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식물4779 둥근잎비름(돌나물과 돌나물속) 2022. 6. 14. 울릉도. 도동 산책로 주변에 자라고 있지만 사람의 손에 의하여 심겨진 것으로 알고 있다. 2005년 경산에서 처음 발견이 되어 보고된 미기록 외래식물로 등록이 되었는데원예종으로 기르던 것이 야화된 것으로 봐야하지 않을까 싶다.실제로 집집마다 화분이나 담장 주변에서 자라는 것을 볼 수 있다. 말똥비름 및 주걱비름과 비교하여 잎이 납작한 점이 비슷하지만,말똥비름은 줄기와 잎이 만나는 축에 엽아가 있지만, 둥근잎비름은 엽아가 없으며,주걱비름은 꽃이 달린 줄기의 잎이 어긋나지만, 이 녀석은 잎이 마주나므로 구분된다. 줄기 끝에 화서가 잡히기 시작하는데 개화 시기에 보지 못하여 꽃을 촬영한 적이 없다. 땅채송화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69 .. 2022. 11. 12. 통달목(두릅나무과 통달목속) 열매 Tetrapanax papyriferus (Hook.) K.Koch 2022. 3. 11. 제주. 남부지역에 공원이나 조경수로 많이 심겨져 있는 아열대성 상록수로 잎이 대단히 큰 아교목이다. 땃두릅나무 꽃 :http://blog.daum.net/qweenbee/8890337 http://blog.daum.net/qweenbee/8890314 http://blog.daum.net/qweenbee/8901153 http://blog.daum.net/qweenbee/8901154 http://blog.daum.net/qweenbee/8901155 http://blog.daum.net/qweenbee/8902830 http://blog.daum.net/qweenbee/8902831 땃두릅나무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901254 땃두릅나무.. 2022. 10. 5. 섬바디(산형과 섬바디속) Dystaenia takesimana (Nakai) Kitag. 2022. 6. 13. 울릉도. 풍랑주의보가 내려서 배가 뜨지 않으니 하루를 더 머물러야 했다. 비가 뿌리는 해안도로를 따라 차를 몰다가 잠깐씩 차를 세우고 식생을 살피는데 섬바디가 도로 사면을 하얗게 덮고 있다. 울릉도에만 자생하는 한국고유종이다 바디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61 https://qweenbee.tistory.com/8886506 https://qweenbee.tistory.com/8886352 https://qweenbee.tistory.com/8886480 https://qweenbee.tistory.com/8892539 https://qweenbee.tistory.com/8903145 https://qweenbee.tistory.com/8.. 2022. 9. 7. 섬초롱꽃(초롱꽃과 초롱꽃속) Campanula takesimana Nakai 2022. 6. 13. 울릉도. 내수전 둘레길로 진입하려는데 말소리를 따라 숲으로 들어 가니아주머니 두분이 섬딸기 열매를 따느라고 정신이 없다가 인기척에 깜짝 놀란다.그 옆 비탈에 섬초롱꽃이 초롱불 밝히고 반겨준다. 초롱꽃은 잎과 줄기에 털이 많지만 섬초롱꽃은 전초에 털이 없다. 초롱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7090 https://qweenbee.tistory.com/8899477https://qweenbee.tistory.com/8900187 https://qweenbee.tistory.com/8900390https://qweenbee.tistory.com/8901202 https://qweenbee.tistory.com/8902964 htt.. 2022. 9. 4. 사마귀풀(닭의장풀과 사마귀풀속) Murdannia keisak (Hassk.) Hand.-Mazz. 2018. 9. 15. 제주. 오래 전 제주도 오름을 탐사하고 담았던 녀석이다. 닭의장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2586 https://qweenbee.tistory.com/8886578https://qweenbee.tistory.com/8888680 https://qweenbee.tistory.com/8898372https://qweenbee.tistory.com/8904427닭의장풀(무늬): https://qweenbee.tistory.com/8888950 좀닭의장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8263 https://qweenbee.tistory.com/8894485https://qweenbee.tis.. 2022. 8. 31. 산비장이(국화과 산비장이속) Serratula coronata L. subsp. insularis (Iljin) Kitam. 2017. 9. 23. 제주. 강원도를 비롯한 높은 산지에서 자라는 총포가 황갈색털이 많고 포편의 가시털이 짧은 녀석은 북방산비장이로, 총포편의 끝 부분의 바늘같은 가시털이 길고 총포가 자색을 띠고 누른 털이 거의 없는 녀석이 산비장이로재 정리가 되었다. 산비장이는 제주도와 남부 지역 습원에 자란다고 한다. 오래 전 제주의 오름에서 만난 산비장이다.자주개황기를 찾느라고 보라색 꽃을 보면 다가 가다 보니 산비장이까지 나타난다. 북방산비장이 Serratula coronata L.산비장이 Serratula coronata L. subsp. insularis (Iljin) Kitam. 잔잎산비장이 Klasea centauroides (L.) Cass. subsp. komarovii (Iljin) .. 2022. 8. 29. 가는기름나물(산형과 가는기름나물속) Kitagawia komarovii Pimenov (이명 Peucedanum elegans Kom.) 2019. 7. 20. 중국 만강. 