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4922

대설산식물-털둥근갈퀴(꼭두서니과 갈퀴덩굴속) Galium kamtschaticum var. yakusimense 2024. 7. 5.  구로다케.  국내에도 고산 그늘 숲에서 드물게 볼 수 있는 녀석이다.  선갈퀴 : https://qweenbee.tistory.com/8890155    https://qweenbee.tistory.com/8897501    https://qweenbee.tistory.com/8899279     https://qweenbee.tistory.com/8899490https://qweenbee.tistory.com/8902309     https://qweenbee.tistory.com/8908190선갈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3021 https://qweenbee.tistory.com/8896372                https:/.. 2024. 12. 20.
대설산식물 - 꿩의다리속 カラマツソウ Thalictrum aquilegiifolium var. intermedium Nakai 2024. 7. 5. 대설산 구로다케.  이 녀석의 열매를 촬영해 둔 것을 드뎌 찾았다.역시 처음 정리해 두었던 대로 일본 고유종 Thalictrum aquilegiifolium var. intermedium 임을 최종 확인하였다. 어쩌면 묏꿩의다리일 수도 있겠다고 갸웃거렸던 이유는내가 촬영한 이 종의 잎에 소엽병까지 모두 탁엽이 발달해 있는데,일본 고산식물도감에 실린 일본 고유종 Thalictrum aquilegiifolium var. intermedium 의 도감 사진에 탁엽 사진이 실려 있긴 하지만 1~2 소엽병에도 탁엽이 모두 있는지 확인이 다소 미흡하기도 했고,  묏꿩의다리에도 소엽병의 탁엽이 발달하는 점이 같았기 때문이다. 또 묏꿩의다리의 분포가 한국과 일본에 한정적이라는 것도 갸웃거림의 원인.. 2024. 12. 20.
대설산식물- 찐구루마 Sieversia pentapetala (L.) Greene 2024. 7. 6. 아사히다케. 안개가 몰려오기 시작하더니무겁고 낮은 잿빛 구름이 드뎌 빗방울을 떨어뜨리기 시작하여 마음이 급해서 제대로 담을 수가 없었다. 높이이 3~10cm 정도 크기의 왜성 목본이다.잎은 깃꼴겹잎이고 열매는 할미꽃 열매처럼 길고 붉은술이 바람개비처럼 날려서 수레바퀴를 닮았다고 해서  '찐구루마' チングルマ 라고 부른다.  찐구루마 : https://qweenbee.tistory.com/8910729  https://qweenbee.tistory.com/8910730            https://qweenbee.tistory.com/8911598 2024. 12. 19.
대설산식물-산형과 당귀속 Angelica 2024. 7. 6. 아사히다케. 아직 학명을 제대로 찾지 못했다. 왜당귀 : https://qweenbee.tistory.com/8899667   https://qweenbee.tistory.com/8886075https://qweenbee.tistory.com/8893121왜당귀 새싹 :https://qweenbee.tistory.com/8905754 참당귀 : https://qweenbee.tistory.com/8886505     https://qweenbee.tistory.com/8890746https://qweenbee.tistory.com/8895145      https://qweenbee.tistory.com/8896601https://qweenbee.tistory.com/8901975 .. 2024. 12. 19.
북해도식물 -토끼풀 trifolium repens 다양한 품종 2024. 7. 7. 아사히가와  모습 1   모습 2   모습 3 애기노랑토끼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025  https://qweenbee.tistory.com/8891230https://qweenbee.tistory.com/8893411     https://qweenbee.tistory.com/8893803 https://qweenbee.tistory.com/8895420  https://qweenbee.tistory.com/8910296 노랑토끼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9431    https://qweenbee.tistory.com/8902734https://qweenbee.tistory.com/8902735   .. 2024. 12. 19.
내몽골식물-나도마름아재비(미나리아재비과 덩굴미나리아재비속) Halerpestes sarmentosa (Adams) Kom. 2024. 6. 26. 내몽골 사막 호수. 몽골의 습한 초지에서도 만나던 녀석이다.하천이나 습지 주변에 자라며 기는 줄기가 있어서 군락을 이루며 산다.동 유럽에서 부터, 중국, 러시아에 이르기까지 폭 넓게 분포한다. 한반도에서는 북한지역에 자생한다. 개구리갓 :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8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9https://qweenbee.tistory.com/8889489    https://qweenbee.tistory.com/8897174https://qweenbee.tistory.com/8895284    https://qweenbee.tistory.com/8895474https://qweenbee.tistor.. 2024. 12. 19.
