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243 애기송이풀(현삼과 송이풀속) Pedicularis ishidoyana Koidz. & Ohwi 2024. 4. 25. 경북. 늘 그 자리에 잘 살아 있어서 고마운 녀석이다큰 수해만 나지 말아라. 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9 https://qweenbee.tistory.com/8898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3188 https://qweenbee.tistory.com/8896828 https://qweenbee.tistory.com/8906008 https://qweenbee.tistory.com/8908501 송이풀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899147 큰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 2025. 4. 28. 태백제비꽃 Viola albida Palib. 2025. 4. 24. 경북. 보려던 녀석은 아직 감감하고 태백제비꽃이 제철로 흐드러지고 있다. 이 녀석은 잎에 결각이 생겼다 아마 교잡이 일어난 것 같다. 태백제비꽃: https://qweenbee.tistory.com/8910959 https://qweenbee.tistory.com/8910349 https://qweenbee.tistory.com/8908802 https://qweenbee.tistory.com/8908799 https://qweenbee.tistory.com/8905091 https://qweenbee.tistory.com/8903925 https://qweenbee.tistory.com/889916.. 2025. 4. 28. 노랑제비꽃 Viola orientalis (Maxim.) W.Becker 2025. 4. 20. 강원도. 4. 24. 경북. 노랑제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5548 https://qweenbee.tistory.com/8897435 https://qweenbee.tistory.com/8900727 https://qweenbee.tistory.com/8900908 https://qweenbee.tistory.com/8903923 https://qweenbee.tistory.com/8905094 https://qweenbee.tistory.com/8908330 https://qweenbee.tistory.com/8908800 https://qwe.. 2025. 4. 28. 양지꽃(장미과 양지꽃속) Potentilla fragarioides L. var. major Maxim. 2025. 4. 18. 충북. 벋음양지꽃 때문에 올해는 이 녀석을 자세하게 살펴야 한다. 양지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832 https://qweenbee.tistory.com/8887589 https://qweenbee.tistory.com/8891552 https://qweenbee.tistory.com/8893210https://qweenbee.tistory.com/8895965 https://qweenbee.tistory.com/8902353https://qweenbee.tistory.com/8908811 https://qweenbee.tistory.com/8910368 https://qweenbee.tis.. 2025. 4. 28. 명자순(까치밥나무과 까치밥나무속) Ribes maximowiczianum Kom. 2025. 4. 24. 경북. 잎도 아직 제대로 펴지 않은 상태에 꽃을 열심히 피우고 있다. 까마귀밥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640 https://qweenbee.tistory.com/8887662https://qweenbee.tistory.com/8891622 https://qweenbee.tistory.com/8895336https://qweenbee.tistory.com/8895595 https://qweenbee.tistory.com/8895479 https://qweenbee.tistory.com/8897391 https://qweenbee.tistory.com/8895371까마귀밥나무 열매: http://blog.dau.. 2025. 4. 28. 태백개별꽃(석죽과 개별꽃속) Pseudostellaria longipedicellata S.Lee, K.I.Heo & S.C.Kim 2025. 4. 24. 경북. 큰개별꽃과 비교하여 꽃자루가 길긴하지만 사실 개화 시에 명확하게 구분하기 쉽지 않다.결실기가 되면 이 녀석 꽃자루가 훨씬 길어지면서 아래로 늘어져서 바닥에 닿아 버리는 모습을 볼 수가 있다.지리산개개별꽃도 결실기에 꽃자루가 아래로 늘어지는 현수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숲개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795 https://qweenbee.tistory.com/8891670https://qweenbee.tistory.com/8891733 https://qweenbee.tistory.com/8891900https://qweenbee.tistory.com/8893600 https://qweenbee.tistory.com/88.. 2025. 4. 28. 나도바람꽃(미나리아재비과 나도바람꽃속) Enemion raddeanum Regel 2025. 4. 24. 경북. 키가 나지막하게 꽃을 피우고 있는 나도바람꽃이 때가 가장 귀엽고 이쁘다. https://qweenbee.tistory.com/8890296 https://qweenbee.tistory.com/8886127https://qweenbee.tistory.com/8896528 https://qweenbee.tistory.com/8909086(몽골)https://qweenbee.tistory.com/8910842(몽골) https://qweenbee.tistory.com/8911716(몽골)https://qweenbee.tistory.com/8910844(몽골) https://qweenbee.tistory.com/8896529 https://qweenbee.tist.. 2025. 4. 28. 보현개별꽃은 아직 수면 중 2025. 4. 24. 보현이를 찾아야 할 일이 생겼다.식물의 형질을 분석하여 그 위치를 정리하기 ㅎ위한 시료를 채집해야 해서. 산사면을 뒤졌지만 태백개별꽃이 제법 피고 있었고 덩굴개별꽃도 아직 개화한 개체들이 어쩌다 보일 정도라보현개별꽃은 아직 그림자도 안 보인다. 꽃이 펴야 확인을 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 녀석을 찾으려고 2012년 다친 발목 때문에 목발을 짚고 보현산을 뒤져서 결국은 녀석을 찾아 내었다여태 사이버상에서 검색되는 보현개별꽃을 제대로 찾아 놓았던 자료는 딱 하나 밖에 없었고다른 자료는 모두 덩굴개별꽃을 잘못 올려 두었던 것이다. 