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식물/몽골 식물435 몽골식물 -금매화속 Trollius asiaticus L. 2023. 6. 28. 흡수굴. 다들 금매화라 부르기에 그냥 금매화 종류겠거니 했는데벡두산에서 만나는 금매화속 녀석은 아니었다.동부 카자흐스탄에서 시베리아와 중국 북부까지 분포하는 Trollius asiaticus 이다. 애기금매화 : https://qweenbee.tistory.com/8904224(백두)애기금매화(대설산)https://qweenbee.tistory.com/8910733 https://qweenbee.tistory.com/8911624 금매화속(데설산): https://qweenbee.tistory.com/8911625 https://qweenbee.tistory.com/8910786 금매화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42 큰금매화 : .. 2024. 2. 20. 몽골식물 - 북극송이풀 (현삼과 송이풀속) Pedicularis oederi Vahl 2023. 6. 28. 흡수굴. 다년생 식물이며 주로 아고산 또는 아북극 생물 군계에서 넓게 분포한다.최혁재 교수의 몽골도감 p540에서 학명을 찾았다.김찬수박사는 알타이식물 탐사기에서 이 녀석을 "북극송이풀"이라 명명하였다. 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9 https://qweenbee.tistory.com/8898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3188 https://qweenbee.tistory.com/8896828 https://qweenbee.tistory.com/8906008 https://qweenbee.tistory.com/8908501 송이풀 새싹 : .. 2024. 2. 20. 몽골식물 - 꿩의다리속 Thalictrum foetidum L. 2023. 6. 30. 몽골. 흡수굴을 철수하고 울란바토르로 돌아오던 첫 날 바위 숲을 탐사하던 중에 만났던 꿩의다리속 녀석이다.2022년 테를지국립공원을 탐사하던 중에 만났던 녀석과 같은 녀석으로 보인다. 2023. 7. 2. 몽골. 울란바토르로 돌아오던 중 바위산 정상부에서 만났던 꿩의다리속 녀석도 위의 녀석과 같은 녀석이다. 꿩의다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32 https://qweenbee.tistory.com/8886082https://qweenbee.tistory.com/8896031 https://qweenbee.tistory.com/8904774 https://qweenbee.tistory.com/8907612꿩의다리 열매 : ht.. 2024. 2. 20. 몽골식물 - 꿩의다리속 Thalictrum alpinum L. 2023. 6. 28. 흡수굴, 수변 초지에서 소엽이 동글동글하고 키가 작은 꿩의다리속 녀석을 만났다.백두산 주변에서도 본 적이 없는 녀석이라 찾아낸 학명은 Thalictrum alpinum 으로원산지는 아북극 및 아고산 북반구이다. 다년생 식물이며 주로 아고산 또는 아북극 생물 군계에서 널리 분포하는 녀석이다. 꿩의다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32 https://qweenbee.tistory.com/8886082https://qweenbee.tistory.com/8896031 https://qweenbee.tistory.com/8904774 https://qweenbee.tistory.com/8907612꿩의다리 열매 : https://qweenbe.. 2024. 2. 20. 몽골식물 - 북극담자리꽃나무(장미과 담자리꽃나무속) Dryas oxyodonta Juz. 2023. 6. 28. 흡수굴. 다들 백두산에서 본 담자리꽃나무가 있다고 우르르 몰려갔다, 서로 몰릴 때에는 뒤늦게 가는 게 좋겠다 싶어서 다른 녀석들을 찾아서 촬영하다가 늦게서야 가니 두어 무더기 풍성하게 피어 있다.아무래도 백두산 것 하고 다른 녀석일 거라 생각하고 몽골도감을 확인해 보니 역시나 다른 녀석이었다.백두산의 담자리꽃나무는 Dryas octopetala L. var. asiatica (Nakai) Nakai 인데, 이 녀석은 Dryas oxyodonta 이다.헌데 2003년에 출판된 (2003)에 에 '북극담자리꽃나무'로 이미 국명이 명명되어 출판되어 있다. Dryas oxyodonta 의 분포지는 중앙 아시아에서 시베리아와 몽골까지이다. 담자리꽃나무 : https://qweenbee.. 2024. 2. 20. 몽골식물 - 털복주머니란 2023. 6. 28. 흡수굴. 호수변 뒷산을 탐사하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이 털복주머니란 때문이란다. 국내에서는 보기 쉽지 않은 귀한 녀석이긴 하지만 내게는 그저 몽골의 많은 식물종 중의 한 녀석일 쁜. 그래도 이쁘긴 이쁘다. 2024. 2. 19. 몽골식물 - 질경이과 라고티스속 Lagotis integrifolia (Willd.) Schischk. 2023. 6. 28. 흡수굴. 우란바토르를 출발한지 사흘만에 흡수굴에 도착하여 게르에서 숙박하며 휴식을 취한 후, 흡수굴 탐사를 위하여 이른 시간 부터 준비한 아침식사를 마치고 출발. 첫 탐사지 풀밭에서 만난 녀석이다.몽골식물도감에 실려 있어서 질경이과 Lagotis integrifolia(553p) 으로 쉽게 찾았다. 