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955 대마도식물 - 일본전나무(소나무과 전나무속) Abies firma Siebold & Zucc. 2025. 10. 10. 대마도. 바위산 정상부에서 만난 일본전나무 잎은 장타원상 선형이고, 깃털모양으로 2줄로 달리며, 어린 가지의 잎은 끝이 2개로 갈라지고, 늙은 가지의 잎은 둔두이며, 약간 오목하고 뒷면에 회백색 줄이 2개가 있다. 잎 끝이 2갈래로 갈라 있다. 소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9219 https://qweenbee.tistory.com/8889971 https://qweenbee.tistory.com/8907156 곰솔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948 https://qweenbee.tistory.com/8895024 https://qweenbee.tistory.com.. 2025. 11. 22. 메타세쿼이아(낙우송과 메타세쿼이아속)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Hu & W.C.Cheng 2025. 10. 31. 남도. 내년 봉에 꽃 피울 꽃눈이 잡혀서 주렴처럼 늘어져 있다. 메타세쿼이아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4829 https://qweenbee.tistory.com/8895327 https://qweenbee.tistory.com/8912682메타세쿼이아 열매 :https://qweenbee.tistory.com/8893380 https://qweenbee.tistory.com/8887226 https://qweenbee.tistory.com/8894828 https://qweenbee.tistory.com/8912681메타세쿼이아 종자 : https:/.. 2025. 11. 22. 메타세쿼이아(낙우송과 메타세쿼이아속) 열매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Hu & W.C.Cheng 2025. 10. 남도. 메타세쿼이아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4829 https://qweenbee.tistory.com/8895327 https://qweenbee.tistory.com/8912682메타세쿼이아 열매 :https://qweenbee.tistory.com/8893380 https://qweenbee.tistory.com/8887226 https://qweenbee.tistory.com/8894828 https://qweenbee.tistory.com/8912681메타세쿼이아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4852메타세쿼이아 .. 2025. 11. 22. 대마도식물-풀고사리(풀고사리과 발풀고사리속) Diplopterygium glaucum (Thunb. ex Houtt.) Nakai 2025. 10. 9. 대마도. 사람 키만큼 큰 풀고사리가 군락을 이루어 산이나 계곡을 지나는 습한 자락에 원시림 같은 느낌을 주고 있었다. 발풀고사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0496 https://qweenbee.tistory.com/8891221https://qweenbee.tistory.com/8890443 https://qweenbee.tistory.com/8892132 https://qweenbee.tistory.com/8892236 https://qweenbee.tistory.com/8895149https://qweenbee.tistory.com/8897128 https://qweenbee.tistory.com/8901773http.. 2025. 11. 22. 몽골식물 - 벼과 Ptilagrostis pelliotii (Danguy) Roser & Hamasha 2025. 8. 4. 몽골. 사막화 되고 있는 초원에 이 덩치 큰 벼과 녀석이 자리를 잡고 있다.잎이 너무 억세어서 가축들도 먹이로 이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2025. 11. 20. 몽골식물 - 해란초속 Linaria 2025. 8. 4. 몽골. 해란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169 https://qweenbee.tistory.com/8890590https://qweenbee.tistory.com/8889168 https://qweenbee.tistory.com/8892158https://qweenbee.tistory.com/8906004해란초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8423해란초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8474 좁은잎해란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1198 https://qweenbee.tistory.com/8898424 덩굴해란초 : h.. 2025. 11. 20. 몽골식물- 국화과 취나물속 Saussurea parviflora (Poiret) DC. ?? 