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851

백두산식물 - 만주붓꽃(붓꽃과 붓꽃속) Iris mandshurica Maxim. 2025. 6. 중국 화령. 산지의 마른 땅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20~30cm이다.잎은 5~6장이 모여나며 넓은 선형으로 가운데 잎맥은 없다.꽃줄기는 1~2개, 끝에서 2개씩 연한 녹색이 도는 노란색 꽃이 핀다.한국산 붓꽃속 식물 중에서 외화피편의 기부에 노란색 털이 밀생하는 특징으로 구분된다(출처; 국립생물자원관 포털) 외화피편 기부에 노란색의 긴 털이 보인다 난장이붓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5932 https://qweenbee.tistory.com/8903955https://qweenbee.tistory.com/8904038 https://qweenbee.tistory.com/8907196 https://qweenbee... 2025. 10. 26.
연등심붓꽃(붓꽃과 등심붓꽃속) Sisyrinchium micranthum Cav. 2024. 5. 제주 재배. 식물분류학회지 46권 3호제주도 서귀포시 일대에서 미기록 귀화식물 연등심붓꽃 (Sisyrinchium micranthum Cav.)이 발견되었다. 이 종은 중남미가 원산이며 여러 나라에서 침입종으로 보고된 바 있다. 연등심붓꽃은 국내에 먼저 보고된 귀화식물인 등심붓꽃의 자매종이며 두 종 모두 Echthronema 아속에 속한다. 연등심붓꽃은 화관의 밑부분이 긴 항아리 모양, 열매와 씨가 큰 점에 의해 등심붓꽃과 구별된다. 꽃이 연보라색이어서 국명을 연등심붓 꽃이라고 신칭하였다. 등심붓꽃의 이전 학명인 S. angustifolium Mill.은 Sisyrinchium 아속에 속하는 종이며 형태적으로 등심붓꽃 (S. rosulatum)과 매우 상이하다. 등심붓꽃의 학명을 기준표본.. 2025. 10. 26.
산유자나무(이나무과 산유자나무속) 암꽃 Xylosma congesta (Lour.) Merr. 2025. 9. 18. 제주. 이름은 산유자나무이지만 유자나무와는 아무 관련이 없다.암수딴그루로 시무나무처럼 줄기의 억센 가시가 꽤 위협적인 녀석이다. 제주도와 남부 도서지역에 자생한다. 암그루는 만나기 쉽지 않는데 공원 안에 암꽃을 가득 피운 엄청 큰 녀석을 찾아서 신나게 찍었다. 둥근금감 : https://qweenbee.tistory.com/8892950 황금하귤 : https://qweenbee.tistory.com/8894172 당귤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902034 산귤 : https://qweenbee.tistory.com/8895072 유자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945 https://.. 2025. 10. 26.
대마도식물 -조구등(釣鉤藤, 꼭두서니과) 열매 Uncaria rhynchophylla (Miq.) Miq. 덩굴 식물로 중국명으로 조구등(釣鉤藤), 조등(釣藤)이라고도 한다.원산지는 중국 중남부, 남동부, 베트남, 대만, 중남 및 일본까지다. 주로 아열대 생물 군계에서 자란다.줄기 잎사이에 낚시바늘처럼 생긴 탁엽이 발달하여 중국명으로 낚시바늘덩굴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쥐방울덩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8384 https://qweenbee.tistory.com/8901197https://qweenbee.tistory.com/8901197 https://qweenbee.tistory.com/8903159 https://qweenbee.tistory.com/8903187 https://qweenbee.tistory.com/8906642 http.. 2025. 10. 26.
참새외풀(현삼과 밭둑외풀속) Lindernia antipoda (L.) Alston 2025. 10. 22. 경남. 아랫 동네 논둑을 살피다가 만난 참새외풀이다.제초제 폭탄으로 모두 녹았다가 뒤늦게 싹이 터서 꽃을 피우고 있었다. 잎은 장타원형, 장타원상 피침형, 타원상 도피침형, 선상 피침형 등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짧고 넓다. 외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15 https://qweenbee.tistory.com/8901605 https://qweenbee.tistory.com/8912500 논둑외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17 https://qweenbee.tistory.com/8894441 https://qweenbee.tist.. 2025. 10. 25.
