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별식물4779

나도물통이(쐐기풀과 나도물통이속) 2022. 3. 9. 제주도. 물통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70 https://qweenbee.tistory.com/8892551 https://qweenbee.tistory.com/8894040 https://qweenbee.tistory.com/8898076 https://qweenbee.tistory.com/8898335 https://qweenbee.tistory.com/8899782 https://qweenbee.tistory.com/8901436 https://qweenbee.tistory.com/8904330 https://qweenbee.tistory.com/8909280 강계큰물통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9.. 2022. 12. 20.
큰개구리발톱(미나리아재비과 개구리발톱속) Semiaquilegia quelpaertensis D.C.Son & K.H.Lee 2014. 4. 9. 제주. 오래 전 제주의 습한 곶자왈 바닥에서 만났던 개구리발톱이다. 그 동안 개구리발톱으로 정리해 두었지만 이 녀석의 얕게 갈라진 잎 모양으로 2017년에 신종으로 발표된 큰개구리밥으로 보이는데, 오래 전 촬영한 것이라서 수술 수와 종자의 주름을 확인하지 못하였으니 확신할 수는 없다. 개구리발톱 Semiaquilegia adoxoides (DC.) Makino 큰개구리발톱 Semiaquilegia quelpaertensis D.C.Son & K.H.Lee 지하경이 1.5cm로 짧다 지하경이 3-5cm로 길다 잎 열편이 심열(깊게 갈라짐) 한다 잎 열편이 천열(얕게 갈라짐)한다 꽃 크기 4-6mm 수술 8-14개 꽃이 8-10mm로 상대적으로 크다 수술이 16-22개 종자 1mm 종자.. 2022. 12. 20.
몽골식물-참기생꽃(앵초과 기생꽃속) Trientalis europaea L. 2022. 6. 24. 몽골 첫야영지. 대암산 습지에서 보았던 기생꽃의 엽형과는 차이가 있는데.......... 기생꽃의 잎은 끝이 둥근 도란형인데 이 녀석은 잎 끝이 꽤 뾰족한 형태이다 이우철 도감의 내용을 간추려 비교 하면 전초 크기 잎 모양 잎의 크기 꽃의 크기 꽃의 수 참기생꽃 10~25cm 넓은 도피침형, 피침형 끝이 뾰족 (5~10개) 길이 2~7cm 너비 1~1.5cm 지름이 1.5~2cm 2~3cm의 화경이 나와 그 끝에 1개씩 달린다. 기생꽃 7~10cm 내외 도란형, 끝이 둥글다. 길이 1.2~3cm 지름이 1cm(일본자료) 긴 화경이 1~3개 나와 그 끝에 1개씩 달린다. 호수변 습지에서 만나서 혹시나 기생꽃이 아닐까 했는데 참기생꽃으로 봐야겠다. 대암산 용늪 습지의 기생꽃이다 참기생.. 2022. 12. 19.
방풍(산형과 방풍속) Saposhnikovia divaricata (Turcz.) Schischkin 2022. 6. 28. 몽골 반데리아올. 이 산형과 녀석을 담아 놓고 짐작이 안 되어서 올려두지 않았더랬다. 헌데 이 녀석이 백두산에서 만난 적있던 방풍이었다는 걸 이제사 알애채었다. 우리 나라에서 방풍나물이라고 하면서 식용하는 것은 갯기름나물로 이 방풍과는 다른 녀석이다. 뿌리가 한약재로 쓰이는 방풍은 주로 약재로 재배를 하는데 우리 나라에서는 본 적이 없고 중국이나 몽골에서는 야생에서 만날 수 있는 녀석이다. 주변에 풀들과 섞여 있고 접사를 하지 않아서 선명하게 담지 못하였다 아래 5장은 2017년 8월 중국에서 담았던 방풍 사진이다 총산경 끝에서 5개 정도의 소산경이 갈라지며 각각 많은 낱꽃이 달린다. 5개의 꽃잎은 안쪽으로 굽고 수술은 5개로서 황색 꽃밥이 달린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긴 엽병의 밑.. 2022. 12. 18.
개구리발톱(미나리아재비과 개구리발톱속) Semiaquilegia adoxoides (DC.) Makino 2022. 3. 9. 제주. 올해 유일하게 내려갔던 3월의 제주도에서 만났던 개구리발톱을 잊어버리고 있었다. 2017년 제주도에 자생하는 개구리발톱 중에서 전초와 꽃의 크기가 큰 개체를 신종 큰개구리발톱으로 발표되었다. 개구리발톱 Semiaquilegia adoxoides (DC.) Makino 큰개구리발톱 Semiaquilegia quelpaertensis D.C.Son & K.H.Lee 지하경이 1.5cm로 짧다 지하경이 3-5cm로 길다 잎 열편이 심열(깊게 갈라짐) 잎 열편이 천열(얕게 갈라짐) 꽃 크기 4-6.5mm 수술 8-14개 꽃이 8-10mm로 상대적으로 크다 수술이 16-22개 종자 표면의 주름이 약하다 종자 표면의 주름이 개구리발톱에 비해 현저히 나타난다 혹시나 싶어서 다시 살펴 보았.. 2022. 12. 16.
