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별식물/몽골 식물416

몽골식물 - 장백제비꽃 Viola biflora L. 2023. 6. 28. 흡수굴 숲바닥에 둥근 잎에 노란 꽃을 피운 제비꽃을 발견하고 다들 반가워했다. 장백제비로 보인다고 했더니 역시 장백이다. 2024. 2. 23.
몽골식물 - 부추속 Allium schoenoprasum 2023. 6. 28. 흡수굴. 야생으로 자라는 부추속으로 야생파 차이브라고들 부른다. 산마늘 : https://qweenbee.tistory.com/8890331 https://qweenbee.tistory.com/8895943 산마늘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8344 울릉산마늘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44 https://qweenbee.tistory.com/8899305 https://qweenbee.tistory.com/8907955 울릉산마늘 싹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29 https://qweenbee.tistory.com/8897258 https://qweenbee.t.. 2024. 2. 23.
몽골식물 - 미나리아재비속 Ranunculus monophyllus 2023. 6. 28. 흡수굴. 매우 좁고 가는 잎을 가진 미나리아재비속 녀석이다 해외 표본 자료 펌. 근생엽의 모습은 신장형으로 둥글다 해외 자료 Y bc060f6c - 라넌큘러스 모노필루스 - Wikispecies (wikimedia.org) 2024. 2. 23.
몽골식물 - 가는용머리(꿀풀과 용머리속) Dracocephalum fragile Turce. 2023. 6. 28. 흡수굴. 하루 전 흡수굴로 오던 길에 마른 하천 자갈밭에서 만났던 가는용머리 녀석을 또 그런 물 없는 하천 환경 자갈밭에서 또 만났다. 몽골도감에서 찾은 Dracocephalum fragile Turce.(467p)이다. 김찬수박사는 알타이식물 식물 탐사기(158p)에서 가는용머리라 명명하였다. 원산지는 시베리아에서 몽골까지로 다년생이다. 흰벌깨덩굴 : https://qweenbee.tistory.com/8891915 벌깨덩굴 : https://qweenbee.tistory.com/8887875 https://qweenbee.tistory.com/8899352 https://qweenbee.tistory.com/8895948 https://qweenbee.tistory.com/89.. 2024. 2. 20.
몽골식물 -금매화속 Trollius asiaticus L. 2023. 6. 28. 흡수굴. 다들 금매화라 부르기에 그냥 금매화 종류겠거니 했는데 벡두산에서 만나는 금매화속 녀석은 아니었다. 동부 카자흐스탄에서 시베리아와 중국 북부까지 분포하는 Trollius asiaticus 이다. 2024. 2. 20.
몽골식물 - 송이풀속 Pedicularis oederi Vahl 2023. 6. 28. 흡수굴. 다년생 식물이며 주로 아고산 또는 아북극 생물 군계에서 넓게 분포한다. 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9 https://qweenbee.tistory.com/8898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3188 https://qweenbee.tistory.com/8896828 https://qweenbee.tistory.com/8906008 https://qweenbee.tistory.com/8908501 송이풀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899147 큰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4215 큰송이풀 열매 : https://qwee.. 2024. 2. 20.
몽골식물 - 꿩의다리속 Thalictrum foetidum L. 2023. 6. 30. 몽골. 흡수굴을 철수하고 울란바토르로 돌아오던 첫 날 바위 숲을 탐사하던 중에 만났던 꿩의다리속 녀석이다. 2022년 테를지국립공원을 탐사하던 중에 만났던 녀석과 같은 녀석으로 보인다. 2023. 7. 2. 몽골. 울란바토르로 돌아오던 중 바위산 정상부에서 만났던 꿩의다리속 녀석도 위의 녀석과 같은 녀석이다. 꿩의다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32 https://qweenbee.tistory.com/8886082 https://qweenbee.tistory.com/8896031 https://qweenbee.tistory.com/8904774 https://qweenbee.tistory.com/8907612 꿩의다리 열매 : https://q.. 2024. 2. 20.