대마도식물-외풀(현삼과 밭둑외풀속) Lindernia crustacea (L.) F.Muell. 2025. 10. 9. 대마도. 우리나라에는 제주도와 전남지역에 자생하고 있다.마지막에 쳐져서 내려온 탓에 주차장 옆에 있던 이 녀석을 제대로 관찰하지 못하고 폰으로 퍽샷을 날린게 아쉽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엽병이 짧으며 달걀 모양, 삼각상 좁은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받침통의 능선에 털이 있고, 각 능선의 열편 끝 부분에 듬성한 거친 털이 나고, 화관은 보라색 이다. 외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15 https://qweenbee.tistory.com/8901605 https://qweenbee.tistory.com/8912500 논둑외풀 : https://qweenbee.tistor.. 2025. 10. 25.
무릇(백합과 무릇속) Barnardia japonica (Thunb.) Schult.f. 2025. 9. 16. 제주. 서귀포를 출발해서 천백고지, 용수리, 김녕해안을 돌면서 하루 종일 제주를 한 바퀴 돌아버렸다.해안의 무릇은 잎의 너비가 꽤 넓고 화서가 크다. 무릇 : https://qweenbee.tistory.com/8912498 애기중의무릇 : https://qweenbee.tistory.com/8891490 https://qweenbee.tistory.com/8889650https://qweenbee.tistory.com/8887674 https://qweenbee.tistory.com/8893378 https://qweenbee.tistory.com/8897317 https://qweenbee.tistory.com/8899018https://qweenbee.ti.. 2025. 10. 25.
애기담배풀(국화과 담배풀속) Carpesium rosulatum Miq. 2025. 9. 17. 제주. 제주도 숲에서 만날 수 있는 담배풀속 녀석이다.이름대로 두상화 지름이 가장 작고 전초가 가냘프다.천일담배풀과 함께 개화 시에도 근생엽이 남아 있고 방석처럼 퍼지는 뿌리잎을 가지고 있다. 담배풀 긴담배풀 좀담배풀 두메담배풀 애기담배풀 천일담배풀 여우오줌 개화 시 근생엽 존속 여부xxx x ○○x 꽃의 크기6-8mm 6-8mm 15-18mm 1cm 5mm 8-15mm 2.5-3.5cm 줄기가 크게 갈라짐○XXXX X X 꽃자루 있(길)다. X○○○○○○ 잎자루와 날개 짧고 날개 약간길고 날개약간 x 길고 날개 ○ 길고 날개 ○짧고 날개 x짧고 날개 x 복거치 날개 ○ 총포편 둥근종형 3열 4열 각두형 총포 종형 통형 3열 각두형 5열 포엽 없음(2~4개) .. 2025. 10. 25.
대마도식물 -Boenninghausenia albiflora(Hook.) Rchb. ex Meisn. 2025. 10. 10. 대마도. 셋째 날 바위산을 타러 진입하는 도로변 숲 가장자리에 꿩의다리속 비슷한 녀석이 하얗게 꽃을 피우고 있었다. 산으로 오르는 등산로 옆에도 많이 나타난다.걸음이 늦은 나는 일행을 따라가기 바쁜데 촬영하려면 시간이 또 지체 되어 더 처져 버렸다. 가을에 꽃을 피우는 꿩의다리속 녀석은 없는데 싶어서 궁금했는데대장이 우리 나라에 없는 다른 속이라고 한다. 학명을 찾으니 운향과 Boenninghausenia albiflora이다. 보엔닝하우세니아 Boenninghausenia 속은 우리나라에 없는 속이다. 중국과 동부 히말라야, 베트남, 라오스 대만, 태국, 일본까지 분포하고 있다. 2025. 10. 25.
