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745

대마도식물-우산물통이(쐐기풀과 몽울풀속) Elatostema umbellatum (Siebold & Zucc.) Blume 2025. 10. 8. 대마도. 제주도에서 귀하게 만나던 우산물통이를 가네다성 가는 길에 만났다. 섬공작고사리를 보러 차를 세웠는데 내가 발견한 것이었다. 제주도에서 보던 녀석을 만나니 어찌나 반갑던지. 물통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70 https://qweenbee.tistory.com/8892551https://qweenbee.tistory.com/8894040 https://qweenbee.tistory.com/8898076https://qweenbee.tistory.com/8898335 https://qweenbee.tistory.com/8899782https://qweenbee.tistory.com/8901436 h.. 2025. 10. 10.
작은잎물통이(쐐기풀과 물통이속) Pilea microphylla (L.) Liebm. 2025. 9. 25. 집 주변 보도블럭 틈에 퍼지고 있다는 작은잎물통이마침 사지포 조사 때문에 함께 모일일이 있어서 한 포기 얻었는데먼지같은 씨가 사방으로 마구 퍼지고 있다. 암꽃과 열매(붉은색) 물통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70 https://qweenbee.tistory.com/8892551https://qweenbee.tistory.com/8894040 https://qweenbee.tistory.com/8898076https://qweenbee.tistory.com/8898335 https://qweenbee.tistory.com/8899782https://qweenbee.tistory.com/8901436 htt.. 2025. 10. 10.
참방동사니(사초과 방동사니속) Cyperus iria L. 2025. 10. 6. 동네 앞산. 꽃차례가 전체적으로 노란색을 띠고 작은이삭이 불규칙적으로 달리며,이삭이 전체가 약간 아래로 처지고, 인편 끝의 까락이 매우 짧고 뭉툭하며 젖혀지지 않는다. 방동사니 : https://qweenbee.tistory.com/8912463 푸른방동사니 : https://qweenbee.tistory.com/8896688 https://qweenbee.tistory.com/8904388 https://qweenbee.tistory.com/8905934 https://qweenbee.tistory.com/8909318 https://qweenbee.tistory.com/8909630 흰(서울)방동사니 : h.. 2025. 10. 7.
야고(현삼과 야고속) Aeginetia indica L. 2025. 10. 7. 오메~!! 이 거이 무엇이다요?잣나무 촬영 때문에 산책길 나섰다가 야고 무리에 깜짝 놀랐다.공원에 식재해 놓은 억새 아래 이렇게 야고가 피고 있었다니..... 이 시기에 이곳에 갈 일이 없었으니 야고가 피고 있는 줄 알 리가 있간디. 서울 하늘공원의 야고처럼 꽃받침과 줄기가 붉은색을 띠고 화관도 더 붉은 야고이다. 야고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11 https://qweenbee.tistory.com/8890753 https://qweenbee.tistory.com/8897127 https://qweenbee.tistory.com/8901577 https://qweenbee.tistory.com/8912471 2025. 10. 7.
새며느리밥풀(현삼과 꽃며느리밥풀속)Melampyrum setaceum (Maxim. ex Palib.) Nakai var. nakaianum (Tuyama) T.Yamaz. 2025. 8. 경북. 꽃자루는 매우 짧다. 꽃싸개잎은 난형, 꽃과 같은 색이고, 가장자리에 가시 모양 톱니가 있다. 기본종인 애기며느리밥풀에 비해서 잎은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 폭이 넓어 구분된다 꽃며느리밥풀알며느리밥풀(꽃며느리 변종)수염며느리밥풀(꽃며느리 변종)새며느리밥풀(애기며느리 변종)애기며느리밥풀잎넓은형(좁은 난형)피침형,난상피침형넓은형(난형,좁은난형)길이 3~6cm, 폭 1.5~3.0cm넓은형(난형, 넓은 피침형)길이 3~6cm, 폭 1.0~2.5cm, 끝이 뾰족하고, 밑이 둥글다좁은형(피침형)길이 6-7cm폭 1.0-2.0cm애기며느리밥풀에 비해서 잎은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 폭이 넓다좁은형(선형)길이1.5~8cm,폭 0.2~1.3cm새며느리밥풀에 비해서 좁은 피침형 또는 넓은.. 2025. 10. 7.
