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식물4779 몽골식물 - 두메애기풀?(원지과 원지속) Polygala sibirica 2022. 6. 26. 제 3 숙영지 반데리아올. 휴식을 취하며 텐트 주변의 식물을 살피고 있는데 일행 중 한 분이 묻는다 '원지를 닮은 녀석이 있는데 하나는 잎이 가늘어서 원지 같은데 또 하나는 잎이 짧은데 더 넓다' 고 잎의 형태를 설명하는 것을 듣고 원지와 두메애기풀로 보인다고 했었는데 오전 시간 숙영지 뒷산을 탐사하다가 두메애기풀을 발견하였다. 몇 컷 퍽샷을 촬영을 했는데 정리하려고 보니 국내의 두메애기풀과는 엽형이 좀 달라 보인다. 꽃 달림도 더 많고 조밀한 것 같아서 내 블러그의 두메애기풀 사진을 확인해 보니 이와 같은 형태의 개체들이 보인다. 결국 두메애기풀로 봐야 할 것 같다. 원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31 https://qweenbee.tist.. 2022. 7. 28. 몽골식물 - 국화과 솜다리속 Leontopodium ochroleucum 2022. 6. 27. 몽골. 몽골탐사에서 만난 솜다리속 식물이 들떡쑥 이외에 두 종이 더 있는 것 같다.다들 에델바이스라고 하면서 들여다 보던 이 녀석과 또 좀 달라보이는 녀석이다 한국의 산솜다리와 많이 닮긴 했지만 포엽의 형태가 긴 삼각상이고 불규칙한 크기라 모습이 다르다아래 사진들에도 두 종이 섞여 있는 것 같다. 바위솜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44 https://qweenbee.tistory.com/8890167 https://qweenbee.tistory.com/8891837 https://qweenbee.tistory.com/8892026 https://qweenbee.tistory.com/8892030 https://qweenbee.. 2022. 7. 28. 몽골식물 -참시호(미나리과 시호속) Bupleurum scorzonerifolium Willd. 2022. 6. 26-28. 몽골. 저지대 초지 보다 언덕 위의 초지는 전망도 좋고 파리 떼와 등에가 적어서 살 것 같았다 텐트를 설치한 후 주변의 식물들만 탐사해도 시간가는 줄 모를 정도로 분위기가 한결 안정이 되었다 참시호는 국내 전남의 섬에서 긴가민가 하는 녀석을 만나긴 했지만 확신하기는 어려운 녀석이다. 이 녀석은 시호와 형태적으로 유사하나, 잎의 중앙맥이 잎 끝부분을 지나서 삐져나오는 특징으로 구분된다 7년 전에도 그랬듯이 참시호는 몽골 어딜 가나 흔하게 보였다. 뿌리에서 돋은 잎은 밑부분이 좁아져서 잎자루처럼 되며 길이 10~30cm이고 줄기에 달린 잎은 넓은 선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 4~10cm, 폭 5~15mm로서 평행한 맥이 있고 녹색이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잎자루처럼 원줄기에 달린다. .. 2022. 7. 24. 몽골식물 - 통발과 땅귀개속 2022. 6. 27. 몽골 한갈노르 꽃이 무척 많이 달리고 화판이 큰 녀석이다뿌리는 바닥에 내리지 않고 물 위에 떠 있었다. 참통발처럼 꽃 가운데에 붉은 실선무늬가 보이고 거에도 붉은선이 나타나 닜다 끈끈이귀개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69 https://qweenbee.tistory.com/8893721https://qweenbee.tistory.com/8894108 https://qweenbee.tistory.com/8900924https://qweenbee.tistory.com/8905416 https://qweenbee.tistory.com/8905417 https://qweenbee.tistory.com/8908847 https://.. 2022. 7. 24. 몽골식물 - 콩과 황기속 6. 2022. 6. 30. 몽골 차강암하올. 자운영 : http://blog.daum.net/qweenbee/8900796 http://blog.daum.net/qweenbee/8895577 http://blog.daum.net/qweenbee/8897471 http://blog.daum.net/qweenbee/8899070 http://blog.daum.net/qweenbee/8895579 http://blog.daum.net/qweenbee/8903770 자운영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5578 자운영 새싹 : http://blog.daum.net/qweenbee/8902025 황기 : http://blog.daum.net/qweenbee/8888878 http.. 2022. 7. 22. 몽골식물 - 장구채속 (석죽과 끈끈이장구채속) 2022. 6. 30. 몽골 차강암하올. 흰장구채 가 아닐까 싶은데.....함부로 이름달기가 어렵다 2022. 7. 21. 