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4967

장대여뀌 2009. 9. 10. 명봉사. 바보여뀌와 거의 흡사하여 사실 구분하기 어렵다. 다만 꽃이 드문드문 달린 이삭화서가 대체로 꼿꼿하게 서고 난형의 잎이 꼬리가길면 장대여뀌 화서가 쳐지고 잎이 좁고 긴 타원상 피침형이면 바보여뀌로 보면 된단다. 여뀌 비교 자료 : http://blog.daum.net/qweenbee/8886861 htt.. 2009. 9. 14.
명아자여뀌(마디풀과 여뀌속)=>흰여뀌 2009. 8. 30. 낙동강 둑. 큰개여뀌를 정명으로 알고 있었는데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는 정명을 라고 되어 있고 큰개여뀌는 이명으로 되어 있다.이 녀석이 다ㅎ시 흰여뀌에 통합되었다   초상의 탁엽은 막질이며 가장자리에 털이 없다.    잎은 호생하고 타원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며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밑부분이 예저이며 엽병이 짧고길이 7-20cm, 폭 1.5-5cm로서 엽맥과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작은 선점이 밀생하고 때로는 잎 중앙부에 흑색 무늬가 있다.   높이가 1m에 달하고 굵은 가지가 갈라지며 흔히 붉은 빛이 돌고 마디가 굵으며 원줄기에 흑자색 점이 있다.  쪽 :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6     https://qweenbee.tistory.com.. 2009. 9. 14.
붉은가시딸기(곰딸기)와 멍덕딸기 비교 대부분 멍덕딸기를 곰딸기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두 녀석의 차이점을 비교해 보았다. 멍덕딸기 곰딸기 화서가 아래로 쳐지고 흰색 화서가 위를 향하고 꽃은 연한 분홍색 아래로 향한 화서 위로 꼿꼿한 화서 3출엽 3장의 잎 크기가 거의 같거나 정소엽이 더 크고 끝이 뾰족. 뒷면 흰색 3~5소엽 중에서 중간잎(정소엽)이 크고 넓으며 결각이 있다. 뒷면 흰색 다소 아래로 향한 가느다란 가시로 빡빡하고 선모는 없다. 위로 굽은 가시가 드물게 있고 붉은 선모가 빡빡하다 산딸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2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1 https://qweenbee.tistory.com/8888114 https://qweenbee.tist.. 2009. 9. 14.
기생여뀌 2009. 9. 13. 암산. 고운사 숲을 헤매다가 느지막하게 돌아오는데. 도로 옆 묵논같은 습지에 붉은색 여뀌 꽃 무더기가 흘낏 스친다.급히 차를 멈추고 바라보니 그렇게 찾던 기생여뀌가 한 가득하다. 야호! 다. 야호야~!저 습지 풀밭에 접근할 수 없을까 둘러보니 휴게소 옆으로 밟고 다닌 흔적이 보인다.기생여뀌 쪽으로 엉긴 풀을 헤치며 들어가는데 휴게소를 지키는 개가 요란스레 짖어댄다.그 넘들이야 짖는 일이 제 일이니까 짖건 말건, 나는야 기생여뀌 담아야 한다이.인터넷 상에는 이 털보 기생여뀌를 단지 털이 많다는 이유로 털여뀌로 소개하는 곳이 많다. 얼마나 키가 큰지 키가 내 겨드랑이 까지 육박한다. 와~! 진짜 털보다. 잎은 어긋나기로 달리고 잎자루가 짧게 달리고 짙은 홍자색으로 피는 특징이 있다.털.. 2009. 9. 14.
버들분취와 북방산비장이 비교 버들분취의 근생엽이 자랄 때 산비장이로 알았다.근생엽도 자세히 보면 다른데 제대로 살피지않았기 때문에 으례껏 같으려니 했덩거다.꽃이 핀 모습을 보고 이제사 버들분취를 제대로 이름 불러 주게 되었다. 버들분취http://blog.daum.net/qweenbee/8888898북방산비장이 http://blog.daum.net/qweenbee/8888899  결각 없이 버드나무 잎 같이 좁고 길다.5~7장 소엽으로 되어 있다. 깊게 결각 진 우상이고완전한 소엽으로 우상이고 큰각시취: https://qweenbee.tistory.com/8888951   https://qweenbee.tistory.com/8894248 https://qweenbee.tistory.com/8894502    https://qween.. 2009. 9. 14.
