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308 매발톱나무(매자나무과) Berberis amurensis Rupr. 2010. 6. 20. 강원도. 강원도 높은 산에는 이미 거의 꽃이 다 지고 자잘한 열매가 맺히고 잇었다.섬매발톱나무와 매자나무와 매발톱나무의 차이점을 아직 공부해 두지 않았다. 언제 함 들여다 봐야겄다.일단 매자나무와 매발톱나무의 차이점을 살펴 보니 잎의 톱니와 열매 모양에서 쉽게 구분이 된다 열매잎 어린 가지 화서 매자나무 6mm 구형 또는 난상 구형불규칙한 톱니, 뒷면 회녹색 적갈색, 가시 0.5~1cm로 매발톱보다 짧다 다소 느슨하고 화경 2~4cm, 소화경 4~6mm 매발톱나무 1cm 타원형(원주형)규칙적인 예리한 톱니, 털이 없음 회황색, 가시 1~2cm 세갈래 화서 길이 10cm 소화경 5~10mm 풍성하다 매발톱나무의 잎의 거치는 매우 예리하고 규칙적이다. 어린 열매는 원통형으로 나.. 2010. 6. 29. 밤나무(참나무과) 암꽃 수꽃 2010. 6. 25. 밤나무 꽃이 피면 별로 호감이 가지 않는 비릿한 냄새가 번진다. 알밤만 구워 먹을 줄 알았지 이 녀석 꽃은 제대로 들여다 본 적이 없다. 도로 옆에 나지막한 눈 높이에 하도 풍성하게 꽃을 피우고 있는 녀석이 발걸음을 잡는다. 헌데......................ㅎㅎ..수꽃만 디립다 담았다. 그래서 오늘 다시 가서 암꽃을 담아 왔다. 꽃은 일가화로서 백색이며 7-8월에 피고 새가지 밑부분의 엽액에서 곧추 자라는 꼬리화서에 많이 달린다. 암꽃은 웅화서 밑부분에서 보통 3개씩 한 군데에 모여 달리고 포로 싸인다. 암꽃이다. 벌써 가시가 폼 잡고 있다. 수꽃이다. 잎에는 파상의 톱니가 있고 17~25쌍의 측맥이 비스듬히 평행하게 달리며 측맥 끝이 침형이고 표면은 털이 없거나 맥 위.. 2010. 6. 29. 개차즈기(꿀풀과) 2010. 6. 25. 뒷산. 용머리가 살고 있는 옆 돌개밭에 개차즈기가 세들어 살고 있었다. 정작 밭 주인인 도라지 보다 셋집 식구가 더 기세 등등하다. 개차즈기가 무리 지어 꽃이 핀 걸 멀리서 보면 청녹색의 분위기가 있어서 농로 안쪽에 있는 개차즈기를 청녹색으로 짐작하고 이 녀석을 찾은 적이 있다. 8월 말이나 되어서야 꽃이 피는데 성질이 엄청 급한 녀석이 있는 모양이다. 꽃을 한 송이 피웠다. 잎은 대생하고 거의 밑부분까지 3-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예두에 예저로된 피침형이고 길이 1-6cm, 폭 2-20mm이며 앞뒷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는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2cm로 좁은 날개가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하늘색이며 줄기나 가지 끝에서 집산화서로 피어 원추화서상으로 배열된다. 꽃받침.. 2010. 6. 29. 좁쌀풀(앵초과) 2010. 6. 25. 뒷산. 좁쌀풀이 한창 개화를 하고 있다. 이 녀석은 주변에서 흔하게 볼수 있는데 꽃 속에 붉은 색이 있는 참좁쌀풀은 만나기 쉽지가 않다. 꽃받침은 5개로 좁은 삼각형에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보다 약간 안쪽에 흑색 선대가 있고 화관열편은 좁은 난형이며 안쪽에 수술대와 더.. 2010. 6. 29. 서양톱풀(국화과) 2010. 6. 25. 뒷산. 용머리를 보고 돌아오는 길섶에 톱풀이 보이길래 차를 세웠다. 설상화에 분홍색이 보이고 잎이 많이 찢어져 있다. 서양톱풀이다. 서양톱풀은 토종의 톱풀에 비하여 잎의 깃이 더 많이 갈라져 있다는 건 아는데 실제로 보기는 처음이다. 집 앞산에서 가을에 만난 서양톱풀 .. 2010. 6. 29. 좀작살나무(마편초과 작살나무속) 2010. 6. 28. 고수부지. 작살나무와 좀작살나무를 구분할 때 잎의 톱니가 1/2 정도니 아니니 왈가 왈부하는데, 잎의 톱니로는 둘을 구분하는 것은 불확실하다. 우선 화서가 붙어 있는 위치와 소지로 구분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되는데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작살나무 : 소지(어린가지)가 .. 2010. 6. 28. 쥐똥나무(물푸레나무과) 2010. 6. 16. 봉정사 숲. 참 이름도 잘 지었다. 까만 열매를 보면 쥐똥처럼 생겼거든. 근데 꽃은 이리도 하얗다. 광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2159 광나무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7187 http://blog.daum.net/qweenbee/8894979 http://blog.daum.net/qweenbee/8896923 광나무 종자 : http://blog.daum.net/qweenbee/.. 