몽골식물 - 꿩의다리속 Thalictrum alpinum L. 2023. 6. 28. 흡수굴, 수변 초지에서 소엽이 동글동글하고 키가 작은 꿩의다리속 녀석을 만났다. 백두산 주변에서도 본 적이 없는 녀석이라 찾아낸 학명은 Thalictrum alpinum 으로 원산지는 아북극 및 아고산 북반구이다. 다년생 식물이며 주로 아고산 또는 아북극 생물 군계에서 널리 분포하는 녀석이다. 꿩의다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32 https://qweenbee.tistory.com/8886082 https://qweenbee.tistory.com/8896031 https://qweenbee.tistory.com/8904774 https://qweenbee.tistory.com/8907612 꿩의다리 열매 : https://qweenbee.t.. 2024. 2. 20.
몽골식물 - 담자리꽃나무속 Dryas oxyodonta Juz. 2023. 6. 28. 흡수굴. 백두산에서 만났던 담자리꽃나무와 같은 녀석일 거라 생각을 했었는데, 몽골도감을 확인하니 학명이 다른 녀석이었다. 백두산의 담자리꽃나무는 Dryas octopetala L. var. asiatica (Nakai) Nakai 인데, 이 녀석은 Dryas oxyodonta 이다. Dryas oxyodonta 의 분포지는 중앙 아시아에서 시베리아와 몽골까지이다. 담자리꽃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904715 담자리꽃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0581 담자리꽃나무속(몽골) : https://qweenbee.tistory.com/8910821 2024. 2. 20.
몽골식물 - 털복주머니란 2023. 6. 28. 흡수굴. 호수변 뒷산을 탐사하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이 털복주머니란 때문이란다. 국내에서는 보기 쉽지 않은 귀한 녀석이긴 하지만 내게는 그저 몽골의 많은 식물종 중의 한 녀석일 쁜. 그래도 이쁘긴 이쁘다. 2024. 2. 19.
몽골식물 - 질경이과 라고티스속 Lagotis integrifolia (Willd.) Schischk. 2023. 6. 28. 흡수굴. 우란바토르를 출발한지 사흘만에 흡수굴에 도착하여 게르에서 숙박하며 휴식을 취한 후, 흡수굴 탐사를 위하여 이른 시간 부터 준비한 아침식사를 마치고 출발. 첫 탐사지 풀밭에서 만난 녀석이다. 몽골식물도감에 실려 있어서 질경이과 Lagotis integrifolia(553p) 으로 쉽게 찾았다. 원산지는 중앙 아시아에서 시베리아와 중국 북부까지이다. 주로 아고산 또는 아북극 생물 군계에서 자란다. 2024. 2. 16.
몽골식물 - 삼(대마) 삼과 삼속 Cannabis sativa L. 2023. 6. 26. 흡수굴 가는 길 둘 째 날. 삼은 삼베를 짜는 원료인 대마와 같은 식물이다. 안동의 길안 지역에서 옛날부터 생산하는 삼 껍질을 가늘게 꼬아서 만들 삼베 안동포 생산하고 있다. 워낙 손이 많이 가는 안동포를 생산하는 후계자도 없거니와 저렴한 가격의 중국 수입 삼베에 밀려서 안동포 생산이 거의 없다시피 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래도 주변에 삼을 재배하는 걸 더러 보곤 하는데, 아마 안동포의 명맥을 잇는다기 보다 대마씨유를 생산하기 위한 것이 아닐까 싶다. 대마를 수확할 때는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공무원 입회 하에 수확을 하고 뒷처리를 한다. 대마초는 삼을 가공해서 만드는 '마약류'의 일종이다. 그러니 삼을 누구나 함부로 재배해서는 불법이 되는 것이다. 몽골에는 야생의 삼(대.. 2024. 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