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별식물4779

몽골식물 - 쥐손이풀속 1 Geranium pseudosibiricum 2022. 7. 2. 마지막 숙영지 테를지. 청색 빛을 띤 쥐손이풀속 녀석이 이쁘다.  이질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750       https://qweenbee.tistory.com/8890668https://qweenbee.tistory.com/8889027  https://qweenbee.tistory.com/8896348이질풀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6837  https://qweenbee.tistory.com/8908618 선이질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478    https://qweenbee.tistory.com/8886609https://qweenbee.tistor.. 2022. 8. 16.
애기탑꽃(꿀풀과 층층이꽃속) Clinopodium gracile (Benth.) Matsum. 2022. 6.  울릉도. 나리분지를 탐사하는데 울릉도에서는 처음 만나는 층층이꽃속 녀석이 나타나서 놀랐다.왜 전에는 이 녀석이 눈에 띄지 않았을까?  잎 모양잎 기부잎 길이잎자루 줄기화서 간격소포꽃색, 길이꽃받침 털층층이꽃난형, 좁은난형, 양면 털, 선점 없음원형3~7cm 2~20mm 잔털거리가 있다꽃자루보다 길다홍자색,8~9mm퍼진털, 샘털산층층이난형,양면 털,  좁은난형원형3~7cm 2~20mm 잔털 거리가 있다꽃자루보다 길다담홍,흰색,6~7m퍼진털 샘털두메층층이 좁은난형, 난형,양면 긴털, 뒷면 뚜렷한 선점원형,약간심형 3~5cm 5~20mm아래 향한 털거의 열결된다꽃자루보다 짧다 담자색, 5~6mm 긴털과 샘털애기탑꽃넓은난형,난원형털 없음, 선점 없음원형1~3cm 8~15mm 잔털거의 열결된다꽃.. 2022. 8. 15.
몽골식물 - 달구지풀(콩과 토끼풀속) Trifolium lupinaster L. 2022. 7. 2. 몽골. 마지막 숙영지 테를지. 이 녀석도 산지  암릉지 주변이나 산지 아래에 자주 눈에 띄었다.테를지 공원 암릉지를 탐사하는데 바위 아래 무리지어 붉게 꽃을 피우고 있었다.  애기노랑토끼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025  https://qweenbee.tistory.com/8891230https://qweenbee.tistory.com/8893411     https://qweenbee.tistory.com/8893803 https://qweenbee.tistory.com/8895420  https://qweenbee.tistory.com/8910296 노랑토끼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9431    htt.. 2022. 8. 14.
몽골식물 - 장미과 조팝나무속 Spiraea 2022. 7. 2. 몽골 테를지공원. 잎이 길고 윗부분에만 톱니가 있어서 긴잎조팝나무라 생각했더니 잎에 털이 많이 보이는 털긴잎조팝나무로 보인다.헌데  이 녀석은 잎 양면에 털이 있는 게 아니라 표면에는 털이 없다는 게 문제다. 그리고 중국에서 만났던 털긴잎조팝나무와는 잎의 톱니와 털 모습에서도 좀 차이가 있다. 그래서 일단 털긴잎조팝나무에서 보류한다털긴잎조팝나무북부 고원에서 자라는 높이 1.5m가량의 낙엽 떨기나무이다. 가지에는 어릴 때 털이 있으나 없어진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장타원형이고 양 끝이 뾰족하며 길이 3.0~3.5cm로서 상반부에 몇 개의 깊은 톱니가 있거나 전혀 없다. 잎 양면에 털이 밀생하며 잎자루는 길이 1~2mm이다. 꽃은 5~6월경에 피는데 지름 5~8mm로서 흰색이고, .. 2022. 8. 10.
몽골식물 - 민망초(국화과 개망초속) Erigeron acris L. 2022. 7. 1. 몽골 테를지공원. 2019년 백두산 언저리 중국 지역에서 처음 만나서 흥분했던 녀석인데 몽골에서도 드문드문 나타나서 반가웠다. 이 녀석은 설상화가 있긴 하지만 매우 짧고 옅은 붉은색은 띠는 흰색이다. 아직 제대로 개화가 안 되어 있는데다가 빨리 출발하자고 독촉하는 바람에 충분하게 담지 못하였다. 우리나라 북부지방에 나며, 중국 북동부, 일본, 러시아 쿠릴, 사할린, 시베리아, 유럽,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한다. 망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87402 https://qweenbee.tistory.com/8887209 https://qweenbee.tistory.com/8898368 https://qweenbee.tistory.com/8896356 ht.. 2022. 8. 10.
몽골식물 - 십자화과 염주냉이속 Stevenia canescens (DC.) D.A.German 2022. 7. 1. 몽골 테를지. 다년생 초본으로 키가 3-10cm로 작고 줄기에 성상모가 밀생하여 회백색을 띤다.잎은 긴 선형으로 둔두이다.   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7197     https://qweenbee.tistory.com/8897197https://qweenbee.tistory.com/8895343    https://qweenbee.tistory.com/8891441https://qweenbee.tistory.com/8891482    https://qweenbee.tistory.com/8898971https://qweenbee.tistory.com/8899008    https://qweenbee.tistory.com/8903596     .. 2022. 8. 9.
