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851 산조풀(벼과 산새풀속) Calamagrostis epigejos (L.) Roth 2025. 7. 6. 저수령. 산조풀 : 갯조풀에 비해 꽃차례가 곧추서고 제1포영과 제2포영의 길이가 같으며 윤채가 없고 까락은 호영의 등 쪽 2/3 지점에서 돋지만 호영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산조풀은 소수가 좁은 피침형이며 호영에 까락과 캘러스털이 있다. 갯조풀 : 산조풀에 비하여 화서가 고개를 숙이는 편이며, 두 포영의 길이가 서로 다르고 까락이 호영 끝에 달린다. 갯조풀 2포영이 소수의 2배 정도로 더 길고 뾰족하고 날카로워서 마치 긴 까락처럼 보인다. 실새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9059 https://qweenbee.tistory.com/8886886 https://qweenbee.tistory.com/888688.. 2025. 9. 16. 참죽나무(멀구슬나무과 참죽나무속) Toona sinensis (Juss.) M.Roem. 2025. 7. 6. 경북. 참죽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6119 https://qweenbee.tistory.com/8897758https://qweenbee.tistory.com/8897795 https://qweenbee.tistory.com/8902796 https://qweenbee.tistory.com/8907629 https://qweenbee.tistory.com/8908287https://qweenbee.tistory.com/8909788 https://qweenbee.tistory.com/8912395참죽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6740 https://qweenbee.tis.. 2025. 9. 16. 큰뚝새풀(벼과 뚝새풀속) Alopecurus pratensis L. 2025. 7. 6. 예천 뒷산. 뚝새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0421 https://qweenbee.tistory.com/8907023 https://qweenbee.tistory.com/8907198 https://qweenbee.tistory.com/8911949 큰뚝새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054 https://qweenbee.tistory.com/8907197 https://qweenbee.tistory.com/8907374 https://qweenbee.tistory.com/8907393 https://qweenbee.tist.. 2025. 9. 16. 누운땅빈대(대극과 대극속) Euphorbia prostrata Aiton 2025. 9. 8. 남도. 혹시나 결실이 되고 있을까 했더니 이제 꽃을 피우고 있었다. 열매 능선에만 털이 있다. 그런데 이 녀석이 누워있다는 것에 동의하지 못하겠다.줄기가 오히려 비스듬하게 서 있다 시피 하는 모습이 더 많다. 땅빈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383 https://qweenbee.tistory.com/8886808 https://qweenbee.tistory.com/8896244 https://qweenbee.tistory.com/8897823 https://qweenbee.tistory.com/8900009 https://qweenbee.tistory.com/8901648 https://qweenbee.tistory.co.. 2025. 9. 14. 무망시리아수수새(벼과 수수새속) 2025. 8. 28. 소청도, 소수에 까락이 없어서 무망이다. 수수새 : https://qweenbee.tistory.com/8909605 https://qweenbee.tistory.com/8909606 https://qweenbee.tistory.com/8911470 무망시리아수수새 : https://qweenbee.tistory.com/8912390 2025. 9. 14. 세잎쥐손이(쥐손이풀과 쥐손이풀속) Geranium wilfordii Maxim. 2025. 8. 28. 소청도. 휴전선과 가까운 서해 최북단의 섬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 우리나라 집권 정부에 따라 북한의 포 사격으로 시긴장이 고조되는 지역이다. 소청도에도 해군 부대가 주둔하고 있고 마을 이외 지역의 섬 가장자리 숲에는 지뢰가 있다는 위험 경고 표지가 달린 붉은 깃발을 매단 철망이 둘러쳐져 있다. 민박 집 주인의 말을 들으면 몇 해 전 젊은이들이 접근 금지된 해안에서 올라오다가 폭발 사고로 생명을 잃은 적도 있다고 한다. 이질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750 https://qweenbee.tistory.com/8890668https://qweenbee.tistory.com/8889027 https://qweenbee.tistor.. 2025. 9. 14. 털잎솔나물(꼭두서니과 솔나물속) Galium verum L. var. trachyphyllum Wallr. 2024. 7. 28. 건너 동네. 열매 표면에 털이 없고 줄기와 잎 뒷면에 털이 매우 많다. 열매에 털이 없고 매끈하다 꽃차례 자루와 줄기, 잎 뒷면에 털이 밀생한다 애기솔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82 https://qweenbee.tistory.com/8888555https://qweenbee.tistory.com/8890913 https://qweenbee.tistory.com/8894424 솔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890914 https://qweenbee.tistory.com/8888292https://qweenbee.tistory.com/8896115 https://qweenbee.ti.. 2025. 9. 14. 탐라풀(꼭두서니과 탐라풀속)? Neanotis hirsuta (L.f.) W.H.Lewis 2025. 9. 10. 남도. 몇 걸음의 거리를 두고 같은 장소에 있던 녀석이다.