보현개별꽃은 태백개별꽃과 덩굴개별꽃의 교잡종이다. 그래서 결실이 안 된다.꽃은 덩굴개별꽃이요, 전초는 큰(태백)개별꽃의 특징을 닮았다. 꽃잎은 5(6).. 2025. 4. 26. 뫼제비꽃 Viola selkirkii Pursh ex Goldie 2025. 4. 24. 경북. 고산의 뫼제비도 피기 시작이다.민둥뫼제비꽃에 비하여 잎이 둥글고 작으며 무늬가 없다. 뫼제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4014 https://qweenbee.tistory.com/8908801 https://qweenbee.tistory.com/8903927 https://qweenbee.tistory.com/8911098 https://qweenbee.tistory.com/8911916 https://qweenbee.tistory.com/8911938 민등뫼제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7008 https://qweenbee.tistory.com/890.. 2025. 4. 26. 노랑무늬붓꽃(붓꽃과 붓꽃속) Iris odaesanensis Y. N. Lee 2025. 4. 25. 이 군락이 많이 많이 번성하길...... 난장이붓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5932 https://qweenbee.tistory.com/8903955https://qweenbee.tistory.com/8904038 https://qweenbee.tistory.com/8907196 https://qweenbee.tistory.com/8910387 https://qweenbee.tistory.com/8911095난장이붓꽃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8957 솔붓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355 https://qweenbee.tist.. 2025. 4. 26. 노랑무늬붓꽃(붓꽃과 붓꽃속) Iris odaesanensis Y. N. Lee 2025. 4. 25. 몇 년 전 꽃자리 정보를 대충 알고 갔다가 허탕쳤던 곳.꽃동무 덕분에 드뎌 이 곳을 찾아 대면을 하였다. 무리지어서 건강하게 사는 모습을 보니 고맙고 감격스러웠다. 난장이붓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5932 https://qweenbee.tistory.com/8903955https://qweenbee.tistory.com/8904038 https://qweenbee.tistory.com/8907196 https://qweenbee.tistory.com/8910387 https://qweenbee.tistory.com/8911095난장이붓꽃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8957.. 2025. 4. 26. 왜미나리아재비(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Ranunculus franchetii H.Boissieu 2025. 4. 23. 강원도. 참 무성의하게도 찍었다. 자료로서 가치도 없고, 그림도 안 되고, 이러려고 카메라 들고 댕기나?반성합니다. 앞으로 안 그럴게요. 개구리갓 :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8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9https://qweenbee.tistory.com/8889489 https://qweenbee.tistory.com/8897174https://qweenbee.tistory.com/8895284 https://qweenbee.tistory.com/8895474https://qweenbee.tistory.com/8897174 https://qweenbee.tistory.com/8902.. 2025. 4. 26. 홀아비바람꽃(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Anemone koraiensis Nakai 2025. 4. 23. 강원도. 홀아비들이 완전 잔치를 벌이고 있다. https://qweenbee.tistory.com/8890296 https://qweenbee.tistory.com/8886127https://qweenbee.tistory.com/8896528 https://qweenbee.tistory.com/8909086(몽골)https://qweenbee.tistory.com/8910842(몽골) https://qweenbee.tistory.com/8911716(몽골)https://qweenbee.tistory.com/8910844(몽골) https://qweenbee.tistory.com/8896529 https://qweenbee.tistory.com/8887929 h.. 2025. 4. 26. 가지털괭이눈(범의귀과 괭이눈속) Chrysosplenium ramosissimum Y.I.Kim & Y.D.Kim 2025. 4. 23. 무성지가 가지를 많이 치며 잎 표면에 광택이 있는 백색 반점이 밀생한다.무성지는 2~5개가 생기며 결실 후 바닥을 기면서 30cm까지 자라며 옆액에서 2회 이상 가지를 치고 털이 밀생한다. 괭이눈속 종 검색표 : 한림대 김용인 교수의 식물분류학회 공개 강좌 자료(2019. 4)1. 잎 어긋나기 2. 개화기에 포엽이 노란색 --------------------------------------- 시베리아괭이눈(오대산괭이눈) 2. 개화기에 포엽이 녹색 또는 연녹색 3. 무성지가 있고 줄기 잎과 무성지 잎은 이형 ----------------------------------- 애기괭이눈 3. 무성지가 없고 줄기 잎과 무성지 잎은 동형 ---------.. 2025. 4. 25. 서양민들레(국화과 민들레속) Taraxacum officinale F.H.Wigg. 2025. 4. 경북. 서양민들레가 한창 곱다.잎의 날카로운 결각과 부속체로 봐서는 붉은씨서양민들레일 수도 있다. 민들레속 재검토 : https://qweenbee.tistory.com/8902202 털민들레=>민들레 : https://qweenbee.tistory.com/8902174 https://qweenbee.tistory.com/8893415 https://qweenbee.tistory.com/8911909https://qweenbee.tistory.com/8900464 https://qweenbee.tistory.com/8895447https://qweenbee.tistory.com/8899116 https://qweenbee.tistory.com/8.. 2025. 4. 25. 이전 1 2 3 4 5 6 7 8 ··· 16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