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745 좀올챙이골(사초과 올챙이고랭이속) Schoenoplectiella hotarui (Ohwi) J.Jung & H.K.Choi 2025. 9. 7.. 신안. 남도의 대표 산지 습지 옆 물고랑에 좀올챙이골이 가늘게 꽃을 피웠다. 주로 산지 습지에 자라며 줄기가 1mm 이하로 매우 가늘고 단면이 둥글며 소수가 1~3개 정도 적게 달린다. 좀올챙이골 : 소수 난형 1~3개, 암술 3개, 수과 3릉형,올챙이고랭이 : 소수 타원형, 원주형, 4~9개, 암술 2개, 수과 편철형 올챙이고랭이 : https://qweenbee.tistory.com/8909486 https://qweenbee.tistory.com/8909665 좀올챙이골 : https://qweenbee.tistory.com/8909395 https://qweenbee.tistory.com/8909514 https://qweenbee.t.. 2025. 10. 3. 긴화살여뀌(마디풀과 여뀌속) Persicaria breviochreata (Makino) Ohki 2025. 9. 17. 제주. 어미목 아래 계곡으로 들어가는 길 참 오랜만인데도 기억이 새록새록 난다. 제주의 어두운 숲에서 만나는 긴화살여뀌를 오랜만에 대면한다.좁쌀만한 꽃을 잡으려면 눈이 시릴 정도로 집중해야 몇 장 중에 한장은 건진다. 쪽 :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6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7 https://qweenbee.tistory.com/8907771 흰여뀌(명아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4324 https://qweenbee.tistory.com/8888847https://qweenbee.tistory.com/8886859 https:/.. 2025. 10. 3. 장대여뀌(마디풀과 여뀌속) Persicaria posumbu (Buch.-Ham. ex D.Don) H.Gross 2025. 9. 15. 제주. 산자락 둘레길이나 산책로 주변 반그늘에 가느다란 화서를 길게 세운 녀석이 이 녀석이다. 잎끝이 뾰족하게 빠진 난형의 잎에 검녹색의 무늬가 있다. 쪽 :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6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7 https://qweenbee.tistory.com/8907771 흰여뀌(명아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4324 https://qweenbee.tistory.com/8888847https://qweenbee.tistory.com/8886859 https://qweenbee.tistory.com/8888851 http.. 2025. 10. 3. 나도미꾸리낚시(마디풀과 여뀌속) Persicaria maackiana (Regel) Nakai ex T.Mori 2025. 9. 25. 경남. 우포 늪 주변이나 물도랑 농수로 주변에는 나도미꾸리낚시가 한창 열매를 결실 중이다.이 녀석은 대구 위쪽에선 본 적이 없다. 쪽 :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6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7 https://qweenbee.tistory.com/8907771 흰여뀌(명아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4324 https://qweenbee.tistory.com/8888847https://qweenbee.tistory.com/8886859 https://qweenbee.tistory.com/8888851 https://qweenbee.. 2025. 10. 3. 산부추(백합과 부추속) Allium thunbergii G.Don 2024. 10. 25. 경북. 동네 주변 야산자락 물골 주변 습원에 산부추가 무리지어 자라고 있다.예전에 분류되어 별도의 분류군으로 분류되었던 참산부추, 세모부추, 세모산부추,한라세모부추가 모두 산부추의 이명으로 처리 되었고 강부추는 산부추의 오동정으로 밝혀졌다.현재 국가표준식물목록의 부추속에는 아래와 같이 정리되었다.자생식물정명Allium splendens Willd. ex Schult. & Schult.f.가는산부추2022/03/28자생식물정명Allium thunbergii G.Don var. teretifolium H.J.Choi & B.U.Oh둥근산부추2024/11/12자생식물정명Allium macrostemon Bunge산달래2022/03/28자생식물정명Allium thunbergii G.Do.. 2025. 