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243 뫼제비꽃 Viola selkirkii Pursh ex Goldie 2025. 4. 26. 강원도. 야생화 사이트 정모에서 만난 제비꽃.큰 산, 고도가 높은 곳에서 만날 수 있는 녀석 뫼제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4014 https://qweenbee.tistory.com/8908801 https://qweenbee.tistory.com/8903927 https://qweenbee.tistory.com/8911098 https://qweenbee.tistory.com/8911916 https://qweenbee.tistory.com/8911938 https://qweenbee.tistory.com/8911960 민등뫼제비꽃 : https://qweenbee.tist.. 2025. 5. 6. 남산제비꽃 Viola albida Palib. var. chaerophylloides (Regel) F.Maek. ex H.Hara 2025. 4. 26. 강원도. 오만 제비들을 찝적거려서 새로운 잡종을 만들어 놓는 제비계의 제비다. 남산제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5367 https://qweenbee.tistory.com/8897406 https://qweenbee.tistory.com/8898974 https://qweenbee.tistory.com/8903675 https://qweenbee.tistory.com/8903744 https://qweenbee.tistory.com/8905023 https://qweenbee.tistory.com/8905090 https://qweenbee.tistory... 2025. 5. 6. 애기괭이밥(원지과 원지속) Polygala japonica Houtt. 2025. 4. 26. 강원도. 괭이밥 : https://qweenbee.tistory.com/8893464 https://qweenbee.tistory.com/8887359https://qweenbee.tistory.com/8900391 https://qweenbee.tistory.com/8907547 https://qweenbee.tistory.com/8907660괭이밥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0123괭이밥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00103 들괭이밥 : https://qweenbee.tistory.com/8893465 https://qweenbee.tistory.com/8894017https://qwee.. 2025. 5. 5. 큰괭이밥(괭이밥과 괭이밥속) 열매 Oxalis obtriangulata Maxim. 2025. 4. 27. 강우너도. 작은 골짜기 바닥을 큰괭이밥이 돗자리를 깔아 놓았다. 괭이밥 : https://qweenbee.tistory.com/8893464 https://qweenbee.tistory.com/8887359https://qweenbee.tistory.com/8900391 https://qweenbee.tistory.com/8907547 https://qweenbee.tistory.com/8907660괭이밥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0123괭이밥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00103 들괭이밥 : https://qweenbee.tistory.com/8893465 https://qweenbee... 2025. 5. 5. 큰괭이밥(괭이밥과 괭이밥속) Oxalis obtriangulata Maxim. 2025. 4. 26. 강원도. 괭이밥 : https://qweenbee.tistory.com/8893464 https://qweenbee.tistory.com/8887359https://qweenbee.tistory.com/8900391 https://qweenbee.tistory.com/8907547 https://qweenbee.tistory.com/8907660괭이밥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0123괭이밥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00103 들괭이밥 : https://qweenbee.tistory.com/8893465 https://qweenbee.tistory.com/8894017https://qwe.. 2025. 5. 4. 뿔이삭풀(벼과 뿔이삭풀속) Parapholis incurva (L.) C.E.Hubb. 2023. 5. 16. 제주. 아무데나 노지를 뒤지는데 줄기가 뿔처럼 뾰족하게 고부라진 모습의 벼과 녀석이 눈에 든다.우리 나라에서는 1994년 제주도 용수리 바닷가에서 최초 채집되었다고 하는 귀화식물이다 수상화서의 모습이 뿔모양이어서 국명을 `뿔이삭풀`로 신칭하였다고 한다. 뿔이삭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3494 https://qweenbee.tistory.com/8911955 2025. 5. 3. 개미자리(석죽과 개미자리속) 종자 Sagina japonica (Sw.) Ohwi 2023. 