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256

등포풀(현삼과 등포풀속) Limosella aquatica L. 2025. 5. 1. 오래 전에 만나던 등포풀은 졔초제 살포와 논을 밭으로 바꾸는 바람에 거의 사라져서 만날 수 없어졌다.부산의 저수지 가장자리에 자생하고 있다는 소식을 접하지만 찾아가기에는 먼 길에다 물에 잡기면 소용 없는 일이라... 몽골 식물 탐사 때 이 녀석을 만나긴 했지만 국내에서 이 녀석 만나본지는 10년도 전의 일이 되었다. 녀석이 있다는 소식에 꽃동무와 함께 찾아 다녔지만 쉽게 눈에 띄지 않았다.한참만에 찾아 내긴 했지만 이 녀석은 손가락 한 마디 정도의 크기에 먼지 같은 꽃과 열매를 달고 있으니그냥 논바닥을 밟고 다녀도 찾지 못할 일이다. 오래 전에 보았던 기억 속의 녀석보다도 크기가 너무 작았다. 이미 열매가 달려 있었고 늦게 꽃을 드문드문 달고 있는 녀석들이 많았다. 작은 개미가 .. 2025. 5. 2.
돌갈매나무 (갈매나무과 갈매나무속) Rhamnus parvifolia Bunge 2025. 4. 22. 강원도 동해. 참나무속 조사 때문에 동해의 석회암 지역을 탐사하였다.이 녀석도 석회암지대에 비교적 많이 자란다.잎은 광타원형, 도란형, 아원형으로 측맥은 2~4쌍짝자래나무와 비슷하지만 잎이 보통 마주나기로 더 작고 두껍다 암수딴그루인 식물들은 거의 수그루가 흔하고 암그루는 많지 않다. 참갈매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87905 https://qweenbee.tistory.com/8897784https://qweenbee.tistory.com/8899553 https://qweenbee.tistory.com/8904787참갈매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9178 https://qweenbe.. 2025. 5. 2.
갯버들(버드나무과 버드나무속) 열매 Salix gracilistyla Miq. 2025. 4. 28. 경북. 산지 계곡에서 흔하게 만날 수 있지만 소백산과 같은 고도가 높은산 사면에서도 본 적이 있다.버드나무 중에서 가장 일찍 꽃을 피우는데 꽃 이삭도 크지만 열매 이삭이 엄청 큰 녀석이다. 버드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7696 https://qweenbee.tistory.com/8891512https://qweenbee.tistory.com/8893331 https://qweenbee.tistory.com/8895375https://qweenbee.tistory.com/8895376 https://qweenbee.tistory.com/8897268https://qweenbee.tistory.com/8897312 .. 2025. 5. 2.
뚝새풀(벼과 뚝새풀속) Alopecurus aequalis Sobol. 2025. 4. 25. 경북. 봉화현호색 열매를 확인하러 갔는데 열매가 성숙하지도 않았는데 전초가 마르는 느낌이다.작은 개체들은 열매를 달지도 못하고 그대로 사그러지는 모습이다. 봉화현호색은 종자가 제대로 결실하는 모습을 보기 어렵다고,투덜걸거리며 돌아서다가 논둑에서 뚝새풀과 노닥거렸다. 뚝새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0421 https://qweenbee.tistory.com/8907023 https://qweenbee.tistory.com/8907198 https://qweenbee.tistory.com/8911949 큰뚝새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054 https://qweenbee.tis.. 2025. 5. 2.
털뚝새풀(벼과 뚝새풀속) Alopecurus japonicus Steud. 2025. 4. 30. 경남. 토평천 식물상을 조사하는 중에 마을의 늪 주변에서 만났다.남쪽이라 털뚝새풀이 있을 듯 샆었는데 결국 한 곳에서 찾았다. 우리나라 경기도, 경상남도, 전라남도, 제주도 등에 나며,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국내에 분포하는 뚝새풀속 식물 중 뚝새풀은 작은이삭이 작고 까락이 짧다. 이에 비해 작은이삭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고, 긴 까락을 가진 털뚝새풀, 쥐꼬리뚝새풀, 큰뚝새풀이 있다.이 중에서 털뚝새풀은 포영은 거의 떨어져 있으므로 구별된다. 뚝새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0421 https://qweenbee.tistory.com/8907023 https://qweenbee.tistory.com/8907198 .. 2025. 5. 1.
황새냉이(배추과 황새냉이속) 새싹 Cardamine flexuosa With. 2025. 4. 25. 강원도. 깃꼴 잎의 정열편이 유난히 큰 모습을 한다. 황새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900827 https://qweenbee.tistory.com/8908081 https://qweenbee.tistory.com/8910376황새냉이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10081 https://qweenbee.tistory.com/8911947 큰황새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0108 https://qweenbee.tistory.com/8902433https://qweenbee.tistory.com/8903858 https://q.. 2025. 5. 1.
는쟁이냉이(배추과 황새냉이속) Cardamine komarovii Nakai 2025. 4. 27. 충북. 이맘 때 쯤 찾는 계곡에는 는쟁이냉이도 개화 중이다. 황새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900827 https://qweenbee.tistory.com/8908081 https://qweenbee.tistory.com/8910376황새냉이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10081 https://qweenbee.tistory.com/8911947 큰황새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0108 https://qweenbee.tistory.com/8902433https://qweenbee.tistory.com/8903858 h.. 2025. 5. 1.
