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별식물4780

콩과 두메자운속 5. 2022. 6. 24. 몽골. 이 녀석은 꽃대와 잎, 줄기에 백색의 긴털이 많다. 애기자운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0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1 https://qweenbee.tistory.com/8891436 https://qweenbee.tistory.com/8891437 https://qweenbee.tistory.com/8893203 https://qweenbee.tistory.com/8893416 https://qweenbee.tistory.com/8897231 https://qweenbee.tistory.com/8895265 https://qweenbee.tistory.com/8899009 https://qwee.. 2022. 7. 20.
콩과 두메자운속 4. 잎많은두메자운 Oxytropis myriophylla 2022. 6. 26. 몽골 한갈노르.  콩과 식물이 어찌나 많은지황기속인지 두메자운속인지 구분하는 것도 쉽지가 않다. 이 녀석도  '잎많은두메자운  Oxytropis myriophylla ' 에 근접하는 것 같다.흰꽃이 피는 '잎많은두메자운' 으로 봐야 할 것 같다    애기자운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0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1https://qweenbee.tistory.com/8891436      https://qweenbee.tistory.com/8891437https://qweenbee.tistory.com/8893203      https://qweenbee.tistory.com/8893416https:.. 2022. 7. 20.
콩과 두메자운속 3. Oxytropis altaica Pers. 2022. 6. 24. 1숙영지 자연경관지. 황기속으로만 찾아 보았는데 두메자운속을 생각하지 못했다. 두메자운 Oxytropis anertii 과 털두메자운Oxytropis racemosa은 우리나라 북부지역에서도 자생하고 있다 몽골도감에는 잎많은두메자운 Oxytropis myriophylla이 실려 있지만 이 녀석과는 거리가 있다. Oxytropis lambertii, Oxytropis grandiflora. Oxytropis altaica등이 비슷한 것 같은데............ Oxytropis altaica 로 확인하였다. 애기자운 : http://blog.daum.net/qweenbee/8889530 http://blog.daum.net/qweenbee/8889531 http://blog.da.. 2022. 7. 20.
콩과 두메자운속 2. Oxytropis grandiflora 2022. 6. 25. 몽골 애기자운 : http://blog.daum.net/qweenbee/8889530 http://blog.daum.net/qweenbee/8889531 http://blog.daum.net/qweenbee/8891436 http://blog.daum.net/qweenbee/8891437 http://blog.daum.net/qweenbee/8893203 http://blog.daum.net/qweenbee/8893416 http://blog.daum.net/qweenbee/8895265 http://blog.daum.net/qweenbee/8897231 http://blog.daum.net/qweenbee/8897414 http://blog.daum.net/qweenbee/889.. 2022. 7. 20.
콩과 두메자운속 1. 잎많은두메자운 Oxytropis myriophylla 2022. 6. 26. 몽골 한갈노르. 꽃받침통이 길고 긴 백색털이 있으며 화색이 연붉은 색으로 곱다톱풀 잎 비슷한 깃꼴잎의 작은잎이 가는 선형으로 매우 섬세하다. 이 녀석을 황기속 쪽에서만 찾고 있었는데 박김찬수의 알타이 식물탐사기에  '잎많은두메자운 Oxytropis myriophylla' 으로 실려 있는 녀석이 아닌가 싶다   애기자운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0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1https://qweenbee.tistory.com/8891436      https://qweenbee.tistory.com/8891437https://qweenbee.tistory.com/8893203      https://.. 2022. 7. 20.
콩과 황기속 4. 2022. 6. 26. 이 녀석은 그냥 황기와 무척 가깝다. 2022. 7. 20.
