질은 암회색이고, 수령이 오래되면 두껍고 작은 조각으로 떨어진다. 수꽃차례는 가지 끝에 달려서 아래로 처지며, 암꽃차례는 위로 서고 원통형이며 길이가 2~3cm이다. 잎은 어긋나고 난형으로 길이 4~8cm이며, 잎끝은 점차 뾰족해지고, 밑은 넓게 뾰족하다.잎맥은 9~10쌍 어린 유목이나 청년목은 수피가 평활하지만 수령이 오래되면 두껍고 작은 조각으로 떨어진다. 자작나무 꽃 : http.. 2025. 4. 24. 이전 1 ··· 5 6 7 8 9 10 11 ··· 2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