10. 3. 큰고랭이(사초과 올챙이고랭이속) Schoenoplectus tabernaemontani (C.C.Gmel.) Palla 2025. 7.19-20. 동네 수변천. 2024. 10. 30. 도청. 올챙이고랭이 : https://qweenbee.tistory.com/8909486 https://qweenbee.tistory.com/8909665 좀올챙이골 : https://qweenbee.tistory.com/8909395 https://qweenbee.tistory.com/8909514 https://qweenbee.tistory.com/8911453 https://qweenbee.tistory.com/8912460좀올챙이골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13 큰고랭이 : http://blog.daum.net/qweenbee/8903980 .. 2025. 10. 2. 세모고랭이(사초과 올챙이고랭이속) Schoenoplectus triqueter (L.) Palla 2025. 9. 25. 창녕. 큰고랭이속 중에서 처음 만나는 세모고랭이다. 첫 대면이라 거 감동적이고 기쁘다. 둥그런 고랭이 줄기만 보다가 완벽한 세모 모습을 보니 신기하다.꽃 달림도 큰고랭이 보다 많이 엉성하고 성글다. 아직도 만나지 못한 녀석들이 이렇게 많다. 올챙이고랭이 : https://qweenbee.tistory.com/8909486 https://qweenbee.tistory.com/8909665 좀올챙이골 : https://qweenbee.tistory.com/8909395 https://qweenbee.tistory.com/8909514 https://qweenbee.tistory.com/8911453 https://qweenbee.tistory... 2025. 10. 2. 참나무겨우살이(꼬리겨우살이과 참나무겨우살이속) Taxillus yadoriki (Siebold ex Maxim.) Danser 2025. 9. 15. 제주. 마악 한 두 송이 개화를 시작하고 있다.사진이 인증샷 밖에 안된다. 해가 넘어가는 중이고 꽃봉오리가 너무 산만했고, 내 카메라의 심도가 너무 높아서리....ㅎㅎ 동백나무겨우살이: https://qweenbee.tistory.com/8891156 https://qweenbee.tistory.com/8891157 https://qweenbee.tistory.com/8891008 https://qweenbee.tistory.com/8889297 https://qweenbee.tistory.com/8889336 https://qweenbee.tistory.com/8889249 https://qw.. 2025. 10. 2. 애기망초(국화과 망초속) Erigeron pusillus Nutt. 2025. 9. 15. 제주. 그렇게 보고싶어 하던 애기망초를 결국 몇 년 만에 만났다. 길 지나던 동네에서 참꽃나무겨우살이가 혹시 개화했나 싶어서 기웃거리다가 난데 없이 이 녀석을 만났던 것이다. 귀화식물이라고 하지만 오래 전부터 살고 있었을 터라.그 또한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식물의 하나이고그렇게 주변에 위해를 끼치기 않으니 미운 대상은 아니다.어린 신초는 한 번 본 적이 있지만 아직 제대로 만나지 못햇으니 한 번은 만나보고 싶던 녀석이다. 망초에 비해 키가 작고 줄기에 털이 없으며 두상화가 가지 끝에 느슨하게 달린다. (학명이 개망초속으로 바뀌면서 망초속 기존 학명을 모두 이명처리되었다.) 줄기 가운데 잎은 선형 또는 도피침형으로 길이 2~5cm, 폭 4~10mm, 가장자리에 작은 톱니가 있거나.. 2025. 10. 2. 방동사니아재비(사초과 방동사니속) Cyperus cyperoides (L.) Kuntze 2025. 9. 15. 제주. 9월 제주 탑사에서의 큰 소득 중 하나가 이 녀석이다.5월에 왔을 때 어린 소수의 모습을 잠깐 보고 이 녀석을 처음 만났던 거였는데 이번에 제대로 여기 저기서 만났다. 꽃이 잘 피고 있다. 방동사니 : https://qweenbee.tistory.com/8912463 푸른방동사니 : https://qweenbee.tistory.com/8896688 https://qweenbee.tistory.com/8904388 https://qweenbee.tistory.com/8905934 https://qweenbee.tistory.com/8909318 https://qweenbee.tistory.com/89096.. 2025. 10. 1. 추분취(국화과 취나물속) 새싹 Rhynchospermum verticillatum Reinw. 