몽골식물-콩과 황기속 Astragalus melilotoides Pall. 2022. 7. 2. 몽골 테를지국립공원. 황기속 녀석들 학명을 찾아 중국식물지를 뒤지다가 우연하게 이 녀석 학명까지 찾았다. 제 3 숙영지 원추리 언덕에서 가느다란 모습을 보고 뭦? 하고서 담아 두었었는데테를지국립공원 암석지대에서 꽃이 잘핀 모습을 만나게 되었다. 꽃이 자잘하고 화서가 길고  5~7장의 소엽을 가진 모습에 전동싸리나 비수리 쪽으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 녀석도 황기속 草木樨状黄芪 Astragalus melilotoides이었다  중국식물지에서 퍼온 자료이다 2022. 6. 28. 제 3숙영지 반데리아올.  황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88878       https://qweenbee.tistory.com/8886766https://qweenbee.ti.. 2022. 7. 20.
콩과 황기속 2. Astragalus falconeri 2022. 6. 25. 몽골 1숙영지 줄기가 가늘가 길게 포복하여 벋으며 꽃차례가 작고 꽃의 크기도 작다. 중국식물지에서 보이는 侧扁黄芪 Astragalus falconeri 와 이미지가 거의 같다. 2022. 7. 20.
콩과 황기속 1. Astragalus 2022. 6. 26. 몽골 한갈노르 . 몽골 초지에는 비슷한 콩과 식물이 너무 많다. 자주개황기랑 많이 닮은 녀석들도 보인다. 2022. 7. 20.
몽골식물 - 씨범꼬리(마디풀과 범꼬리속) Bistorta vivipara (L.) Delarbre 2022. 5. 25-27. 한갈노르. 이곳에서 2박 3일의 시간을 보냈다. 도착한 첫날 오후 시간과 이튿날 오후, 마지막날 오전 시간 한갈노르 호수 주변 식물을 탐사하였다. 아침 식사 당번이어서 빛 좋은 아침 시간에는 촬영할 시간이 없는게 많이 아쉬웠는데 평원의 초지와 다르게 호수변 습지에는 처음 만나는 식물들이 많았다. 나도씨눈란과 손바닥난초를 닮은 난초류 2종, 털연리초, 실별꽃, 다양한 석죽과 식물과 송이풀속 등, 갯봄맞이와 눈양지꽃은 기본이었다. 이 곳 뒷산 언덕에서 처음 큰솔나리와 제비고깔을 만나기도 하였다. 이후 테를지공원 안에서 큰솔나리와 제비고깔을 무더기로 만나긴 했지만 처음 만나기 때문에 더 반가웠던 녀석들이었다. 습원 초지에 씨범꼬리풀이 무리지어 서 있는 모습이 호수 주변 산지와 어울.. 2022. 7. 20.
몽골식물 - 큰황새풀(사초과 황새풀속) 2022. 6. 27. 몽골. 한갈노르. 호수에서 사흘 밤을 묵으면서 탐사한다는 계획이 변경되었다. 하루를 당겨서 오전 탐사 후 점심식사를 하고 다음 숙영지로 이동한다고 한다. 하루 더 묵을 거라 텐트 안에 짐도 마구 어질러 두었는데 마음이 바쁘다 주어진 오전 탐사 시간 동안 어제 보지 않던 다른 방향으로 탐사를 했지만 시간이 여유롭지 않아서 많이 아쉬웠던 한갈노르였다. 호수변의 식생이 다른 곳과 차이가 있어서 아직도 좀 더 탐사해 봤었더라면 하는 미련이 남아 있는 곳이다 하얗게 무리지어 피어 있는 큰황새물도 호수 풍광과 어울려 아름답다. 6. 25. 첫날 잠깐 탐사 중에 황새풀 : https://blog.daum.net/qweenbee/8908412 작은황새풀 : https://blog.daum.net.. 2022. 7. 20.
몽골식물 - 나도씨눈란 2022. 6. 27. 몽골. 한갈노르. 습지 풀섶에 두 종류의 난초를 만났는데 붉은색의 손바닥난초류 Orchis salina와 이 녀석이다. 전초 크기가 한 뼘 정도로 작은 녀석이 풀들 사이에 섞여 있어서 발에 밞히기 일쑤였다. 2022. 7.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