2010. 6. 28. 기생초(국화과) 2010. 6. 27. 그리 장마답지 않게 내리던 않던 장맛비가 그치는 일요일 저녁 무렵 낙동강 고수부지는 시원하였다. 강 주변 개발 공사로 어수선한 고수부지에는 기생초 꽃이 무리 지어 장마 뒷 바람에 무심하게 흔들리고... 기생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99505 http://blog.daum.net/qweenbee/8888280 htt.. 2010. 6. 28. 개머루(포도과) 2010. 6. 27. 영덕. 줄기 중간의 잎을 보니 결각이 깊다. 가새잎개머루일까? 제주도와 부산 해안에서 본 가새잎개머루 잎의 결각은 이 녀석과는 차이가 있으니 이 정도는 그냥 개머루로 봐야겠다. 가새잎개머루 까마귀머루 비교 : http://blog.daum.net/qweenbee/8888588 가새잎개머루/왕머루 : http://blog... 2010. 6. 28. 다북개미자리(석죽과 다북개미자리속) 열매 Spergula saginoides L. 2010. 6. 27. 아직 국가표준식물 목록에 검색되지 않는다. 유럽 원산 귀화 식물이다. 꽃이 밤송이처럼 포실포실하게 화서를 이루고 있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만 있단다.카메라를 들이 대어도 수술이 보일 듯 말 듯 할 정도라 처음에는 꽃잎이 다 떨어지고 꽃받침만 남은 줄 알았다.전초가 녹색을 띠고 있고 꽃도 녹색인데, 결실이 되면서 전초가 누렇게 변하는 것 같다. 누렇게 변한 꽃 하나를 떼어서 손가락 사이에 굴려 보니 땡글땡글한 것이 만져진다.닥딱한 과피 속에 종자가 1개씩 들어 있단다. 아무튼 꽃동무 덕분에 재미있는 녀석을 만났다. 꽃자루 거의 없음. 지름 2-3mm, 꽃받침 녹색. 꽃잎 없음. 수술 5개. 암술 1개. 꽃잎이 없으며 꽃받침이 녹색이고 가장자리가 흰색의 막질이다. 잎은 .. 2010. 6. 28. 개정향풀(협죽도과) 2010. 6. 27. 4년 전인가?꽃동무와 함께 이 녀석 보러 멀리 삼척까지 그림지도 한 장 들고 더듬거리면서 찾아 갔던 일이 새롭다.헌데 가까운 개천에 이리도 곱게 피고 있는 줄 알았더라면 그리 고생하지 않아도 되었을 것을.멸종위기종으로 국내에서도 자생지가 몇 곳이 안 된단다. 이 녀석은 목본이 아니라 다년생 초본이다.전년도에 꽃을 피웠던 줄기는 말라 죽고 새 줄기가 돋아 꽃을 피웠다. 암반 위 틈새에 자리 잡아서 그런가. 삼척 아가보다 쪼매 키가 작다.한동안 가물었던 날씨 때문인지 꽃송이가 기운이 없이 비실비실 하다. 꽃은 6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정생하는 원추화서로 달리며 소화경은 꽃받침과 더불어 잔털이 있다.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길이 1.5mm정도로서 가장자리가 백색 막.. 2010. 6. 28. 종둥굴레(백합과) 2010. 6. 20. 강원도 5월 말에 이 곳에서 담았던 종둥굴레다. 고산지대에서 볼 수 있다는데.... 전초가 20cm~30cm이고 잎이 4~5장 길이 7~9cm로 작다. 실제로는 15cm 정도이다. 포가 막질로 포의 맥과 가장자리는 무모이고 낙엽성이다. 소화경의 기부에 포가 달리며 피침형이고 꽃이 개화하면 시들기 .. 2010. 6. 27. 꽃개회나무(물푸레나무과) 2010. 6. 20. 함백산. 함백산은 꽃개회나무로 산 비탈이 온통 불그스름하였다. 꽃개회나무는 잎이 두텁고 큰 편으로 전체가 꼿꼿하게 서며 햇가지 끝에서 꽃이 핀다. 꽃은 6-7월에 피고 새가지 끝의 원추화서에 달리며 화서는 길이 20-30㎝로 털이 있고 소화경은 길이 3㎜이다. 꽃은 연한 홍자.. 2010. 6. 27. 소영도리나무/흰색 소영도리나무(인동과) 2010. 6. 20. 함백산. 너무 흔한 녀석이라서 카메라가 쉽게 그리 돌아가질 않는다. 이 바람 센 산비탈에 하도 깨끗하고 곱게 피었길래 두어 장 담았더니 흰병꽃나무가 또 반겨준다. 소영도리나무 : http://blog.daum.net/qweenbee/8890274 http://blog.daum.net/qweenbee/8893667 http://blog.daum.net/qweenbee/8895672 http://blo.. 2010. 6. 27. 조령으아리(미나리아재비과)? 2010. 6. 26. 그래 맞다. 꽃받침잎이 6장 짜리는 조령으아리였다. 아무리 생각해도 이상타 했다. 작년에 담은 조령으아리를 살피니 무지 풍성하게 꽃을 달고 있었는데 올해는 그 자리에 꽃이 안 보인다. 이 녀석은 원지 동산에서 무덤 가에서 마악 꽃을 피우기 시작하는 녀석이다. 잎이 유난.. 2010. 6. 27. 이전 1 ··· 1537 1538 1539 1540 1541 1542 1543 ··· 16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