대마도식물 -차걸이란(난초과 차걸이란속) Oberonia japonica (Maxim.) Makino 2025. 10. 9. 대마도. 이 곳에는 차걸이란이 많이 나타난다.눈 높이에서 담을 수 잇으니 멋진 곳이지만 2.7km 산길을 오르느라 나는 엄청 고생을 했다. 마지막 너덜지대에는 정말 악으로 올랐다. 차걸이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003 https://qweenbee.tistory.com/8910342 https://qweenbee.tistory.com/8910413 https://qweenbee.tistory.com/8912494 2025. 10. 25.
대마도식물-털사철란(난과 사철란속) Goodyera velutina Maxim. ex Regel 2025. 10. 9. 대마도. 이 곳 산 정상부에도 털사철란 한 촉이 이쁘게 꽃을 피워서 반겨준다. 사철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40 https://qweenbee.tistory.com/8890674https://qweenbee.tistory.com/8899809 https://qweenbee.tistory.com/8897018https://qweenbee.tistory.com/8898153 https://qweenbee.tistory.com/8911295사철란 새싹 : 섬사철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72 https://qweenbee.tistory.com/8888939https://qwee.. 2025. 10. 25.
섬사철란(난초과 사철란속) Goodyera henryi Rolfe 2025. 9. 16. 제주. 한라산자락 숲에 한챙 개화 중이었다. 사철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40 https://qweenbee.tistory.com/8890674https://qweenbee.tistory.com/8899809 https://qweenbee.tistory.com/8897018https://qweenbee.tistory.com/8898153 https://qweenbee.tistory.com/8911295사철란 새싹 : 한국사철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393 https://qweenbee.tistory.com/8892447 https:/.. 2025. 10. 24.
대마도식물-넓은잎갯돌나물?(돌나물과 돌나물속)Sedum polytrichoides Hemsl. subsp. yabeanum (Makino) H.Ohba 2025. 10. 8. 대마도. 해안 바위 바위벽을 살피는데 돌나물과 녀석이 꽤 보인다.갯돌나물이라 알려주는데, 확인해 보니 관매도에서 처음 발견했다는 갯돌나물과는 좀 다르다. 잎이 좀 넓은 걸 보면 이 녀석이 넓은잎갯돌나물이 아닐까 하는데......큐에서 검색하면 일본고유종으로 나오는데 얼마 전에 거제도에서도 자생하는 것이 확인이 되었으니 일본 고유종이라 할 수는 없다.갯돌나물과 유사하지만 잎이 보다 넓고, 잎 끝이 뾰족한 것에서 차이가 난다. 아무튼 국내에서 가보려고 용만 쓰다가 아직 만나보지 못하던 녀석인데 이 녀석을 여기서 먼저 만난다. 땅채송화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69 https://qweenbee.tistory.com/8889456https.. 2025. 10. 24.
대마도식물 - 잎꽃돌나물(돌나물과돌나물속) Sedum kiangnanense D.Q.Wang & Z.F.Wu 2025. 10. 9. 대마도. 대마도 식물탐사에서 국내에서 보고된 녀석중에 아직 만나보지 못한 두 종의 녀석을 만나는 소득이 있었다.그 중 한 녀석이 잎꽃돌나물인데 첫만남에 구걱비름을 많이 닯앗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몇년 전에 보고되 잎꽃돌나물이라는 조언을 받고 확인해 본 결과돌려나는 잎과 잎끝의 오목한 요철, 주걱모양의 잎이 잎꽃돌나물이라 정리한다. 땅채송화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69 https://qweenbee.tistory.com/8889456https://qweenbee.tistory.com/8887975 https://qweenbee.tistory.com/8893841https://qweenbee.tistory.com/8893885 .. 2025. 10. 24.
참명아주(명아주과 명아주속) Chenopodiastrum gracilispicum (H.W.Kung) Uotila 2025. 8. 15. 경북. 산 능선부에서 이 녀석을 마주하니 뜻밖이었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삼각상 달걀 모양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예두 예저이고 길이 1~4㎝, 폭 8~30㎜로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치아 모양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록색이며 백분으로 덮여 있고 엽병은 길이 5~20㎜이다 갯는쟁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6130갯는쟁이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00306 https://qweenbee.tistory.com/8906269갯는쟁이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895808 가는갯는쟁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6.. 2025. 10.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