버들분취(국화과 취나물속) 새싹 Saussurea maximowiczii Herder 2009. 9. 13. ㄱㅇㅅ. 숲. ㅎㅎㅎ...처음 이 녀석 근생엽을 보고 산비장이로 생각했었다. 꽃대가 길게 올라 왔을 때까지만 해도.헌데, 꽃봉오리와 총포를 보니 전혀 다른 녀석이라. 옆에 산비장이가 꽃피기를 기다리고 있기에 더 더욱 비교가 가능하였거덩. 산비장이는 줄기 잎까지 깃꼴로 결각이 지는데 이 녀석의 줄기잎은 매끈한 기라.근생엽도 산비장이와 비교해 보면 많이 다른데..그냥 슬쩍 보고 지났기 때문에 차이점을 몰랐던 게지. 꽃 봉오리가 맺혔을 때 총포를 보니 취나물 종류로 생각되어서 찾아 보니 버들분취였지 뭐이가.한 달 전에 봉오리 보고 이제사 찾아가니 꽃은 이미 거의 다 져버리고 겨우 몇송이 남은 거 담아 왔다.     버들분취와 산비장이 비교  버들분취산비장이  결각 없이 버드나무 잎 같이.. 2009. 9. 14.
세잎승마(미나리아재비과 노루삼속) Actaea bifida (Nakai) J.Compton 2009. 9. 13. * * 사. 숲. 드뎌 세잎승마가 꽃을 피웠다.7월 30일 꽃봉오리 맺은 이 녀석을 처음 발견하고 눈빠지게 꽃피기를 기다렸는데, 그 후 세차례(8/4, 8/19, 9/13) 방문 끝에 드뎌 오늘 화사하게 꽃이 핀 모습을 만났다. 8월 19일 이후 다른 산으로 다니느라 근 한 달을 가보지 못하여서 혹시나 다 져버렸으면 어쩌나 내심 걱정도 되었는데경기 강원도 쪽에는 벌써 승마가 다 사그러졌는데도 여긴 이제사 꽃이 피고 있다.여름, 가을꽃은 강원도 높은 산에서 부터  피는 시기가 내려 오는데, 세잎승마도 그 덕분에 늦게 피는 모습 볼 수 있는 것 같다. 하도 꽃이 피질 않기에 그냥 사그러지지나 않을까 애를 태우더니 화사하게도 폈다. 한 개체는 아직도 꽃봉오리만 봉긋해 졌고 무게 때문에 .. 2009. 9. 13.
멸가치 2009. 9. 10. 명봉사. 화경에 융모와 선모가 있고 두화가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원추화서상으로 배열되며 대가 있는 선이 있다. 잎 자루에 날개가 흐른다. 멸가치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86852 http://blog.daum.net/qweenbee/8901881 멸가치 신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86852 2009. 9. 13.
세뿔투구꽃(미나리아재비과) 2009. 9. 12. ㅊㄹ산. 지난 번 산사 쪽에 미처 담지 못한 세뿔투구가 아쉬워서 다시 찾았다. 비가 적어서 그런가 만개했으려니 했던 기대는 기대로만 끝나고. 색이 대체로 연하고 화서가 그리 풍성하지 못하다. 노랑투구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0524 https://qweenbee.tistory.com//8890525 https://qweenbee.tistory.com//8890626 https://qweenbee.tistory.com//8888904 https://qweenbee.tistory.com//8894387 https://qweenbee.tistory.com/8896462 https://qweenbee.tistory.com/8896702 https:.. 2009. 9. 13.
별꽃아재비와 털별꽃아재비 비교 모든 꽃들이 각자의 아름다움을 가지고는 있지만 별 관심 두지 않는 털별꽃아재비나 별꽃아재비도 들여다 보니 이쁘다. 바탕에 깔린 녀석이 털별꽃아재비다. 2009. 9. 13.
팽나무 좀풍게나무 비교 청량산 가는 길에 오늘 다시 산림박물관 마당을 찾았다. 팽나무 종류 비교 자료를 위해서 열매와 수피, 어린 가지를 새로 담아 왔다. 열매가 검게 익어서 검팽나무라 생각했는데 열매 크기와 엽형이 달라서 좀풍게 나무로 자료를 수정한다 열매가 검게 익고 열매 자루가 긴 녀석을 좀풍게나무로 자료를 정리 한다. 팽나무 좀풍게나무 팽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4674 https://qweenbee.tistory.com/8893965 https://qweenbee.tistory.com/8893695 https://qweenbee.tistory.com/8896659 https://qweenbee.tistory.com/8893742 https://qweenbee.tistory.. 2009. 9. 13.
짝자래나무(갈매나무과) 2009. 9. 12. ㅊㄹ산. 갈매나무과의 특징인 가지 끝의 가시가 보인다. 꽃은 꽃이랄 것도 없지만 황록색이고 5-6월에 피며 4수성이며 엽액에 1~3송이씩 달리고 수꽃의 암술과 암꽃의 수술이 거의 퇴화된다. 꽃받침과 꽃잎은 4개씩이다. 소지는 녹색 또는 홍록색이고 털이 없으며 가지 끝이 대개 .. 2009. 9.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