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756 들통발(통발과 통발속) Utricularia aurea Lour. 2025. 9. 10. 강원도. 끈끈이귀개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69 https://qweenbee.tistory.com/8893721https://qweenbee.tistory.com/8894108 https://qweenbee.tistory.com/8900924https://qweenbee.tistory.com/8905416 https://qweenbee.tistory.com/8905417 https://qweenbee.tistory.com/8908847 https://qweenbee.tistory.com/8910367 https://qweenbee.tistory.com/8910461 끈끈이주걱 : https://qweenbee.. 2025. 9. 24. 이삭귀개(통발과 땅귀개속) Utricularia caerulea L. 2025. 9. 7. 남도. 해안 습지 여기 저기 작은 풀들 사이에서 얼굴을 내민다.땅귀개도 함께 있긴 했지만 거의 져버리고 산만하게 몇 개 꽃을 피우고 있었다. 끈끈이귀개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69 https://qweenbee.tistory.com/8893721https://qweenbee.tistory.com/8894108 https://qweenbee.tistory.com/8900924https://qweenbee.tistory.com/8905416 https://qweenbee.tistory.com/8905417 https://qweenbee.tistory.com/8908847 https://qweenbee.tistory.com/89.. 2025. 9. 24. 가시개올미(사초과 너도고랭이속) 열매 Scleria rugosa R.Br. 2025. 9. 7. 건너 섬에는 가시개올미가 더 지천이었는데 여긴 덕산풀에 드문드문 섞여 있다잎과 줄기 포에 뻣뻣한 털이 가시처럼 많다. 늦게 피고 있는 꽃 덕산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8 https://qweenbee.tistory.com/8911481덕산풀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11495 https://qweenbee.tistory.com/8912432 https://qweenbee.tistory.com/8912431 덕산풀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11503 가시개올미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5.. 2025. 9. 24. 구실개올미(사초과 너도고랭이속) 열매 Scleria levis Retz. 2025. 9. 7. 신안. 몇 번 만났을 터인데 무심히 지나쳐 버렸던 탓에 작년애서야 녀석을 마주하게 되었다.잎과 줄기가 억세고 뭉터기를 이루어 자라며 잎을 손으로 쓸다가는 베이기 십상이다. 덕산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8 https://qweenbee.tistory.com/8911481덕산풀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11495 https://qweenbee.tistory.com/8912432 https://qweenbee.tistory.com/8912431 덕산풀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11503 가시개올미 : https://qweenbee.. 2025. 9. 24. 구실개올미(사초과 너도고랭이속) Scleria levis Retz. 2025. 9. 7. 신ㅇ안. 열흘 정도 일찍 왔더라면 꽃을 볼 수 있었겠는데겨우 늦등이 하나 붙잡고 씨름을 했다. 덕산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8 https://qweenbee.tistory.com/8911481덕산풀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11495 https://qweenbee.tistory.com/8912432 https://qweenbee.tistory.com/8912431 덕산풀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11503 가시개올미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5 https://qweenbee.tist.. 2025. 9. 24. 덕산풀(사초과 너도고랭이속) 열매 Scleria rugosa R.Br. var. onoei (Franch. & Sav.) Yonek. 2025. 9. 7. 신안. 여긴 가시개올미가 오히려 보기 힘들고 대부분 탈이 없는는 변종 덕산풀이다. 덕산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8 https://qweenbee.tistory.com/8911481덕산풀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11495 https://qweenbee.tistory.com/8912432 https://qweenbee.tistory.com/8912431 덕산풀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11503 가시개올미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5 https://qweenbee.tistory.com.. 2025. 9. 24. 덕산풀(사초과 너도고랭이속) Scleria rugosa R.Br. var. onoei (Franch. & Sav.) Yonek. 2025. 9. 7. 신안. 해안 산지 습원 바닥에 덕산풀이 가득하다. 축구장 잔디밭 수준이다. 이 녀석은 가시개올미의 변종이다.가시개올미는 전초에 털이 많은데 이 녀석은 털이 없다. 가시개올미 Scleria rugosa R.Br.덕산풀 Scleria rugosa R.Br. var. onoei (Franch. & Sav.) Yonek. 덕산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8 https://qweenbee.tistory.com/8911481덕산풀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11495 https://qweenbee.tistory.com/8912432 https://qweenbee.tistory.com/.. 2025. 9. 24. 