2025. 9. 15. 제주. 제주도와 남해 섬에서 볼 수 있는 녀석이다. 벌레가 잎을 다 뜯어 먹어서 몰골이 말이 아니다. 큰각시취: https://qweenbee.tistory.com/8888951 https://qweenbee.tistory.com/8894248 https://qweenbee.tistory.com/8894502 https://qweenbee.tistory.com/8904908 https://qweenbee.tistory.com/8896617 https://qweenbee.tistory.com/8899824 https://qweenbee.tistory.com/8901569큰각시취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6큰각시취 종.. 2025. 9. 29. 누운기장대풀(벼과 기장대풀속) Isachne nipponensis Ohwi 2025. 9. 15. 제주. 삼나무 숲 깊은 산책로를 걸으면서 바닥의 풀들만 살폈다.새벽에 내린 빗물에 번들거리는 작은 열매를 단 풀이 길 섶에 좌악 깔려 있어서 눈이 번쩍. 처음 보는 낯선 벼과 녀석이라 열심히 담아서 꽃동무한테 전송했더니 누운기장대풀이라는 답이 온다.역시 처음 만난 녀석이 맞다. 정보를 확인하니 제주도의 수페서만 볼 수 있다고 한다.기어가는 줄기가 마디마다 뿌리를 내려서 개체번식이 되니 락을 이룬다, 기장대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435 https://qweenbee.tistory.com/8888567 https://qweenbee.tistory.com/8886304 https://qweenbee.tistory.c.. 2025. 9. 29. 털사철란 Goodyera velutina Maxim. ex Regel 2025. 9. 16. 제주. 네 녀석 만난지도 10년이 더 넘은 것 같다. 사철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40 https://qweenbee.tistory.com/8890674https://qweenbee.tistory.com/8899809 https://qweenbee.tistory.com/8897018https://qweenbee.tistory.com/8898153 https://qweenbee.tistory.com/8911295사철란 새싹 : 섬사철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72 https://qweenbee.tistory.com/8888939https://qweenbee.tistory.co.. 2025. 9. 26. 잔디바랭이(벼과 잔디바랭이속) Dimeria ornithopoda Trin. 2025. 9. 22. 신안. 계속 관찰하는 녀석 때문에 다시 남도로 내려갔다. 이번에는 출장이다.연구원을 기다리면서 혼자서 해안 습원을 뒤졌다. 지난 번 제주도에서 만났던 녀석과 비슷한 아주 가늘고 여린 화총을 가진 녀석을 붙잡고 씨름을 했다.정체를 밝히려고 뜯어온 표본을 살피다가 이 녀석이 바로 잔디바랭이라는 걸 알아채었다.드뎌 잔디바랭이를 영접하였다. 기분 대낄이다. 제주 녀석도 갯바랭이가 아니라 잔디바랭이일 가능성이 많다.잔디바랭이 : Dimeria ornithopoda Trin.습지와 산록의 습기가 많은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가늘고 가지를 친다. 높이는 15~35cm이며 2~15개의 마디가 있다. 잎집에는 털이 있고, 잎혀는 흰색 막질로 길이 0.5~1.0mm이다. .. 2025. 9. 26. 너도고랭이(사초과 너도고랭이속) Scleria parvula Steud. 2025. 9. 22. 남도. 여름 이후가 되어야 개화하여 만날 수 있는 사초과 녀석.남쪽 해안 습지에서 만난다. 풀들과 어루러져서 자세히 찾아야 눈에 들어오는 녀석벌써 열매가 구슬처럼 익고 있다. 덕산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8 https://qweenbee.tistory.com/8911481덕산풀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11495 https://qweenbee.tistory.com/8912432 https://qweenbee.tistory.com/8912431 덕산풀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11503 가시개올미 : https://qweenbe.. 2025. 9. 26. 이전 1 2 3 4 5 6 ··· 17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