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5955

대마도식물 -손고비(고란초과 손고비속) Leptochilus ellipticus (Thunb.) Noot. 2025. 10. 8-10. 대마도 야산고비 : https://qweenbee.tistory.com/8892673 https://qweenbee.tistory.com/8889866https://qweenbee.tistory.com/8894355 https://qweenbee.tistory.com/8895640https://qweenbee.tistory.com/4656269 https://qweenbee.tistory.com/8889279 고비고사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2672 https://qweenbee.tistory.com/8894356 https://qweenbee.tistory.com/8904235 가지고비고.. 2025. 11. 19.
대마도식물-숫돌담고사리(꼬리고사리과 꼬리고사리속) Asplenium prolongatum Hook. 2025. 10. 10. 대마도 사흘 째. 계곡이 넓고 길어서 양치식물이 많이 나타난다.제주도에서도 흔하지 않은 숫돌담고사리가 바위 위에 무더기로 나타난다. 선바위고사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0475 https://qweenbee.tistory.com/8895085https://qweenbee.tistory.com/8897161 https://qweenbee.tistory.com/8901778 바위고사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1082 https://qweenbee.tistory.com/8895084https://qweenbee.tistory.com/8895328 https://qweenbee.tistory... 2025. 11. 19.
대마도식물- 국화과 솜나물속으로 추정 2025. 10. 8. 대마도. 가을이라 목본류 열매는 가득한데 초본류를 제대로 관찰 할 수가 없다.잔 정상부에 오르다가 발 끝에 채일 뻔한 국화과 한 녀석 가을 신초가 낯설다, 아래 녀석은 다른 종으로 보이는데.... 2025. 11. 19.
대마도식물 -좀굴거리(굴거리나무과 굴거리나무속) Daphniphyllum teijsmannii Zoll. ex Teijsm. & Binn. 2025. 10. 10-11. 대마도. 아래 녀석은 긴가민가하다. 굴거리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5489 https://qweenbee.tistory.com/8895716 https://qweenbee.tistory.com/8900819 https://qweenbee.tistory.com/8902438 https://qweenbee.tistory.com/8909808굴거리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1118 https://qweenbee.tistory.com/8889298https://qweenbee.tistory.com/8888597 https://qweenbe.. 2025. 11. 19.
편백(측백나무과 편백속) 열매 Chamaecyparis obtusa (Siebold & Zucc.) Endl. 2025. 10. 31. 남도. 해안 산지 사면에 왜 편뱍을 이렇게 심어 두었는지.... 편백 : https://qweenbee.tistory.com/8911856편백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6969 https://qweenbee.tistory.com/8892944 https://qweenbee.tistory.com/8896970 https://qweenbee.tistory.com/8911857 https://qweenbee.tistory.com/8912666 편백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7049 서양측백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9734 눈측백 : https:.. 2025. 11. 19.
대마도식물 - 모밀잣밤나무일까?(참나무과 모밀잣밤나무속) Castanopsis cuspidata (Thunb.) Schottky 2025. 10. 8-10. 대마도. 천연기념물 제343호로 지정되어 있는 욕지도의 모밀잣밤나무 군락을 찾아 간 적이 있는데구실잣밤나무 열매만 가득했거 모밀잣밤나무는 찾아 볼 수가 없었더랬다. 과연 국내에 모밀잣밤나무가 자생이나 하고 있을까 하는 의구심만 남았는데........ 대마도에서 만난 이 녀석은 잎도 작고 좁으며 열매가 구형에 가까워서 혹시 모밀잣밤나무가 아닐까 기대가 되었던 녀석이다. 이 녀석은 해안가에서 만났는데 구실잣밤나무가 맞다. 구실잣밤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41 hhttps://qweenbee.tistory.com/8893782https://qweenbee.tistory.com/8895791 https://qweenbee.. 2025. 11. 19.
대마도식물-꿩의다리속 2025. 10. 10. 대마도. 엽형이 발톱꿔의다리 Thalictrum sparsiflorum와 무척 닮았는데일본에는 분포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으니..... 꿩의다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32 https://qweenbee.tistory.com/8886082https://qweenbee.tistory.com/8896031 https://qweenbee.tistory.com/8904774 https://qweenbee.tistory.com/8907612꿩의다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8 https://qweenbee.tistory.com/8896940 꿩의다리 신초 : https://qwee.. 2025. 11. 18.
