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748

털사철란(난과 사철란속) Goodyera velutina Maxim. ex Regel 2025. 9. 16. 제주. 네 녀석 만난지도 10년이 더 넘은 것 같다. 사철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40 https://qweenbee.tistory.com/8890674https://qweenbee.tistory.com/8899809 https://qweenbee.tistory.com/8897018https://qweenbee.tistory.com/8898153 https://qweenbee.tistory.com/8911295사철란 새싹 : 섬사철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72 https://qweenbee.tistory.com/8888939https://qweenbee.tistory.co.. 2025. 9. 26.
잔디바랭이(벼과 잔디바랭이속) Dimeria ornithopoda Trin. 2025. 9. 22. 신안. 계속 관찰하는 녀석 때문에 다시 남도로 내려갔다. 이번에는 출장이다.연구원을 기다리면서 혼자서 해안 습원을 뒤졌다. 지난 번 제주도에서 만났던 녀석과 비슷한 아주 가늘고 여린 화총을 가진 녀석을 붙잡고 씨름을 했다.정체를 밝히려고 뜯어온 표본을 살피다가 이 녀석이 바로 잔디바랭이라는 걸 알아채었다.드뎌 잔디바랭이를 영접하였다. 기분 대낄이다. 제주 녀석도 갯바랭이가 아니라 잔디바랭이일 가능성이 많다.잔디바랭이 : Dimeria ornithopoda Trin.습지와 산록의 습기가 많은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가늘고 가지를 친다. 높이는 15~35cm이며 2~15개의 마디가 있다. 잎집에는 털이 있고, 잎혀는 흰색 막질로 길이 0.5~1.0mm이다. .. 2025. 9. 26.
너도고랭이(사초과 너도고랭이속) Scleria parvula Steud. 2025. 9. 22. 남도. 여름 이후가 되어야 개화하여 만날 수 있는 사초과 녀석.남쪽 해안 습지에서 만난다. 풀들과 어루러져서 자세히 찾아야 눈에 들어오는 녀석벌써 열매가 구슬처럼 익고 있다. 덕산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8 https://qweenbee.tistory.com/8911481덕산풀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11495 https://qweenbee.tistory.com/8912432 https://qweenbee.tistory.com/8912431 덕산풀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11503 가시개올미 : https://qweenbe.. 2025. 9. 26.
너도방동사니(사초과 방동사니속) Cyperus serotinus Rottb. 2025. 8. 31. 강원도. 방동사니 : https://qweenbee.tistory.com/8912463 푸른방동사니 : https://qweenbee.tistory.com/8896688 https://qweenbee.tistory.com/8904388 https://qweenbee.tistory.com/8905934 https://qweenbee.tistory.com/8909318 https://qweenbee.tistory.com/8909630 흰(서울)방동사니 : https://qweenbee.tistory.com/8909319 https://qweenbee.tistory.com/8911401 알방동사니 : https.. 2025. 9. 24.
큰끈끈이여뀌(마다풀과 여뀌속) Persicaria viscofera (Makino) H.Gross var. robusta (Makino) Hiyama 2025. 8. 20. 경북. 올봄 의성에서 일어난 산불로 경북 북부지역 안동, 영양, 청송, 영덕의 산지가 초토화 되었다.이 곳 역시 산불이 지나갔는데 검게 탄 나무 아래 큰끈끈이여뀌가 완전 점령하였다. 쪽 :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6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7 https://qweenbee.tistory.com/8907771 흰여뀌(명아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4324 https://qweenbee.tistory.com/8888847https://qweenbee.tistory.com/8886859 https://qweenbee.tistory... 2025. 9. 24.
여뀌(마디풀과 여뀌속) Persicaria hydropiper (L.) Delarbre 2025. 8. 31. 강원도. 석호 습지를 가득 채우고 있는 녀석들 중에 여뀌도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바보여뀌에 비하여 전초와 잎집에 털이 없고 씹으면 매운 맛이 나며 잎이 더 좁다 쪽 :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6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7 https://qweenbee.tistory.com/8907771 흰여뀌(명아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4324 https://qweenbee.tistory.com/8888847https://qweenbee.tistory.com/8886859 https://qweenbee.tistory.com/8888851.. 2025. 9. 24.
미국외풀(현삼과 밭둑외풀속) Lindernia dubia (L.) Pennell 2025. 8. 31. 강원도. 9. 10. 강원도. 외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15 https://qweenbee.tistory.com/8901605 논둑외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17 https://qweenbee.tistory.com/8894441 https://qweenbee.tistory.com/8901475 https://qweenbee.tistory.com/8906109 https://qweenbee.tistory.com/8911346 논둑외풀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0013 밭둑외풀 :.. 2025. 9. 24.
들통발(통발과 통발속) Utricularia aurea Lour. 2025. 9. 10. 강원도. 끈끈이귀개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69 https://qweenbee.tistory.com/8893721https://qweenbee.tistory.com/8894108 https://qweenbee.tistory.com/8900924https://qweenbee.tistory.com/8905416 https://qweenbee.tistory.com/8905417 https://qweenbee.tistory.com/8908847 https://qweenbee.tistory.com/8910367 https://qweenbee.tistory.com/8910461 끈끈이주걱 : https://qweenbee.. 2025. 9. 24.
