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식물4780 몽골식물 - 현삼과 송이풀속 4. Pedicularis comosa L. 2022. 6. 27. 몽골 제 2. 숙영지 한갈노르 호수. 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9 https://qweenbee.tistory.com/8898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3188 https://qweenbee.tistory.com/8896828 https://qweenbee.tistory.com/8906008 https://qweenbee.tistory.com/8908501 송이풀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899147 큰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4215 큰송이풀 열매 : .. 2022. 7. 19. 몽골식물 - 현삼과 송이풀속 3 pedicularis palustris 2022. 6. 27. 제 3숙영지 한갈노르 호수 호수 수변에 서 있던 녀석으로 전초에 암자색을 띠고 있었는데근연종들에 비하여 줄기가 길고 꽃이 더 작았다. 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9 https://qweenbee.tistory.com/8898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3188 https://qweenbee.tistory.com/8896828 https://qweenbee.tistory.com/8906008 https://qweenbee.tistory.com/8908501 송이풀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899147 큰송.. 2022. 7. 19. 몽골식물 - 현삼과 송이풀속 2. Pedicularis striata 2022. 6. 28. 몽골 한갈노르 호수. 건조한 사면 초지에 있던 녀석이다. 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9 https://qweenbee.tistory.com/8898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3188 https://qweenbee.tistory.com/8896828 https://qweenbee.tistory.com/8906008 https://qweenbee.tistory.com/8908501 송이풀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899147 큰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4215 .. 2022. 7. 19. 몽골식물 - 붉은송이풀(현삼과 송이풀속 ) Pedicularis rubens Stephan 2022. 6. 25. 몽골 1숙영지. 송이풀속 중에서 붉은 화색을 가진 녀석으로 곱다몽골도감(p541)에서 학명을 찾았다.김찬수박사의 알타이식물 탐사기 p380에 "붉은송이풀"로 국명을 명명하여 실려 있어서 그에 따라 국명을 정리한다. 2022. 6. 25. 2숙영지 한갈노르. 여기는 습지에서 만났다. 6. 27. 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9 https://qweenbee.tistory.com/8898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3188 https://qweenbee.tistory.com/8896828 https://qweenbee.tistory.com/89060.. 2022. 7. 19. 몽골식물 - 물지채(지채과 지채속) Triglochin palustris L. 2022. 6. 26. 몽골 한갈노르. 12시 경 1숙영지를 출발한 후르공은 3시간 여를 달려서 한갈노르 호수변에 우리를 내려 놓았다.호수 남쪽에 도착하여 잠시 차를 세운 우리는 새까맣게 달려드는 파리 떼에 질겁을 하였다.후루공 차체를 파리 떼가 도배를 하다시피 한 모습에 숙영지를 물색하던 우리는 서둘러 자리를 옮겼다. 1숙영지는 몽골인들이 찾는 자연경관지인데다가 저녁 무렵에 도착하여 이튿날 점심 때 철수를 하였기에머문 시간이 짧기도 해서 파리 떼의 심각성을 느낄 시간이 없었더랬다. 안내하는 가이드는 숲이 가깝고 풀이 길면 파리 떼가 많다고 하기에 호수 건너편 북쪽 초지로 이동을 하여 짐을 풀었다.다행하게도 숲에서 떨어진 반대편 초지 언덕은 파리들의 공격이 심하지는 않았다.호수를 끼고 있는데도 이렇게 주.. 2022. 7. 19. 몽골식물 - 가래바람꽃(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2022. 6. 30. 몽골, 5야영지 차강암하로 이동하는 중 나무 다리를 촬영한다고 모두 차에서 내렸다. 잠시 휴식을 하다가 차에 오르려는데 주변을 뒤지던 꽃동무가 일행들을 부른다. 버드나무 숲 사이 사이에서 가래바람꽃을 찾아 놓았다. 어제 국경으로 가는 비슷한 환경에서 흰꽃들이 차창으로 스치길래 바람꽃 종류 같다고 했더니 바로 이 녀석이었던 것이다. 유럽, 시베리아, 아무르, 만주, 일본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 나라에도 함북지방과 백두산 주변에 분포하고 있는 녀석인데 백두산 탐사에서도 만나보지 못한 녀석이다. 어디 든지 잠시 틈만 나면 주변을 탐사하는 게 습관인 꽃동무 덕분에 가래바람꽃도 만나게 되었다 https://qweenbee.tistory.com/8890296 https://qweenbee.t.. 2022. 