꽃며느리밥풀(현삼과 꽃며느리밥풀속) Melampyrum roseum Maxim. 2025. 9. 22. 남도 섬. 남부지역에서 흔히 만나는 며느리밥풀이다. 잎몸이 대개 난형인 점에서 잎몸이 선상 피침형인 애기며느리밥풀류와 구별된다. 꽃며느리밥풀알며느리밥풀(꽃며느리 변종)수염며느리밥풀(꽃며느리 변종)새며느리밥풀(애기며느리 변종)애기며느리밥풀잎넓은형(좁은 난형)피침형,난상피침형넓은형(난형,좁은난형)길이 3~6cm, 폭 1.5~3.0cm넓은형(난형, 넓은 피침형)길이 3~6cm, 폭 1.0~2.5cm, 끝이 뾰족하고, 밑이 둥글다좁은형(피침형)길이 6-7cm폭 1.0-2.0cm애기며느리밥풀에 비해서 잎은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 폭이 넓다좁은형(선형)길이1.5~8cm,폭 0.2~1.3cm새며느리밥풀에 비해서 좁은 피침형 또는 넓은 선형으로서 더욱 가늘다줄기네모, 짧은 털네모, 굽.. 2025. 10. 7.
개솔새(벼과 개솔새속) Cymbopogon goeringii (Steud.) A. Camus 2025. 9. 22 신안. 2025. 9. 29, 소청도. 솔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187 개솔새 : hhttps://qweenbee.tistory.com/8886732 https://qweenbee.tistory.com/8901822 https://qweenbee.tistory.com/8906502 https://qweenbee.tistory.com/8898260https://qweenbee.tistory.com/8904485 https://qweenbee.tistory.com/8905965 https://qweenbee.tistory.com/8912468 솔새와 개솔새 : https://qweenbee.tistory.com/8886.. 2025. 10. 7.
구실개올미(사초과 너도고랭이속) 열매 Scleria levis Retz. 2025. 9. 22. 신안. 출장으로 2주일 만이 다시 섬으로 내려왔다.만나려던 연구사는 갑작스런 일로 저녁 때가 되어야 내려 온단다. 덕분에 주변 식물을 살펴보는 시간을 벌었다. 구실개올미는 열매가 익고 있다.70~90cm 높이 전초가 메우 억세고 강하며 줄기 상반부에 달리는 잎의 엽초는 1~3mm의 날개가 있다. 덕산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8 https://qweenbee.tistory.com/8911481덕산풀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11495 https://qweenbee.tistory.com/8912432 https://qweenbee.tistory.com/8912431 .. 2025. 10. 7.
나도솔새(벼과 나도솔새속) Andropogon virginicus L. 2025. 9. 22. 신안. 잠깐 쉬었던 임시휴게소를 빠져나오다가 차를 멈추었다.나도솔새가 한창 꽃을 피우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제사 생각이 난다.초 겨울 11월에 이곳을 지나다가 누렇게 익은 나도솔새가 도로변을 가득 채우고 있어서 걱정했던 기억이 있었다. 솔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187 개솔새 : hhttps://qweenbee.tistory.com/8886732 https://qweenbee.tistory.com/8901822 https://qweenbee.tistory.com/8906502 https://qweenbee.tistory.com/8898260https://qweenbee.tistory.com/8904485 https://qwe.. 2025. 10. 7.
바랭이새(벼과 바랭이새속)Bothriochloa ischaemum (L.) Keng 2025. 9. 30. 소청도. 장염으로 누워 있다가 사흘만에 겨우 기운차리고 소청도를 떠나는 날 아침 산책길에 만난 녀석이다.아니다 이 녀석 때문에 산책을 하였다. 총상화서는 개방형 5~15개의 화총으로 손바닥모양으로 벌어진다. 총축마디 사이와 소수자루에 백색 도는 자색을 띤 긴 털이 있다. 큰듬성이삭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060 hhttps://qweenbee.tistory.com/8907750 https://qweenbee.tistory.com/8909548 바랭이새 : https://qweenbee.tistory.com/8912465 민바랭이새 : https://qweenbee.tistory.com/8906555.. 2025. 10. 7.