내몽골식물 - 명아주과 수송나물속 salsola ruthenica? =Salsola tragus 2024. 6. 27. 내몽골 사막지구. salsola ruthenica 의 이미지가 흡사한데큐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는 나래수송나물 Salsola tragus의 이명으로 처리가 되어 있다.열매가 없으니 날개 유무를 확인할 수가 없다.   호모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1039   https://qweenbee.tistory.com/8891038 https://qweenbee.tistory.com/8909432 (꽃)호모초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8570호모초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8469호모초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1129 꼬리호모초 :.. 2024. 12. 18.
내몽골식물- Cirsium속? cousinia속? 2024. 6. 27. 내몽골 사막지구. 사막 모래산을 뒤지다가 만난 녀석이다.아쉽게도 꽃을 피우지 않아서 면상은 볼 수가 없었다. 아직 속도 헷갈리고 학명을 찾지 못하였다 엉겅퀴(해안형) : https://qweenbee.tistory.com/8890179  https://qweenbee.tistory.com/8886916https://qweenbee.tistory.com/8901298    https://qweenbee.tistory.com/8902508https://qweenbee.tistory.com/8901337    https://qweenbee.tistory.com/8903881엉겅퀴 : https://qweenbee.tistory.com/8901209    https://qweenbee.t.. 2024. 12. 18.
북해도식물 -가새잎개갓냉이(배추과 개갓냉이속) Rorippa sylvestris (L.) Besser 2024. 7. 7. 아사히가와 숙소. 우리나라에도 유입되어 있는 외래식물이다.  가새잎개갓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88573  https://qweenbee.tistory.com/8890387 https://qweenbee.tistory.com/8899495   https://qweenbee.tistory.com/8905521https://qweenbee.tistory.com/8907261  https://qweenbee.tistory.com/8911592가새잎개갓냉이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3618               https://qweenbee.tistory.com/8905039    https://qweenb.. 2024. 12. 16.
북해도식물 - 기는미나리아재비(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Ranunculus repens L. 2024. 7. 7. 아사히다케. 아침 도로변 화단에 들어와 살던 녀석이다.쇼운쿄 온천지구 숲에서 만났던 녀석과는 잎 열편 모습에서 조금 차이가 있어 보이는 듯 하지만 같은 녀석으로 봐야겠다.  출처 : Species - Creeping Buttercup (Ranunculus repens L.) 기는줄기 마디의 뿌리 개구리갓 :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8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9https://qweenbee.tistory.com/8889489    https://qweenbee.tistory.com/8897174https://qweenbee.tistory.com/8895284    https://qweenbee.tist.. 2024. 12. 16.
버들잎엉겅퀴(국화과 엉겅퀴속) Cirsium lineare (Thunb.) Sch.Bip. 2024. 11. 경북. 오래 전 동래엉겅퀴로 불리던 녀석이다.동래로 보기에도 맞지 않던 이 녀석은 결국 남도 섬의 습지에서 만난 버들잎엉겅퀴와 같은 녀석으로 확인이 되었다.  남도 섬 습지에서 만났던 버들잎엉겅퀴의 줄기 아래 잎도 이처럼 결각성을 가진 모습이 나타나고 있었다 엉겅퀴(해안형) : https://qweenbee.tistory.com/8890179  https://qweenbee.tistory.com/8886916https://qweenbee.tistory.com/8901298    https://qweenbee.tistory.com/8902508https://qweenbee.tistory.com/8901337    https://qweenbee.tistory.com/8903881엉겅퀴 : .. 2024. 12. 16.
북해도식물 -서양가시엉컹퀴(국화과 엉겅퀴속) Cirsium vulgare (Savi) Ten. 2024. 7. 8. 아사히다케. 아침시간 도로변을 뒤지다가 만난 녀석이다.이 녀석은 여기서도 외래종으로 유입되어 도로변을 장식하고 있었다.  엉겅퀴(해안형) : https://qweenbee.tistory.com/8890179  https://qweenbee.tistory.com/8886916https://qweenbee.tistory.com/8901298    https://qweenbee.tistory.com/8902508https://qweenbee.tistory.com/8901337    https://qweenbee.tistory.com/8903881엉겅퀴 : https://qweenbee.tistory.com/8901209    https://qweenbee.tistory.com/890129.. 2024. 1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