대마도식물 - 현삼과 며느리밥풀속 Melampyrum roseum Maxim.?? 2025. 10. 10. 대마도. 포와 잎의 모습 모습은 꽃며느리밥풀로 볼 수 있는데 화관 길이가 너무 길다. 꽃며느리밥풀은 남 러시아 극동에서 중국, 일본에서 북대만까지 분포하는데 화관의 길이가 많이 길긴 한데 꽃며느리밥풀로 봐야 할까? 꽃며느리밥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6237 https://qweenbee.tistory.com/8899813https://qweenbee.tistory.com/8896243 https://qweenbee.tistory.com/8888694https://qweenbee.tistory.com/8899812 https://qweenbee.tistory.com/8900348https://qweenbee.tistory.com/.. 2025. 11. 18.
대마도식물 - 두릅나무과 Gamblea innovans 2025. 10. 10. 대마도. 삼출엽의 잎과 열매로 봐서는 두릅나무과 같은디...바위봉 아래서 숨 돌리면사 간식을 먹다가 일어 섰는데 머리 위에서 부딪혔던 관목 녀석이다. 블친 덕분에 학명 Gamblea innovans 을 찾았다. 큐에서는 원산지가 일본으로 표기하고 있다.Gamblea 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식물 속으로, 네 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원래는 인도에서 발견되는 단일 종인 Gamblea ciliata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이 속의 원산지가 히말라야에서 일본과 수마트라에 이르는 분포 지역입니다. 인도의 아삼, 중국, 동히말라야, 일본,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네팔, 수마트라, 티베트, 베트남에서 발견됩니다. Gamblea의 속명은 인도 아대륙의 식물상을 전문으로 한 영국의 식물학.. 2025. 11. 18.
검노린재나무(노린재나무과 노린재나무속) Symplocos tanakana Nakai 2025. 10. 31. 남도. 남부지방에 분포하는 검노란재나무거 까맣게 열매를 익히고 있었다. 검노린재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0111 https://qweenbee.tistory.com/8888014 https://qweenbee.tistory.com/8893875 https://qweenbee.tistory.com/8895699 https://qweenbee.tistory.com/8895754 https://qweenbee.tistory.com/8895712 https://qweenbee.tistory.com/8895798 https://qweenbee.tistory.com/8905375 .. 2025. 11. 18.
대마도식물- 사철검은재나무(노린재나무과 노린재나무속) 열매 Symplocos nakaharae (Hayata) Masam 2025. 10. 11. 대마도. 해안 절벽부 언덕을 한바퀴도는데 여기서도 사철푸른재 나무가 검게 익은 열매를 달고 있었다. 검노린재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0111 https://qweenbee.tistory.com/8888014 https://qweenbee.tistory.com/8893875 https://qweenbee.tistory.com/8895699 https://qweenbee.tistory.com/8895754 https://qweenbee.tistory.com/8895712 https://qweenbee.tistory.com/8895798 https://qweenbee.tistory.. 2025. 11. 18.
매화마름(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Ranunculus kazusensis 2025. 11. 15. 동해안. ▶매화마름 (Ranunculus kazusensis) : 꽃턱과 수과에 털이 있다. 취과는 지름 5~6㎜로서 둥글고 꽃턱은 길이 2㎜ 정도며 긴 털이 밀생한다. 수과는 편평한 거꿀달걀 모양이고 뒷면에 딱딱한 털이 있으며 길이 1.5~2.2㎜로서 마르면 옆으로 주름이 진다. ▶민매화마름 (Ranunculus yezoensis) : 꽃턱과 수과 및 탁엽에 처음부터 털이 없다. 취과는 지름 5~6㎜로서 둥글고 꽃턱은 길이 2㎜ 정도며 처음부터 털이 없다. 수과는 편평한 거꿀달걀 모양이고 처음부터 털이 없고 길이 1.5~2.2㎜로서 마르면 옆으로 주름이 진다. 6월부터 초겨울까지 꽃이 피는 이 녀석은 몇 년 전에 열매 .. 2025. 1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