원산지는 중앙 아시아에서 시베리아와 중국 북부까지이다. 주로 아고산 또는 아북극 생물 군계에서 자란다. 질경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89107 https://qweenbee.tistory.com/8895748 https://qweenbee.tistory.com/8898731 https://.. 2024. 2. 16. 몽골식물 - 삼(대마) 삼과 삼속 Cannabis sativa L. 2023. 6. 26. 흡수굴 가는 길 둘 째 날. 삼은 삼베를 짜는 원료인 대마와 같은 식물이다. 안동의 길안 지역에서 옛날부터 생산하는 삼 껍질을 가늘게 꼬아서 만들 삼베 안동포 생산하고 있다. 워낙 손이 많이 가는 안동포를 생산하는 후계자도 없거니와 저렴한 가격의 중국 수입 삼베에 밀려서 안동포 생산이 거의 없다시피 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래도 주변에 삼을 재배하는 걸 더러 보곤 하는데, 아마 안동포의 명맥을 잇는다기 보다 대마씨유를 생산하기 위한 것이 아닐까 싶다. 대마를 수확할 때는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공무원 입회 하에 수확을 하고 뒷처리를 한다. 대마초는 삼을 가공해서 만드는 '마약류'의 일종이다. 그러니 삼을 누구나 함부로 재배해서는 불법이 되는 것이다. 몽골에는 야생의 삼(대.. 2024. 2. 16. 몽골식물 - 황기속 Astragalus melilotoides var. tenuis (Turcz.) Ledeb. 2023 6. 26. 흡수굴 가는 길. 생김새 때문에 비수리 가족으로 착각을 했더랬다.선형의 잎과 실처럼 가는 화서와 쌀알 처럼 작은 꽃이 황기속이라고는 짐작도 못하였다. 몽골에서 만난 비슷한 녀석으로 Astragalus melilotoides 가 있었는데 그 보다 더 가는 선형의 잎을 가진 변종 Astragalus melilotoides var. tenuis 으로 확인이 되었다. 큐에서는 Astragalus tenuis의 동의어로 정리하고 있다.원산지는 SE. 시베리아에서 북중국 까지이다. 중국식물지에서는 잎이 가는 종을 Astragalus satoi 로 정리하고 있다. 황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88878 https://qweenbee.tistory... 2024. 2. 15. 몽골식물 - 황기속 Astragalus melilotoides Pall. 2023. 6. 26. 흡수굴로 가는 길 둘째날. 두번 째와 세 번 째로 만난 녀석은 옆신이 조금 더 넓은 황기속으로 Astragalus melilotoides Pall.로 확인이 되었다.잎은 3~5개의 소엽으로 이루어진 깃꼴. 펌한 자료이다 출처 : 황기 melilotoides Pall. (zhiwutong.com) 세밀화 출처 삽화: 황기 melilotoides 세 번째 촬영한 황기속 황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88878 https://qweenbee.tistory.com/8886766https://qweenbee.tistory.com/8892074 https://qweenbee.tistory.com/8892666https://qweenbe.. 2024. 2. 15. 몽골식물 - 명아주속 Chenopodium frutescens C.A.Mey. 2023. 6. 27. 흡수굴로 가는 길, 사흘 째 날. 잎이 동글동글한 명아주과 어린 개체, 그냥 둥근잎명아주려니 하고 촬영했는데 제대로 들여다 보니 다른 녀석이다. 둘 째 날 도로변 초지에서 만난 둥근잎명아주는 전초에 털이 안 보이고 원줄기가 자라서 위쪽에서 가지가 생기는데. 이 녀석은 뿌리 위쪽에서 가지가 많이 발생하고 옆으로 기는 듯 가지가 비스듬하게 누워 있다. 잎 양면과 전초에 뭉친 인모가 밀생하고 있어서 인모가 발달하지 않는 둥근잎명아주와 같은 녀석으로 보기에는 의심스럽다. 명아주속 이미지를 검색헤 봐도 딱 맞아들어가는 게 없는 듯, 그 중 Chenopodium vulvaria 가 비슷하긴 하지만 다른 녀석이다. 꽃동무가 추천한 학명의 이미지가 거의 흡사해 보인다. 아마도 맞는 것 같다.원.. 2024. 2. 15. 몽골식물 - 둥근잎명아주(명아주과 명아주속) Chenopodium acuminatum Willd. 2023. 6. 26. 흡수굴로 가는 길 둘째 날. 초지에서 만나 명아주속 녀석이다.검색되는 이미지의 둥근잎명아주는 몽골, 동유럽, 중부 러시아, 일본 한국, 필리핀까지 분포하고 있다.우리 나라에서는 이 녀석을 본 적이 없는데 .......왼쪽 녀석은 다른 종이다 갯는쟁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6130갯는쟁이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00306 https://qweenbee.tistory.com/8906269갯는쟁이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895808 가는갯는쟁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6907 https://qweenbee.tisto.. 2024. 2. 15. 이전 1 2 3 4 5 6 7 8 ··· 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