꽃황새냉이 새싹 Cardamine amariformis Nakai 2025. 4. 28. 경북. 골 깊은 계곡 한쪽 그른늘 곳에 꽃황새냉이가 산다.올해 이 녀석을 찾아야 할 일이 있어서 가 봤더니 이제사 어린 잎 몇 장 내밀어 놓고 벌써 왔냐고 타박이다. 황새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900827 https://qweenbee.tistory.com/8908081 https://qweenbee.tistory.com/8910376황새냉이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10081 큰황새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0108 https://qweenbee.tistory.com/8902433https://qweenbee... 2025. 5. 1.
몽고뽕나무(뽕나무과 뽕나무속) 수꽃 Morus mongolica (Bureau) C. K. Schneid 2025. 4. 22. 강원도. 참나무속 조사 때문에 동해의 석회암지대를 돌아댕겼다. 석회암 채취 때문에 패여나간 산허리를 보는 마음이 편하지가 않다. 석회암지대에서 나타나는 식생들이 많이 보이는데 그 중에서도 이 녀석도 꽃을 피우고 있었다. 잎의 톱니가 유난히 날카롭고 잎꼬리가 길게 빠져 있다.석회암 지역에서 흔하게 만난다.열매는 매우 작지만 당도가 아주 뛰어나서 이 녀석 열매 익은 걸 만나면 꽃 따서 먹곤하였다. 돌뽕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640 https://qweenbee.tistory.com/8893641돌뽕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1943 https://qweenbee.tistory.c.. 2025. 5. 1.
녹빛사초(사초과 사초속) Carex quadriflora (Kük.) Ohwi 2025. 4. 28. 경북. 녹빛사초란 이쁜 이름을 가진 녀석으로 봄날 숲에서 만나는 사초 중에서도 내가 꽤 좋아하는 녀석이다 중부 이북의 숲속에서 자라는 녀석으로 잎은 줄기보다 짧고, 아래쪽의 잎집은 적갈색이다한라사초도 잎집이 적갈색을 띠는 특징이 있어서 사초에 초짜인 내가 착각을 할 뻔 했던 것이다열매의 모양은 많이 달라서 녹빛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7422 https://qweenbee.tistory.com/8899159 https://qweenbee.tistory.com/8902541 https://qweenbee.tistory.com/8908743 https://qweenbee.tistory.c.. 2025. 5. 1.
난사초(사초과 사초속) Carex holotricha Ohwi 2025. 4. 28. 경북. 이 녀석은 이제사 화서를 내밀고 있다. 높은 산의 양지바른 바위 위나 바위틈, 등산로 주변에서 자라는 녀석이다.전초에 퍼진 털이 많은 유난히 밝은 잎을 가지고 있다. 가장 위의 작은이삭에는수꽃만 달리고, 긴 대가 있으며, 길이 5~8mm로 원기둥 모양이다. 암꽃으로만 구성된 작은이삭은 대부분 잎이 달리는 아래에서 나고 긴 대가 있다. 길이는 5~10cm이다. 수꽃의 인편은 적갈색, 암꽃의 인편은 짙은 적갈색이고 끝이 짧은 까락으로 된다. 씨방을 둘러싼 과낭은 인편보다 길고 타원형으로 4~5mm이며 아랫부분이 자루처럼 된다.과낭 표면에는 털이 있고 부리는 짧고, 밋밋하다. 암술머리는 세 개로 갈라진다. 녹빛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 2025. 5. 1.
한라사초(사초과 사초속) Carex erythrobasis H.Lév. & Vaniot 2025. 4. 28. 경북. ㅎ제주도에서 발견이 디어 이름을 얻은 고유종이지만 내륙에서도 분포하고 있다. 깊은 산 숲속의 바위 틈이나 습기가 유지되는 반그늘에서 자라는 녀석이다.뿌리줄기는 짧으며 줄기는 모여나고 삼릉형으로 곧추서며 끝이 다소 숙여지기도 한다.잎은 편평하고 밝은 녹색이고 기부의 잎집 은 적자색 또는 짙은 자색으로 부분적으로 갈라진다. 녹빛사초와 헷갈려서 잘못 올릴 뻔 했다. 녹빛사초에 비해 포는 짧은 잎 모양으로 녹색이며 암꽃이 성글게 나고 비늘조각의 까락은 약간 길다 녹빛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7422 https://qweenbee.tistory.com/8899159 https://qweenbee.tistory.co.. 2025. 5. 1.
지리대사초(사초과 사초속) Carex okamotoi Ohwi 2025. 4. 28. 경북. 오랜만에 들른 계곡에는 기대했던 녀석은 이제 싹이 돋아나고 있었다.물가에 한창 개화 중인 지리대사초와 야술놀이를 했다. 잎이 댓잎 모양으로 대사초와 비슷하지만 대사초에 비하여 전초가 가늘고 잎이 좁다. 잎에 털이 없으며, 과포는 단면이 약한 삼각형으로 난형 또는 장타원형이다. 한국 고유종으로 남부지역과 경북까지 분포하고 있는 걸 확인 했다. 2025. 5. 1.
솜나물(국화과 솜나물속) Leibnitzia anandria (L.) Turcz. 2025. 4. 28. 경북. 오랜만에 들른 계곡, 강한 산바람이 온 몸의 세포를 치고 달아난다.그래도 작은 햇살 잡은 틈을 놓치지 않고 샷!! 2025. 4. 30.
뫼제비꽃 Viola selkirkii Pursh ex Goldie 2025. 4. 28. 경북. 잎이 유독 작고 전초가 자색을 띠는 뫼제비 녀석이다. 뫼제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4014 https://qweenbee.tistory.com/8908801 https://qweenbee.tistory.com/8903927 https://qweenbee.tistory.com/8911098 https://qweenbee.tistory.com/8911916 https://qweenbee.tistory.com/8911938 https://qweenbee.tistory.com/8911960 민등뫼제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7008 ht.. 2025. 4.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