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식물4779 몽골식물 - 노랑꽃양귀비(양귀비과 양귀비속) Papaver nudicaule 2022. 6. 28. 3숙영지와 6. 29. 국경 주변 탐사에서 이상하게 양귀비 녀석한테는 눈길이 잘 가지 않아서 대충 몇 컷 찍고 말았다. 몽골식물도감(2013. 이상명 외)에 노랑꽃양귀비로 명명이 되어 있어서 그에 따라 정리하였다. 개양귀비 : https://qweenbee.tistory.com/8891320 https://qweenbee.tistory.com/8896384 https://qweenbee.tistory.com/8903854 https://qweenbee.tistory.com/8906453 개양귀비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7256 https://qweenbee.tistory.com/8908817 두메양귀비 : https://qweenbee.t.. 2022. 8. 4. 몽골식물 - 몽골홑잎운향(운향과) Haplophyllum dauricum 2022. 6. 28. 3숙영지 반데리아올 뒷산. 김찬수박사의 알타이식물 탐사기에 몽골홑잎운향이라 명명해 놓았다. 중국명은 북운향이다.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50cm 내외, 잎은 어긋나며 홑잎과 겹잎이 있고 선상 피침형 혹은 타원형이고, 잎맥이 없다. 투명한 유점(油點)이 있으며 탁엽이 없다. 꽃은 양성화 또는 단성화로서 녹색을 띤 노란색으로 피는데,잎처럼 생긴 포의 잎겨드랑이에 산방꽃차례나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4∼5개씩이며 깊이 패어 들어간 흔적이 있다. 개화기는 6~7월. 씨앗은 상단부가 3~4조각으로 갈라져 있다. 운향과는 대부분 강한 향기를 가지고 있는데, 이 녀석의 향을 맡아 보지 못하였다 우리 나라에 8속 20종이 자라며, 대부분이 목본이고 백선이 이에 해당하는 초본이다.. 2022. 8. 4. 몽골식물 - 마타리속 2022. 6. 25-26. 한갈노르에서 부터. 산지 개방된 암석지대에 마타리속 녀석이 꽃처럼 열매를 달고 있다. 열매가 꽃보다 더 이쁘다 뚝갈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8267 https://qweenbee.tistory.com/8898913 https://qweenbee.tistory.com/8903343 https://qweenbee.tistory.com/8903229 뚝갈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7022 뚝갈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1962 https://qweenbee.tistory.com/8909476 https://qweenbee.tistory.com/8908319 긴.. 2022. 8. 4. 몽골식물 - 석죽과 2022. 6. 26. 한갈노르 호수 호수변 습지에 자잘한 석죽과 녀석이 눈길을 잡는다 벼룩나물 비슷한 녀석인데 꽃을 많이 달고 있다. 아래 사진에는 두 종이 섞인 듯 하기도 하고 헷갈린다 2022. 8. 4. 몽골식물 - 국화과 산솜방망이속 2022. 6. 26. 몽골. 솜방망이를 닮은 이 녀석을 세밀하게 촬영하지 않아서 정체를 못 찾았다. 바위솜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44 https://qweenbee.tistory.com/8890167 https://qweenbee.tistory.com/8891837 https://qweenbee.tistory.com/8892026 https://qweenbee.tistory.com/8892030 https://qweenbee.tistory.com/8894406 https://qweenbee.tistory.com/8895574 https://qweenbee.tistory.com/8895649 https://qweenbee.tistory.com.. 2022. 8. 1. 몽골식물 - 큰절굿대(국화과 절굿대속) Echinops dahuricus Fisch. ex Hornem. 2022. 6. 25. 몽골. 잎의 결각과 가시의 모습이 섬세하여서 국내에 있는 녀석과는 좀 달라보인다.절굿대속으로 검색에 보니 종이 꽤 있어서 학명을 달기 쉽지가 않다. 몽골식물도감(최혁재 공저) 에 이 녀석을 큰절굿대로 올려 놓았다.국네의 해안 지역에서 만나던 큰절굿대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2022. 7. 2. 테를지 2022. 7. 2. 테를지. 큰절굿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05 https://qweenbee.tistory.com/8896187https://qweenbee.tistory.com/8896578 https://qweenbee.tistory.com/8898822(몽골)https://qweenbee.tistory.com/8898901(.. 2022. 8. 1. 몽골식물 - 콩과 묏황기속 Hedysarum alpinum L. 2022. 6. 29. 몽골 국경지대. 꽃차례가 엄~청 길어서 놀랬는데, 이런 모습의 콩과 식물을 처음이다. 직립하는 데다가 덩굴손 없는 잎은 소엽수도 많았다. 어느 속인지 짐작도 안된다. 