7. 19. 몽골식물 - 바람꽃속 Anemonastrum crinitum (Juz.) Holub 2022. 6. 25. 몽골. 하루 주르 흐니 후호 호수. 숙영 1박 후 오전 시간 호수를 돌면서 탐사하기로 했는데 한 시간 정도 살피다가 별로 볼 게 없다고 호수 뒷편 위로 올라 가자고 한다. 수변에 작은 식물들이 많이 보이는데 발걸음이 떨어지지 않는다. 뒷편 언덕에 올라가니 호수 전경만 눈에 들어올 뿐 좁은 공간에 식생도 별로다. 첫 탐사니 앞으로 더 많은 식물을 볼 수 있겠지 하는 기대로 아쉬움을 접는다 호수 주변 시베리아잎갈나무 아래와 러시아 국경지역 주변 숲에서 만났던 녀석이다 현장에서는 긴털바람꽃이다 큰바람꽃이다 라는 이름들이 오갔는데 국명으로 등록된 건 없다.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조선바람꽃 Anemone chosenicola Ohwi 이 등록되어 있고 비추천명으로 긴털바람꽃과 큰바람꽃이, 북.. 2022. 7. 19. 몽골식물 - 미나리아재비과 금매화속 Trollius asiaticus 2022. 6. 25. 몽골. 첫 숙영지에서 1박을 하였다.공원 관리직원에게 입장료와 함께 공원 안 조용한 곳에 텐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조금의 돈을 더 얹어 준 덕분에사람들이 붐비지 않은 경관지 안 언덕배기에 자리를 잡았다. 우리나라 시골 식당에서 사용하는 둥근 가스버너에 불을 피워서 압력밥솥으로 지은 밥으로 저녁식사를 마쳤다.일부 남자들은 주변에서 죽은 나무 둥치를 들고 와서 불을 피우고모깃불 피울 재료로 잘 마른 가축 배설물을 주워 모았다. 그렇게 밤을 잘 넘기는가 했는데하필 내 텐트 바로 옆에서 별 촬영을 한다고 자정을 넘기도록 두런두런 이야기를 하는 통에잠을 이룰 수가 없었다. 좁은 텐트에서 일어났다가 누웠다가를 반복하다가 살짝 잠이 들려고 하는데 또 다른 하이톤 목소리 까지 합류하여 떠드는 바.. 2022. 7. 18. 몽골 식물- 잎새바위솔(돌나물과 바위솔속) 2022. 6. 30~몽골. 이 녀석은 하천변 돌틈 사이에서도 꽃대를 올렸다.우리 나라 북부지역에서도 자란다는데 백두산 주변에서는 본 적이 없다 테를지공원 바위지대에는 아주 흔하게 보인다.꽃대를 올린 녀석들이 꽤 보였지만 8월이나 되어야 꽃을 피울 것 같다 좀바위솔 : https://qweenbee.tistory.com/8889138 https://qweenbee.tistory.com/8887056 https://qweenbee.tistory.com/8890950 https://qweenbee.tistory.com/8894705 https://qweenbee.tistory.com/8898365 https://qweenbee.tistory.com/8900148 https://qw.. 2022. 7. 16. 몽골 식물- 잎새바위솔(돌나물과 바위솔속) 동아 Orostachys spinosa (L.) Sweet 2022. 6. 28.~30. 몽골. 이 녀석은 우리 나라의 바위솔만큼이나 흔한 녀석이다.주로 산지 바위가 있는 곳에 많이 자라고 있었는데하천변 자갈밭에까지도 어린 동아들이 바글바글거리는 모습이 목격되었다. 잎 끝에 긴 가시가 붙어 있다.한반도 북부지방에 나며, 러시아, 몽골, 일본, 중국 동북부, 신강 등에 분포한다. 좀바위솔 : https://qweenbee.tistory.com/8889138 https://qweenbee.tistory.com/8887056 https://qweenbee.tistory.com/8890950 https://qweenbee.tistory.com/8894705 https://qweenbee.tistory.com/8898365 https://qweenb.. 2022. 7. 16. 몽골식물-노랑개자리(콩과 개자리속) 2022. 6. 26. 몽골 이 녀석은 낮은 풀들이 있는 건조한 초지에서 자주 나타난다. 초원은 가축들이 워낙 풀을 뜯어먹으니 풀이 자랄 틈이 없어서 벼과 이삭이라곤 거의 몰 수가 없다. 제주도에서 오름 두 군데에서 이 녀석과 같은 녀석을 본 적이 있는데 강원도 모 재에서 본 녀석은 이 녀석과 좀 다른 모습이다. 개자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7717 https://qweenbee.tistory.com/8895285 https://qweenbee.tistory.com/8895419 https://qweenbee.tistory.com/8897526 https://qweenbee.tistory.com/8902415 https://qweenbee.tistory.com/89.. 2022. 7. 16. 몽골 식물-피뿌리풀(팥꽃나무과 피뿌리풀속) Stellera chamaejasme L. 2022. 6. 26. 몽골 한갈노르 호수. 한갈노르 호수 주변에서 본 피뿌리풀 군락이다붉은색이 짙은 개체, 분홍색, 노란색등 화색이 다양하다 노란 빛을 띠는 녀석도 보이고 분홍색 녀석도 보인다 피뿌리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7968 https://qweenbee.tistory.com/8889963피뿌리풀(몽골) : https://qweenbee.tistory.com/8909018 https://qweenbee.tistory.com/8909015 https://qweenbee.tistory.com/8898888 https://qweenbee.tistory.com/8909071 https://qweenbee.tis.. 2022. 7. 15. 이전 1 ··· 73 74 75 76 77 78 79 ··· 3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