2025. 6. 23. 몽골 테를지국립공원. 백두산 언저리 저지대 습원에서 만났던 버들취처럼 줄기로 흐르는 날개가 있다. 8월에 다시 찾아 본 결과 몽골도감에 실려 있는 Saussurea parviflora 가 아닐까 하는데헌데 산골취의 이명에 Saussurea parviflora var. amurensis (Herder) Hu 란 학명이 있어서두 종 간의 원변종 사이인 것 같은데 현재 산골취는 변종이 아닌 Saussurea neoserrata Nakai 으로 정리되어 있다. 같은 곳 8월 3일의 개화 모습 큰각시취: https://qweenbee.tistory.com/8888951 https://qweenbee.tistory.com/8894248 https://qweenbee.tistory.co.. 2025. 11. 20. 몽골식물-향용머리(꿀풀과 용머리속) Dracocephalum moldavica L. 2025. 8.4. 몽골 엘슨타스라이 숙영지를 출발하여 이동 중에2016년 미기록식물로 보고된 향용머리 Dracocephalum moldavica L.란 녀석이 이 녀석으로 보인다향용머리는 중국, 유럽 등에서도 원예용으로 재배되고 있거나, 약용식물로 이용되고 있으며국내 유입은 재배식물 또는 관상용으로 식물원이나 화원에 도입된 후 국내에 정착한 것으로 보고 있다 흰벌깨덩굴 : https://qweenbee.tistory.com/8891915 벌깨덩굴 : https://qweenbee.tistory.com/8887875 https://qweenbee.tistory.com/8899352 https://qweenbee.tistory.com/8895948 ht.. 2025. 11. 20. 대마도식물 - 섬쑥부쟁이?(국화과 참취속) Aster pseudoglehnii Y.S.Lim, Hyun & H.Shin 2025. 10. 11. 대마도. 저지대 숲 가장자리에서 만난 이 녀석이 울릉도에 자생하는 섬쑥부쟁이와 흡사하다. 쑥부쟁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0847 https://qweenbee.tistory.com/8889268https://qweenbee.tistory.com/8888954 https://qweenbee.tistory.com/8890474https://qweenbee.tistory.com/8894546 https://qweenbee.tistory.com/8899892https://qweenbee.tistory.com/8900381 https://qweenbee.tistory.com/8901609https://qweenbee.tist.. 2025. 11. 20. 대마도식물 - 갯쑥부쟁이?(국화과 참취속) Aster hispidus Thunb. 2025. 10. 9. 대마도. 국내의 해안에서 보던 갯쑥부쟁이보디 꽃이 더 작고 색도 흰색에 가까울 정도로 연하였는데.... 쑥부쟁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0847 https://qweenbee.tistory.com/8889268https://qweenbee.tistory.com/8888954 https://qweenbee.tistory.com/8890474https://qweenbee.tistory.com/8894546 https://qweenbee.tistory.com/8899892https://qweenbee.tistory.com/8900381 https://qweenbee.tistory.com/8901609https://qween.. 2025. 11. 20. 대마도식물 -브라질검정말(자라풀과) Elodea densa (Planch.) Casp. 2025. 10. 9. 대마도. 점심 식사를 하려고 식당에 들어가다가 수초가 담긴 항아리에서 녀석을 발견하였다. 국내에도 낙동강 상류의 군위 위천과 낙동강 하류 부산의 둔치도 하천에서 발견이 된 녀석인데한 번 보러 가야지 하고 있던 녀석이다. 남미가 원산인 녀석으로 국내에서는 수초용으로 유통되던 게 일탈하여 야화된 것 같은데생장속도가 빨라서 일본과 미국 등지에서 악성 잡초로 취급하고 있으며수생생태계를 위협하는 환경 위해종으로 세계침입종데이터베이스(GISD)에 등재되어 있는 좀 심각한 종이다. 2025. 11. 20. 대마도식물- 가지고비고사리(봉의꼬리과 고비고사리속) Coniogramme japonica (Thunb.) Diels 2025. 10. 10. 대마도. 야산고비 : https://qweenbee.tistory.com/8892673 https://qweenbee.tistory.com/8889866https://qweenbee.tistory.com/8894355 https://qweenbee.tistory.com/8895640https://qweenbee.tistory.com/4656269 https://qweenbee.tistory.com/8889279 고비고사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2672 https://qweenbee.tistory.com/8894356 https://qweenbee.tistory.com/8904235 가지고비고사.. 2025. 11. 20. 이전 1 2 3 4 5 6 ··· 21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