꽃동무가 학명을 찾아 주었다. Hedysarum 묏황기속이었다. 황기 : http://blog.daum.net/qweenbee/8888878 http://blog.daum.net/qweenbee/8886766 http://blog.daum.net/qweenbee/8892074 http://blog.daum.net/qweenbee/8892666 http://blog.daum.net/qweenbee/8896389 http://blog.daum.net/qweenbee/8896484 http://blog.daum.net/qw.. 2022. 8. 1. 몽골식물 - 꽃고비(꽃고비과 꽃고비속) Polemonium caeruleum L. subsp. kiushianum (Kitam.) H.Hara 2022. 6. 29. 몽골 국경 주변. 국경 부근의 산지 자작나무 숲에서 처음 만났던 꽃고비다.이미 절정을 지나서 시들시들해진 상태이다. 이후 꽃고비는 만나볼 수가 없었다 중국의 왕청에서 무리지어 서 있는 모습을 본 적이 있는데 그 녀석은 가지가 많이 발생하는 종이었다. 꽃고비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30 https://qweenbee.tistory.com/8898732(몽골)https://qweenbee.tistory.com/8904034(백두)https://qweenbee.tistory.com/8904041(백두)https://qweenbee.tistory.com/8909163(몽골)https://qweenbee.tistory.com/8911653(내몽골) 2022. 8. 1. 몽골식물 - 골풀과 골풀속 Juncus 2022. 6. 25. 몽골. 한갈노르로 가는 도중. 검정납작골풀이 아니었다. 2숙영지로 가는 도중에 초지 습원에 차를 세웠다. 2호 차가 너무 떨어져서 기다릴 겸해서이다. 차에서 내린 우리는 그저 바닥만 뒤지기 시작한다. 자잘한 갯봄맞이가 바닥에 깔려 있어서 탄성이 절로 나오지만 국내에서도 만날 수 있는 녀석이라 두어 컷 담고는 그냥 지난다. 앵초속 녀석이 아주 싱싱하게 꽃이 피어 있어서 다들 작품 만드느라고 정신이 없다. 그 사이에 검은 꽃을 피우고 있는 골풀과 녀석을 용케도 찾아낸 꽃동무, 검정납작골풀과 아주 흡사한 녀석이었다. 촬영할 때 까지만 해도 검정납작골풀이라 생각을 했다. 헌데 검정납작골풀은 꽃차례 자루가 길고 줄기 중간에서 꽃을 피우며 수술 길이가 암술대 길이와 비슷하고 줄기와 잎자루가 .. 2022. 8. 1. 몽골식물 - 등포풀(현삼과 등포풀속) Limosella aquatica L. 2022. 6. 30. 몽골. 탐사 일정 후반부라 동북쪽 국경 부근의 숙영을 마치고 하루 종일 테를지를 향해서 이동을 해야 했다. 마지막 숙영지로 정해진 테를지국립공원은 울란바토르에서 두 시간 정도 거리라서 귀국 전날 코로나 검사와 시내 일정을 소화하려면 오전에 울란바토르에 도착해야 했기 때문이다. 숙영지를 출발한지 2시간, 며칠 전 머리를 감고 몸을 씻던 오논강 지류에 잠시 차를 세웠다. 작은 강은 강수량이 적은 몽골 기후에 비하여 꽤 유수량이 많았는데 넓은 초지와 산지에서 스며 드는 물이 모여서 이렇게 끊어지지 않은 물길을 만드는 것 같았다. 몽골의 초지는 질퍽한 습지도 있어서 푸른 풀들이 끝 없이 펼쳐져 있었지만 초원을 가로지르면서 오가는 길에 보면 물길이 말라 있는 곳이 많았고 작은 도랑은 거의 .. 2022. 8. 1. 몽골식물 - 좁은잎사위질빵(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 Clematis hexapetala Pall. 2022. 6. 28. 반데리아올 오전 탐사 산지초지와 암석지 주변에 좁은잎사위질빵이 꽤 많이 보인다.전날 도착하면서 원추리군락 속을 휘저으며 다닐 때 좁은잎사위질빵 몇 포기가 있는 걸 발견하였던 터라아마도 많은 개체가 있을 것 같더라니 암석지 주변에서 많은 개체를 만나게 되어 더 반가웠다. 국내에는 충남 바닷가에 유일하게 자생하고 있는데 백두산 탐사 때 해란강 유역 산지에서 만난 적이 있다.몽골에서 이 녀석을 만나니까 얼굴이 익은 녀석이라서 더 반갑다.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 몽골, 중국 등에 분포한다. 으아리에 비해 원줄기가 1m 미만으로 곧게 자라고, 작은잎은 선상 피침형이므로 구분된다. 찬조 출연한 끔찍했던 쏘는 파리 떼들 할미밀망 : https://qweenbee.tistory.com/88.. 2022. 7. 31. 넓은잎쥐오줌풀(마타리과 쥐오줌풀속) 2022. 6. 13. 울릉도. 울릉도 특산으로 잎이 매우 넓고 전초 크기가 크다. 줄기에 털이 많은 쥐오줌풀과 달리 줄기에 털이 없다. 쥐오줌풀 : http://blog.daum.net/qweenbee/8890165 http://blog.daum.net/qweenbee/8888130 http://blog.daum.net/qweenbee/8899435 http://blog.daum.net/qweenbee/8901088 http://blog.daum.net/qweenbee/8902692 blog.daum.net/qweenbee/8905382 blog.daum.net/qweenbee/8905734 쥐오줌풀 새싹 : http://blog.daum.net/qweenbee/8891656 http://blog.da.. 2022. 7. 31. 이전 1 ··· 69 70 71 72 73 74 75 ··· 3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