한라천마(난초과 천마속) Gastrodia pubilabiata Y.Sawa 2025. 9. 15. 제주. 참말로 오랜만이다. 아그야~!!다 열매가 되어버리고 겨우 남은 두 송이 그래도 고맙다.어느 오름에는 만보를 더 걸어야 한다는 곳에 녀석이 있다던데길도 멀고 정확한 자리도 모르니 이 것으로 감지덕지해야 겠다. 하늘은 잔뜩 흐린게 먹구름이 덮고 있는 폼이 수상쩍다.어두운 숲에 어두운 녀석을 담으려니 얼굴을 제대로 담기지 않는다.결국 숲을 이룬 삼나무 잎에 빗방울 뜯는 소리에 부리나케 돌아서야 했다. 잎이 없는 부생란이다. 꽃은 녹갈색이고 종모양이며 길이 11㎜, 2~5송이가 줄기 끝에 피고, 입술모양꽃부리는 황백색이며, 1개의 주름진 돌기가 있고, 밑동에 1개의 네모진 기둥 모양의 돌기가 있다. 어린 열매다. 결실이 될 때 쯤이면 키가 엄청 자라서 무릎높이 를 넘는다고 한.. 2025. 9. 24. 천마(난초과 천마속) Gastrodia elata Blume 2025. 7. 6. 백두대간 고갯마루. 오랜만에 들른 사찰 숲에서 천마 녀석이 얌전하게 꽃 피우고 있는 걸 만났다.사람들의 왕래가 거의 없으니 안심하고 서 있다.예전에는 푸른색이 도는 녀석을 푸른천마로 분류해 두었지만 지금은 천마에 이명처리 되었다. 2025. 9. 24. 공단풀(아욱과 공단풀속) Sida spinosa L. 2025. 9. 17. 제주. 여간 해서는 꽃을 피우고 있는 모습 보기가 어려운 녀석이다.나도공단풀은 11시가 넘어서야 꽃을 피우는데 이 녀석은 아마도 밤에 꽃을 피우는 모양이다이른 아침 시각에 꽃이 펴 있었던 모양인데 9시 경에 벌써 꽃잎이 닫기고 있었다. 공단풀 : 꽃자루는 짧고 잎자루가 길다나도공단풀: 꽃자루가 길고 잎바루가 짧다 꽃꽃자루잎자루열매전초공단풀잎겨드랑이에 1~3개씩 모여 달림거의 없다(2~6mm)길다(1~3cm)분과 5개, 2개의 각상돌기 나도공단풀잎겨드랑이에 1개씩 꽃받침에 성상모 밀생길다 (10~15mm) 짧다(3~6mm)분과 8~14개, 각분과에 각상돌기 1개씩 후에 2개로 갈라짐줄기에 성상모 공단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44 h.. 2025. 9. 24. 갈래잎나팔꽃(메꽃과 메꽃속) Ipomoea heptaphylla Sweet 2025. 9. 17. 제주. 처음 만났다고 엄청 찍어왔다잎이 손바닥이나 단풍나무잎 처럼 5~6장으로 이우러진 갈라진 복엽이다..실처럼 가느다란 긴 꽃자루가 무슨 심사가 틀렸는지 배배 꼬이고 말려 있다. 화각 시원한 건 폰에 따를 게 없다. 보라색 화관 아래쪽이 항아리처럼 볼록하다. 나팔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1303 https://qweenbee.tistory.com/8887047 https://qweenbee.tistory.com/8905804 https://qweenbee.tistory.com/8905858 https://qweenbee.tistory.com/8906130 https://qweenbee.. 2025. 9. 23. 멕시코백령풀(꼭두서니과 나도백령풀속) Richardia brasiliensis Gomes 2025. 9. 15. 오래 전 이 녀석을 한 번 본 적이 있어서 다시 한 번 찾아 보려는데 장소가 생각나지 않는다.결국 제주 꽃동무의 도움으로 그자리를 찾았는데 묵밭에 바랭이가 가득 차 있다. 한쪽 구석에서 겨우 찾아내었는데 오후 시간이라 아쉽게도 꽃이 빠져 버렸다. 다음 날 갈래잎나팔꽃을 보러 갔던 개인 농장에 다행하게도 옮겨 둔 게 있어서 꽃을 제대로 촬영할 수 있었다. 백령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0037 https://qweenbee.tistory.com/8900038 https://qweenbee.tistory.com/8900532 https://qweenbee.tistory.com/8901539 (털)백령풀 : htt.. 2025. 9. 23. 전주물꼬리풀(꿀풀과 물꼬리풀속) Dysophylla yatabeana Makino 2025. 9. 15. 제주. 마지막으로 올려진 전주물꼬리풀이 2017년이라....8년 전에 보고는 찾지 않았다는 것이다.가을 바쁜 철에 제주도까지 눈 돌릴 겨를이 없었던가 보다. 이미 절정을 넘긴 듯, 30여분 쏟아진 폭우 수준의 소나기에 이리 저리 쓰러져 있다.물통이의 물이 많이 불어나서 사진 촬영도 방해가 되었다. 꼬리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726 https://qweenbee.tistory.com/8886493https://qweenbee.tistory.com/8891312 https://qweenbee.tistory.com/8894457https://qweenbee.tistory.com/8898914 https://qweenbee.t.. 2025. 9. 23. 물꼬리풀(꿀풀과 물꼬리풀속) Pogostemon stellatus (Lour.) Kuntze 2025. 9. 15. 제주. 2017년 마지막으로 만난 이후 오랜만의 만남이라 반갑긴 했지만갑자기 쏟아진 비에 물이 불어난 상태라 접근이 어려워서 그림 만들기가 쉽지 않다. 꽃이라는게 찌질하게 붙어 있는 정도라 꽃의 모습이 제대로 나타나지도 않아서 아쉽다. 꼬리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726 https://qweenbee.tistory.com/8886493https://qweenbee.tistory.com/8891312 https://qweenbee.tistory.com/8894457https://qweenbee.tistory.com/8898914 https://qweenbee.tistory.com/8899682 https://qweenbee... 2025. 9. 23. 남방향유(꿀풀과 향유속) Elsholtzia griffithii Hook.f. 2025. 9. 17. 제주. 개인 집에서 지인이 가져 온 씨앗을 싹 튀워 꽃을 피웠다는 남방향유다.이 녀석이 발견되어 발표된지도 한참 되었지 싶은데 의외의 장소에서 식재된 걸 처음 만나게 되었다. 한 쪽으로만 꽃을 피우는 향유와 달리 꽃이 원추형으로 원기둥처럼 뺑 돌아가면서 핀다 가는잎향유 : https://qweenbee.tistory.com/8889144 https://qweenbee.tistory.com/8889078https://qweenbee.tistory.com/8889142 https://qweenbee.tistory.com/8894646https://qweenbee.tistory.com/8896763 https://qweenbee.tistory.com/8898410htt.. 2025. 9. 23. 이전 1 2 3 4 5 6 7 8 ··· 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