쌀새(벼과 쌀새속) Melica onoei Franch. & Sav. 2025. 8. 25. 소청도. 8월 하순의 소청도 숲을 온통 쌀새가 차지하고 있다.6월 초에 피는 참쌀새, 왕쌀새, 청쌀새에 비하여 늦여름에 피는 녀석이다. 쌀새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83 https://qweenbee.tistory.com/8907773 https://qweenbee.tistory.com/8903022 https://qweenbee.tistory.com/8909298 https://qweenbee.tistory.com/8909517 https://qweenbee.tistory.com/8909298 https://qweenbee.tistory.com/8909970 .. 2025. 10. 5.
방동사니(사초과 방동사니속) Cyperus amuricus Maxim. 2025. 9. 28. 소청도. 방동사니속 녀석들만 만나면 방동사니가 아닐까 들여다 보긴 했지만여적까지 만나지 못하던 녀석을 생각지도 않던 소청도에서 만날 줄이야. 이미 조사되어 표본이 확보된 금방동사니와는 달라 보이는 녀석이라 표본으로 뽑아들었는데뭔가 여태 만난 녀석들과 연결되지 않는 이상함이 있어서 참방동사니라는 동료의 말에 동의하지 못하고돌아가서 도감 펴 놓고 다시 살펴야 봐야겠다고 생각했던 녀석이었다. 집에 돌아와서 건조된 표본을 루뻬로 들여다 보다가 우와~~!! 대박이다~!!! 하고 소리를 질렀다. 비늘조각 끝이 소수보다 길고 밖으로 휘어져 있는 완벽한 방동사니였다.그렇게 만나지 못해서 궁금했던 방동사니라니~~!!!생각지도 않은 만남이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다. 우연한 만남은 감동이 몇 배나 .. 2025. 10. 5.
민탐라풀(꼭두선이과 탐라풀속) Neanotis hirsuta (L.f.) W.H.Lewis var. glabra (Honda) H.Hara 2025. 9. 15. 제주. 제주도에서는 털이 없는 민탐라풀만 보고 꽃받침통에 털이 있는 탐라풀은 보지 못하였는데,9월 초순에 전라도에서 처음 만났다. 백령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0037 https://qweenbee.tistory.com/8900038 https://qweenbee.tistory.com/8900532 https://qweenbee.tistory.com/8901539 (털)백령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9051 https://qweenbee.tistory.com/8888897https://qweenbee.tistory.com/8886554 https://qweenbee... 2025. 10. 5.
송이고랭이(사초과 송이고랭이속) Schoenoplectiella triangulata (Roxb.) J.D.Jung & H.K.Choi 2025. 7. 19. 도청 수로. 올챙이고랭이 : https://qweenbee.tistory.com/8909486 https://qweenbee.tistory.com/8909665 좀올챙이골 : https://qweenbee.tistory.com/8909395 https://qweenbee.tistory.com/8909514 https://qweenbee.tistory.com/8911453 https://qweenbee.tistory.com/8912460좀올챙이골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13 큰고랭이 : http://blog.daum.net/qweenbee/8903980 https://qweenbee.tisto.. 2025. 10. 3.
좀송이고랭이(사초과 송이고랭이속) Schoenoplectiella mucronata (L.) J.Jung & H.K.Choi 2025. 9. 7. 신안. 겨우 두컷.줄기 단면이 정삼각상으로 2~10개의 끝이 둔한 난상 타원형의 소수가 밀집하여 달리고, 포엽은 수과가 익을 때 꺾이는 경향이 있다 땅속줄기는 짧게 뻗는다. 줄기는 모여나고, 단면은 모서리가 예리한 정삼각형이거나 날개가 있다. 고창고랭이와 근연분류군에 대한 검색표1. 지하경은 길게 신장하며, 화서는 1개의 소수가 달린다 ···· ··············································· 제주올챙이골 S. lineolata1. 지하경은 없거나 짧으며, 화서는 1개 이상의 소수가 달린다. 2. 식물체는 대형이고 줄기 단면은 삼각형 한가지만 있다. 3. 줄기 단면은 부등한 삼각형이고 소수 끝이 뾰 족하다 ·············.. 2025. 10.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