몽골식물 - 들떡쑥(국화과 솜다리속) Leontopodium leontopodioides 2022. 6. 25. 몽골. 볕이 잘 들고 건조한 초원이나 산지 초지에서 흔히 만났다.우리 나라에도 주로 경북 지역에 자생하며 경남에도 드물게 자생이 확인되고 있다. 바위솜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44 https://qweenbee.tistory.com/8890167 https://qweenbee.tistory.com/8891837 https://qweenbee.tistory.com/8892026 https://qweenbee.tistory.com/8892030 https://qweenbee.tistory.com/8894406 https://qweenbee.tistory.com/8895574 https://qweenbee.tistory.com.. 2022. 7. 21. 몽골식물 - 제비고깔(미나리아재비과 제비고깔속) Delphinium grandiflorum L. 2022. 7. 2. 몽골 테를지공원. 역시 바위산으로 이루어진 산지라서 초원의 식생과 다른 녀석들이 많다.한갈호수 뒷산에서 한 포기를 만난 이후 보이지 않던 제비고깔이 공원 안 바위지대 초지에 파랗게 서있다 붉은 큰솔나리와 파란 제비고깔이 바위를 배경으로한 초록의 초지에 어울려 있는 모습이 그림 같다. 큰제비고깔 : https://qweenbee.tistory.com/8888457 https://qweenbee.tistory.com/8890779https://qweenbee.tistory.com/8890781 https://qweenbee.tistory.com/8896405 https://qweenbee.tistory.com/8901402 https://qweenbee.tistor.. 2022. 7. 21. 몽골식물 - 큰솔나리(백합과 백합속) 2022. 7. 2. 몽골 테렐즈 공원. 이 녀석은 건조한 산사면이나 건조한 초지를 좋아하는 것 같다. 숙영지 주변 몇 곳에서 큰솔나리를 만나긴 했지만 마지막 탐사지인 테를지에서는 꽃도 풍성하게 달고 있는 군락을 만났다. 땅나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8485 https://qweenbee.tistory.com/8888486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2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2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3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9 https://qweenbee.tistory.com/8897863 https://q.. 2022. 7. 21. 몽골식물 - 관모개미자리(석죽과 관모개미자리속) Eremogone capillaris (Poir.) Fenzl 2022. 6. 24~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1박 후 우리는 동북쪽을 향하여 고속도로를 달린다.중간에 징기스칸공원에 잠시 들렀다. 엄청난 키기로 높이 솟은 동상은 한 번 쳐다보고 나는 내리자 말자 바닥의 풀들을 살피느라 동상은 뒷전이었다.별 생각 없이 차에 내렸던 일행은 바닥에 엎어져서 카메라를 들이대고 있는 나를 보고부랴부랴 카메라를 꺼내와서 함께 엎어졌다. 국내에서는 보지 못한 각양각색의 풀들이 지천인데다가 탐사 첫날이라 모두 떨어진 동전이라도 주울 듯한 모습으로 풀밭을 돌아다닌다. 앞으로 볼 게 너무 많으니 출발을 해야한다고 대장이 외치는 소리에도 일어설 줄을 모른다. 이 녀석을 처음에 벼룩이울타리로 잘못 생각하였다.잎이 매우 짧은 관모개미자리였던 것을 모르고 말이다.2015년 몽골에 왔을 때 이 .. 2022. 7. 20. 콩과 황기속 5. 2022. 6. 27. 2022. 7. 20. 콩과 두메자운속 5. 2022. 6. 24. 몽골. 이 녀석은 꽃대와 잎, 줄기에 백색의 긴털이 많다. 애기자운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0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1 https://qweenbee.tistory.com/8891436 https://qweenbee.tistory.com/8891437 https://qweenbee.tistory.com/8893203 https://qweenbee.tistory.com/8893416 https://qweenbee.tistory.com/8897231 https://qweenbee.tistory.com/8895265 https://qweenbee.tistory.com/8899009 https://qwee.. 2022. 7. 20. 이전 1 ··· 71 72 73 74 75 76 77 ··· 3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