5. 16. 제주. 종자를 확인하니 원주형돌기가 보인다. 개미자리다.해안 가까이 엽질이 두껍게 자라는 개미자리 녀석의 덩치가 더 커서 종자를 확인하기 전 까지는 이 녀석을 큰개미자리로 부르고 있었더랬다. 화경과 줄기에 선모가 보인다 개미자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9379 https://qweenbee.tistory.com/8890119 https://qweenbee.tistory.com/8891788 https://qweenbee.tistory.com/8905473https://qweenbee.tistory.com/8886917 https://qweenbee.tistory.com/8895814https://qwe.. 2025. 5. 3. 방동사니아재비(사초과 방동사니속) Cyperus cyperoides (L.) Kuntze 2023. 5. 16. 제주. 처음 보는 방동사니속 녀석이다.제주에서 볼 수 있다는 방동사니아재비가 맞을까??개화초기라서 화서자루가 짧은 것 같은데....... 방동사니아재비로 확인을 받았다. 푸른방동사니 : https://qweenbee.tistory.com/8896688 https://qweenbee.tistory.com/8904388 https://qweenbee.tistory.com/8905934 https://qweenbee.tistory.com/8909318 https://qweenbee.tistory.com/8909630 흰(서울)방동사니 : https://qweenbee.tistory.com/8909319 http.. 2025. 5. 3. 등포풀(현삼과 등포풀속) Limosella aquatica L. 2025. 5. 1. 오래 전에 만나던 등포풀은 졔초제 살포와 논을 밭으로 바꾸는 바람에 거의 사라져서 만날 수 없어졌다.부산의 저수지 가장자리에 자생하고 있다는 소식을 접하지만 찾아가기에는 먼 길에다 물에 잡기면 소용 없는 일이라... 몽골 식물 탐사 때 이 녀석을 만나긴 했지만 국내에서 이 녀석 만나본지는 10년도 전의 일이 되었다. 녀석이 있다는 소식에 꽃동무와 함께 찾아 다녔지만 쉽게 눈에 띄지 않았다.한참만에 찾아 내긴 했지만 이 녀석은 손가락 한 마디 정도의 크기에 먼지 같은 꽃과 열매를 달고 있으니그냥 논바닥을 밟고 다녀도 찾지 못할 일이다. 오래 전에 보았던 기억 속의 녀석보다도 크기가 너무 작았다. 이미 열매가 달려 있었고 늦게 꽃을 드문드문 달고 있는 녀석들이 많았다. 작은 개미가 .. 2025. 5. 2. 돌갈매나무 (갈매나무과 갈매나무속) Rhamnus parvifolia Bunge 2025. 4. 22. 강원도 동해. 참나무속 조사 때문에 동해의 석회암 지역을 탐사하였다.이 녀석도 석회암지대에 비교적 많이 자란다.잎은 광타원형, 도란형, 아원형으로 측맥은 2~4쌍짝자래나무와 비슷하지만 잎이 보통 마주나기로 더 작고 두껍다 암수딴그루인 식물들은 거의 수그루가 흔하고 암그루는 많지 않다. 참갈매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87905 https://qweenbee.tistory.com/8897784https://qweenbee.tistory.com/8899553 https://qweenbee.tistory.com/8904787참갈매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9178 https://qweenbe.. 2025. 5. 2. 갯버들(버드나무과 버드나무속) 열매 Salix gracilistyla Miq. 2025. 4. 28. 경북. 산지 계곡에서 흔하게 만날 수 있지만 소백산과 같은 고도가 높은산 사면에서도 본 적이 있다.버드나무 중에서 가장 일찍 꽃을 피우는데 꽃 이삭도 크지만 열매 이삭이 엄청 큰 녀석이다. 버드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7696 https://qweenbee.tistory.com/8891512https://qweenbee.tistory.com/8893331 https://qweenbee.tistory.com/8895375https://qweenbee.tistory.com/8895376 https://qweenbee.tistory.com/8897268https://qweenbee.tistory.com/8897312 .. 2025. 5. 2. 뚝새풀(벼과 뚝새풀속) Alopecurus aequalis Sobol. 2025. 4. 25. 경북. 봉화현호색 열매를 확인하러 갔는데 열매가 성숙하지도 않았는데 전초가 마르는 느낌이다.작은 개체들은 열매를 달지도 못하고 그대로 사그러지는 모습이다. 봉화현호색은 종자가 제대로 결실하는 모습을 보기 어렵다고,투덜걸거리며 돌아서다가 논둑에서 뚝새풀과 노닥거렸다. 뚝새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0421 https://qweenbee.tistory.com/8907023 https://qweenbee.tistory.com/8907198 https://qweenbee.tistory.com/8911949 큰뚝새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054 https://qweenbee.tis.. 2025. 5. 2. 이전 1 2 3 4 5 6 ··· 2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