백두산 야생화 탐사 시에 정체가 아리송했던 녀석이다. 가는잎방풍이란 이야기도 오가긴 했지만 잎이 너무 가늘고 털도 거의 없는지라 궁금했던 녀석이다. 2022년 제 53회 한국식물분류학회 학술대회에서 두 종의 기름나물속 신종이 포스팅되었다 삼척 미로면의 미로기름나물(Peucedanum miroense K.Kim, H.-J.Suh & J.-H.Song)과 가는기름나물이라 부르던 동강변의 기름나물이 동강기름나물(Peucedanum tongkangense K.Kim, H.-J.Suh & J.-H.Song)로 신칭하여 포스터 발표가 되었다, 그 동안 동강의 기름나물속 녀석이 가는기름나물 로 오동정되었다는 것인데 그러면 가는기름나물은 어떻게 생겼을까 싶어서 국가표준식물목록의 가는.. 2022. 8. 27. 가는잎방풍(산형과 털기름나물속) Libanotis seseloides (Fisch. & C.A.Mey. ex Turcz.) Turcz. 2019. 7. 17. 백두로 가는 중. 도로변 낮은 숲을 탐사하던 중에 나타난 이 녀석을 두고 다들 궁금해 했다. 일행 중 한 분이 가는잎방풍이라기에 국내에서 보던 녀석과는 분위기가 좀 다르고 털이 안 보이길래 설마 했더니 털이 없는 게 아니라 털의 발현이 약했을 뿐이다. 찬찬히 들여다 보니 잎 열편의 모습이나 아래쪽 잎자루의 털, 줄기 아래 쪽의 털로 봐서 가는잎방풍으로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헌데 가는잎방풍에 비하여 잎의 열편 너비가 너무 가늘다. 그늘이 깊어서 그럴까? 일단은 가는잎방풍으로 정리를 해둔다. 기름나물 : http://blog.daum.net/qweenbee/8889080 http://blog.daum.net/qweenbee/8890925 http://blog.daum.net/qwee.. 2022. 8. 27. 몽골식물- 나도마름아재비(미나리아재비과 덩굴미나리아재비속) Halerpestes sarmentosa (Adams) Kom. 2022. 7. 2. 몽골. 툴강 주변. 하천가 초지를 살피다가 만난 녀석이다.나도마름아재비는 2015년에 딱 두 컷의 사진으로 남아 있던 녀석이라 아쉬웠던 녀석인데 이렇게 뜻밖에 녀석을 만나게 되었다. 잎, 꽃, 전초가 작은 녀석이다. 줄기를 길게 벋어 나가며 뿌리를 내린다 개구리갓 :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8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9https://qweenbee.tistory.com/8889489 https://qweenbee.tistory.com/8897174https://qweenbee.tistory.com/8895284 https://qweenbee.tistory.com/8895474https.. 2022. 8. 24. 몽골식물- 양반풀 (협죽도과 백미꽃속) 열매 Cynanchum thesioides (Freyn) K.Schum. 2022. 7. 2. 몽골 테를지. 아침에 암석지에서 꽃동무가 찾아 놓은 양반풀 군락에서 꽃은 풍성하게 만났는데열매를 찾지 못한지라 무척 아쉬웠더랬다. 공원 안 탐사를 좀 일찍 마친 터라 늦은 시간에 다시 암석지에 올라 가서 이것 저것 탐사를 하는데꽃동무가 양반풀 열매를 찾았다고 환호를 한다. 양반풀은 국내에서도 아주 어렵게 만나는 녀석이라서 열매는 아예 꿈도 못 꾸는데결국 몽골에서 열매를 촬영하게 되었다. 역시 박주가리과(협죽도과) 다운 열매가 달려 있다. 이 곳의 양반풀은 거의 이렇게 서 있는 모습인데국내에서 자라는 녀석은 바닥에 늘어져서 다른 풀들에 의지를 하는 모습을 보인다.생육지 환경이 제가 사는 곳의 환경과 달라서 적응이 어려운 게 아닌가 싶다. 흑박주가리 : https://qween.. 2022. 8. 24. 섬꼬리풀(현삼과 꼬리풀속) Pseudolysimachion nakaianum (Ohwi) T.Yamaz. 2022. 6. 13. 울릉도. 성인봉 둘레길에서 급하게 찾아 다니느라고 겨우 몇 포기를 찾았다. 섬꼬리풀은 잎몸의 가장자리의 결각이 깊고, 꽃이 보라색 또는 자주색인 점에서 가새잎꼬리풀과 비슷하지만 잎과 줄기에 짧은 털이 산생하는 점에서 구분된다. 경상북도 울릉도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구와꼬리풀, 가새잎꼬리풀 과 엽형이 비슷하다. 꼬리풀 : http://blog.daum.net/qweenbee/8888726 http://blog.daum.net/qweenbee/8886493 http://blog.daum.net/qweenbee/8891312 http://blog.daum.net/qweenbee/8894457 http://blog.daum.net/qweenbee/8898914 http://blog.. 2022. 8. 16. 몽골식물 - 쥐손이풀속 Geranium pseudosibiricum 2022. 7. 2. 몽골 테를지. 우리 나라 꽃쥐손이와 무척 닮은 녀석이다. 이질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750 https://qweenbee.tistory.com/8890668https://qweenbee.tistory.com/8889027 https://qweenbee.tistory.com/8896348이질풀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6837 https://qweenbee.tistory.com/8908618 선이질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478 https://qweenbee.tistory.com/8886609https://qweenbee.tistory.co.. 2022. 8. 16. 이전 1 ··· 67 68 69 70 71 72 73 ··· 3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