섬기린초(돌나물과 기린초속) Phedimus takesimensis (Nakai) 't Hart 2022. 6. 14~15. 울릉도. 섬골짜기나 해안 도로변 산사면 바위지대에는 섬기린초가 아주 흔하게 자라고 있다.  섬기린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2455   https://qweenbee.tistory.com/8893953https://qweenbee.tistory.com/8902933    https://qweenbee.tistory.com/8909849섬기린초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7204  https://qweenbee.tistory.com/8908173            https://qweenbee.tistory.com/8908345    태백기린초 :https://qweenbee.tistory.com/8.. 2022. 12. 15.
섬벚나무(장미과 벚나무속) 열매 Prunus takesimensis Nakai 2022. 6. 15. 울릉도. 산벚나무에 비하여 꽃이 더 작고 많이 달리며 작은꽃자루 길이도 짧고 열매는 더 크다. 꽃은 산형꽃차례에 4~5개 씩 잎이 나오면서 함께 핀다. 열매는 크고 열매자루가 짧다. 제주왕벚나무 Prunus × nudiflora : https://qweenbee.tistory.com/8900865 https://qweenbee.tistory.com/8902170 제주왕벚나무 동아 : https://qweenbee.tistory.com/8910049 일본산 왕벚나무 Prunus × yedoensis : https://qweenbee.tistory.com/8902253 https://qweenbee.tistory.com/8903718 https://qweenbee.tistory.com.. 2022. 12. 15.
섬나무딸기(장미과 산딸기속) 열매 Rubus takesimensis Nakai 2022. 6. 13. 울릉도. 산딸기와 유사하지만 줄기와 가지, 잎에 가시나 털이 없는 점이 특징인 울릉도 고유종이다. 익은 딸기 열매를 몇 줌이나 따서 야미야미 산딸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2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1 https://qweenbee.tistory.com/8888114 https://qweenbee.tistory.com/8887732 https://qweenbee.tistory.com/8887246 https://qweenbee.tistory.com/8889901 https://qweenbee.tistory.com/8905826 산딸기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 2022. 12. 15.
섬쥐똥나무(물푸레나무과 쥐똥나무속) Ligustrum foliosum Nakai 2022. 6. 13. 울릉도. 울릉도 고유종이다. 잎이 쥐똥나무에 비하여 조금 더 크고 잎 끝이 뾰족하다. 원추꽃차례로 달리고 화관 통부는 좀 짧다. 광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2159 http://blog.daum.net/qweenbee/8902721 https://blog.daum.net/qweenbee/8907917 광나무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7187 http://blog.daum.net/qweenbee/8894979 http://blog.daum.net/qweenbee/8896923 http://blog.daum.net/qweenbee/8898664 http://blog.daum.net/qweenbee.. 2022. 12. 14.
말오줌나무(인동과 딱총나무속) 열매 Sambucus racemosa L. subsp. pendula (Nakai) H.I.Lim & Chin S.Chang 2022. 6. 23. 울릉도. 붉은 열매가 아래로 주렁주렁 늘어져 달리는 울릉도 특산식물이다 말오줌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7520 https://qweenbee.tistory.com/8902226 https://qweenbee.tistory.com/8903723 https://qweenbee.tistory.com/8908767 https://qweenbee.tistory.com/8910982 https://qweenbee.tistory.com/8910982 말오줌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0185 https://qweenbee.tistory.com/8892918 https://qweenbee.tistory.com.. 2022. 12. 14.
섬남성(천남성과 천남성속) Arisaema takesimense Nakai 2022. 4. 23. 울릉도.  울릉도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이 종은 줄기에 얼룩무늬가 있고 잎의 작은잎 수가 5~19개인 점에서 점백이천남성과 비슷하지만 작은잎 표면에 흰 무늬가 잘 발달하고, 화수 부속체가 곤봉 모양인 점에서 구별한다. 개체에 따라 잎 표면에 무늬가 없는 경우도 있다.   2022. 6. 15. 울릉도. 둥근잎천남성 : https://qweenbee.tistory.com/8889831  https://qweenbee.tistory.com/8893527https://qweenbee.tistory.com/8895536   https://qweenbee.tistory.com/8897388https://qweenbee.tistory.com/8901960   https://qweenb.. 2022. 12. 2.
윤판나물아재비(애기나리과 애기나리속) Disporum sessile (Thunb.) D.Don ex Schult. & Schult.f. 2022. 4. 23. 울릉도. 4월 하순인데 마악 개화를 시작하고 있다. 울릉도 성인봉 숲과 나리분지 숲 바닥을 가득 채우고 있는 초본류 중 하나로 발길에 채일 정도로 흔하다. 윤판나물과 비슷하지만 화피가 푸른빛을 띠는 흰색이고 끝이 뾰족한점에서 차이가 있다. 윤판나물은 전국적으로 분포하지만 이 녀석은 제주도, 울릉도, 가거도에만 분포한다. 꽃은 5~6월에 가지 끝에서 1~3개씩 달리며, 밑으로 처지고, 녹색을 띠는 흰색이다. 애기나리 : http://blog.daum.net/qweenbee/8891709 http://blog.daum.net/qweenbee/8887844 http://blog.daum.net/qweenbee/8890227 http://blog.daum.net/qweenbee/89006.. 2022. 1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