이삭귀개(통발과 땅귀개속) Utricularia caerulea L. 2025. 9. 7. 남도. 해안 습지 여기 저기 작은 풀들 사이에서 얼굴을 내민다.땅귀개도 함께 있긴 했지만 거의 져버리고 산만하게 몇 개 꽃을 피우고 있었다. 끈끈이귀개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69 https://qweenbee.tistory.com/8893721https://qweenbee.tistory.com/8894108 https://qweenbee.tistory.com/8900924https://qweenbee.tistory.com/8905416 https://qweenbee.tistory.com/8905417 https://qweenbee.tistory.com/8908847 https://qweenbee.tistory.com/89.. 2025. 9. 24.
가시개올미(사초과 너도고랭이속) 열매 Scleria rugosa R.Br. 2025. 9. 7. 건너 섬에는 가시개올미가 더 지천이었는데 여긴 덕산풀에 드문드문 섞여 있다잎과 줄기 포에 뻣뻣한 털이 가시처럼 많다. 늦게 피고 있는 꽃 덕산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8 https://qweenbee.tistory.com/8911481덕산풀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11495 https://qweenbee.tistory.com/8912432 https://qweenbee.tistory.com/8912431 덕산풀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11503 가시개올미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5.. 2025. 9. 24.
구실개올미(사초과 너도고랭이속) 열매 Scleria levis Retz. 2025. 9. 7. 신안. 몇 번 만났을 터인데 무심히 지나쳐 버렸던 탓에 작년애서야 녀석을 마주하게 되었다.잎과 줄기가 억세고 뭉터기를 이루어 자라며 잎을 손으로 쓸다가는 베이기 십상이다. 덕산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8 https://qweenbee.tistory.com/8911481덕산풀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11495 https://qweenbee.tistory.com/8912432 https://qweenbee.tistory.com/8912431 덕산풀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11503 가시개올미 : https://qweenbee.. 2025. 9. 24.
구실개올미(사초과 너도고랭이속) Scleria levis Retz. 2025. 9. 7. 신ㅇ안. 열흘 정도 일찍 왔더라면 꽃을 볼 수 있었겠는데겨우 늦등이 하나 붙잡고 씨름을 했다. 덕산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8 https://qweenbee.tistory.com/8911481덕산풀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11495 https://qweenbee.tistory.com/8912432 https://qweenbee.tistory.com/8912431 덕산풀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11503 가시개올미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5 https://qweenbee.tist.. 2025. 9. 24.
덕산풀(사초과 너도고랭이속) 열매 Scleria rugosa R.Br. var. onoei (Franch. & Sav.) Yonek. 2025. 9. 7. 신안. 여긴 가시개올미가 오히려 보기 힘들고 대부분 탈이 없는는 변종 덕산풀이다. 덕산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8 https://qweenbee.tistory.com/8911481덕산풀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11495 https://qweenbee.tistory.com/8912432 https://qweenbee.tistory.com/8912431 덕산풀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11503 가시개올미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5 https://qweenbee.tistory.com.. 2025. 9. 24.
덕산풀(사초과 너도고랭이속) Scleria rugosa R.Br. var. onoei (Franch. & Sav.) Yonek. 2025. 9. 7. 신안. 해안 산지 습원 바닥에 덕산풀이 가득하다. 축구장 잔디밭 수준이다. 이 녀석은 가시개올미의 변종이다.가시개올미는 전초에 털이 많은데 이 녀석은 털이 없다. 가시개올미 Scleria rugosa R.Br.덕산풀 Scleria rugosa R.Br. var. onoei (Franch. & Sav.) Yonek. 덕산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8 https://qweenbee.tistory.com/8911481덕산풀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11495 https://qweenbee.tistory.com/8912432 https://qweenbee.tistory.com/.. 2025. 9. 24.
한라천마(난초과 천마속) Gastrodia pubilabiata Y.Sawa 2025. 9. 15. 제주. 참말로 오랜만이다. 아그야~!!다 열매가 되어버리고 겨우 남은 두 송이 그래도 고맙다.어느 오름에는 만보를 더 걸어야 한다는 곳에 녀석이 있다던데길도 멀고 정확한 자리도 모르니 이 것으로 감지덕지해야 겠다. 하늘은 잔뜩 흐린게 먹구름이 덮고 있는 폼이 수상쩍다.어두운 숲에 어두운 녀석을 담으려니 얼굴을 제대로 담기지 않는다.결국 숲을 이룬 삼나무 잎에 빗방울 뜯는 소리에 부리나케 돌아서야 했다. 잎이 없는 부생란이다. 꽃은 녹갈색이고 종모양이며 길이 11㎜, 2~5송이가 줄기 끝에 피고, 입술모양꽃부리는 황백색이며, 1개의 주름진 돌기가 있고, 밑동에 1개의 네모진 기둥 모양의 돌기가 있다. 어린 열매다. 결실이 될 때 쯤이면 키가 엄청 자라서 무릎높이 를 넘는다고 한.. 2025. 9.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