몽골식물 - 십자화과 1. Erysimum flavum 2022. 6. 26. 한갈노르 호수. 십자화과 녀석들이 많이 보이긴했지만 2015년에 꽤 여러 종 찍은 게 있어서 그냥 퍽샷 정도로 담다 보니 촬영 수가 많지가 않다. 이 녀석은 키가 꽤 큰 종이었는데 줄기에 털이 없고 잎이 선형이었다. 몽골 십자화과 : https://blog.daum.net/qweenbee/8898835 https://blog.daum.net/qweenbee/8898836 https://blog.daum.net/qweenbee/8898837 https://blog.daum.net/qweenbee/8898845 https://blog.daum.net/qweenbee/8898838 https://blog.daum.net/qweenbee/8909195 https://blog.daum.ne.. 2022. 8. 9.
몽골식물 - 씨범꼬리(마디풀과 범꼬리속) Bistorta vivipara 2022. 7. 30. 몽골, 테를지로 가는 도중 오논강 주변에서. 꽃차례 아래 부분에 무성생식하는 살눈(주아)가 달리는 범꼬리 녀석이다. 키가 무척 작아서 애기씨범꼬리 정도로 보였는데 애기씨범꼬리는 씨범꼬리로 통합이 되어 있다 범꼬리는 독립된 속으로 처리하여 학명이 Bistorta vivipara 로 , 넓게 마디풀속 종으로 처리할 경우에는 Polygonum viviparum L. 로 한다. 씨범꼬리는 근생엽이 피침형, 또는 장타원상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기부는 등글고 뒷면이 분백색이고 엽병이 길다. 그런데 어린 싹의 잎은 난형으로 좀 차이가 있어서 다른 씨범꼬리류가 아닐까 싶기도 하다 2022. 6. 26. 한갈노르 2022. 6. 25. 한갈노르호수로 오는 중 초지에서 담은 씨범꼬리다. 범꼬리 .. 2022. 8. 9.
몽골식물 - 가는범꼬리(마디풀과 범꼬리속) 2022. 6. 24. 가는 피침형의 잎 아마도, 그럴거라. 범꼬리 : http://blog.daum.net/qweenbee/8886077 http://blog.daum.net/qweenbee/8888354 http://blog.daum.net/qweenbee/8888254 http://blog.daum.net/qweenbee/8892107 blog.daum.net/qweenbee/8905744 범꼬리 신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91687 눈범꼬리 : http://blog.daum.net/qweenbee/8887754 http://blog.daum.net/qweenbee/8888255 http://blog.daum.net/qweenbee/8895734 http://.. 2022. 8. 9.
몽골식물 -현삼과 좁쌀풀속 Euphrasia nemorosa ?? 2022. 6. 30. 몽골 국경지대 숙영을 마치고 마지막 숙영지 테를지로 가는 도중 오논강 유역에서 잠시 주변을 탐사하는 중에 만난 좁쌀풀속 녀석이다. 2015년에도 몽골에서 좁쌀풀 녀석 1종을 만나서 털좁쌀풀로 동정을 했던 적이 있는데 이 녀석도 같은 털좁쌀풀로 봐야 할지 아니면 애기좁살풀로 봐야 할지 분석을 해 봐야 한다고 생각했었는데 털좁쌀풀과 애기좁쌀풀이 한반도 고유종이라니 몽골의 이 녀석은 전혀 다른 녀석으로 봐야겠다. 2015년의 몽골에서 본 녀석도 털좁쌀풀로 본 건 나의 오동정이었다. 수정해야겠다. 이우철 도감의 내용이다 가지가 없고 높이 8~15cm, 밑을 향한 털, 난형의 잎 3~4쌍의 둔하거나 둥근 톱니, 잎 가장자리 잔돌기, 포엽 2~4쌍의 둔한 톱니 줄기와 잎에는 털이 거의 없고,.. 2022. 8. 9.
몽골식물 - 장미과 조팝나무속 2022. 6. 28. 몽골  잎이 자그마한 조팝나무 종류다.벌써 열매가 벌어져서 종자가 떨어진 것도 보이는데,잎과 어린가지, 골돌 열매 표면에 부드러운 털이 아주 많은 털보다.   잎 양면에 부드러운 털이 밀생하고 어린 줄기에도 털이 밀생한다. 갈기조팝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4069   https://qweenbee.tistory.com/8891893https://qweenbee.tistory.com/8889987   https://qweenbee.tistory.com/8889290 https://qweenbee.tistory.com/8888315   https://qweenbee.tistory.com/8902595https://qweenbee.tistory... 2022. 8. 8.
몽골식물 - 장미과 인가목일까? 2022. 9. 29.  몽골 국경지다 숲 언저리. 꽃받침과 화경에 선모가 많은데 열매는 깨끗하다.일단 화경과 꽃받침에 선모가 있으니 붉은인가목도 아니고............인가목으로 보기에도 꽃받침 열편의 길이에서 차이가 있으니 마뜩치가 않다.그래도 이 녀석을 몽골에서는 인가목으로 보는 모양이다.  꽃받침과 화경의 선모가 보인다.  생열귀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14  https://qweenbee.tistory.com/8892013https://qweenbee.tistory.com/8892197  https://qweenbee.tistory.com/8893998https://qweenbee.tistory.com/8897794   https://qween.. 2022. 8.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