근데 이 녀석은 꽃받침통에 털이 약간 보이는 듯하지만 그렇게 털이 많다고는 할 수 없는 개체이다. 그러면 이 녀석도 탐라풀로 봐야 하나?이 탐라풀 녀석들도 털의 발현이 연속적인 변화가 나타나니 굳이 이란 접두어를 붙인 분류군을 따로 두어야 할까 의문스럽다. 개체 2 개체 1 백령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0037 https://qweenbee.tistory.com/8900038 https://qweenbee.tistory.com/8900532 https://qweenbee.tistory.com/8901539 (털)백령풀 : https://qweenbee... 2025. 9. 14. 탐라풀(꼭두서니과 탐라풀속) Neanotis hirsuta (L.f.) W.H.Lewis 2025. 9. 8. 남도. 어디를 들를까 하다가 돌아오는 길에 백련사에 들렀다. 하늘은 무거운 구름을 짊어지고 잔뜩 찌푸리고 있는데 사찰로 오르는 길은동백나무 숲이 꽉 우거져 있어서 매우 습하였다. 길 옆에는 그 틈새로 들어오는 햇볕을 받아서 작은 풀들이 자라고 있어서좌우를 살피며 올라가는데 탐라풀이 참하게 꽃을 피우고 있다. 제주도에서도 많이 만나본 적 있지만 모두 털이 없는 변종 민탐라풀이었는데이 남도에 자라는 녀석들은 처음 만나는 털이 있는 탐라풀이었다. 백령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0037 https://qweenbee.tistory.com/8900038 https://qweenbee.tistory.com/8900532 ht.. 2025. 9. 14. 큰고랭이(사초과 올챙이고랭이속) Schoenoplectus tabernaemontani (C.C.Gmel.) Palla 2025. 9. 5. 올챙이고랭이 : https://qweenbee.tistory.com/8909486 https://qweenbee.tistory.com/8909665 좀올챙이골 : https://qweenbee.tistory.com/8909395 https://qweenbee.tistory.com/8909514 https://qweenbee.tistory.com/8911453좀올챙이골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13 큰고랭이 : http://blog.daum.net/qweenbee/8903980 https://qweenbee.tistory.com/8908893 https://qweenbee.ti.. 2025. 9. 14. 물수세미(개미탑과 물수세미속) Myriophyllum verticillatum L. 2025. 9. 10. 강원도. 몇 년 전 강원도 강릉 주변 석호 습지에서 어렵게 만났던 녀석이라두번 째 만남이 무척 반가웠는데......... 물수세미속 녀석들을 좀 제대로 파헤쳐 봐야 할 것 같다. 물수세미 Myriophyllum verticillatum L. 긴동아물수세미 Myriophyllum oguraense Miki 선물수세미 Myriophyllum ussuriense (Regel) Maxim. 이삭물수세미 Myriophyllum spicatum L. 앵무새깃물수세미 Myriophyllum aquaticum (Vell.) Verdc. 물수세미긴동아물수세미선물수세미 암수한그루꽃이 잎겨드랑이에 하나만 달림 암수한그루꽃이 잎겨드랑이에 하나만 달림암수딴그루(간혹 한그루)동아곤봉형 길이 2... 2025. 9. 14. 좀어리연꽃(조름나물과 어리연꽃속) Nymphoides coreana (H.Lév.) H.Hara 2025. 9. 10. 강원도. 호습성식물들은 정오가 넘어가면 꽃잎이 오그라드는 경우가 많아서 시간을 놓쳐버리면 헛걸음이 된다.이 녀석도 야생화 그룹의 번개 탐사 때 함께 했다가 뒷북치기로 허탕을 쳐서 다시 먼길을 달려 갔다. 어리연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0516 https://qweenbee.tistory.com/8892305https://qweenbee.tistory.com/8888533 https://qweenbee.tistory.com/8896792https://qweenbee.tistory.com/8901459 https://qweenbee.tistory.com/8907679https://qweenbee.tistory.com/8909321.. 2025. 9. 13. 유홍초(메꽃과 유홍초속) Quamoclit pennata (Desr.) Bojer 2024. 10. 14. 군위. 돌담과 어우러진 유홍초의 새깃 잎이 무척 이쁘다. 나팔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1303 https://qweenbee.tistory.com/8887047 https://qweenbee.tistory.com/8905804 https://qweenbee.tistory.com/8905858 https://qweenbee.tistory.com/8906130 https://qweenbee.tistory.com/8911315나팔꽃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7803 갈래잎나팔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12401 둥.. 2025. 9. 13. 둥근잎유홍초(메꽃과 유홍초속) Quamoclit coccinea (L.) Moench 2024. 11. 5. 동네. 콩밭인지 유홍초 밭인지..... 나팔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1303 https://qweenbee.tistory.com/8887047 https://qweenbee.tistory.com/8905804 https://qweenbee.tistory.com/8905858 https://qweenbee.tistory.com/8906130 https://qweenbee.tistory.com/8911315나팔꽃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7803 둥근잎나팔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5249 https://qw.. 2025. 9. 13. 병아리다리(원지과 원지속)Salomonia ciliata (L.) DC. 2025. 9. 7. 남도의 섬. 워낙 작은 녀석이라 눈에 잘 띄지 않지만 쪼그리고 앉아서 눈 높이를 낮추면작은 풀들 사이에 병아리 눈섶같은 열매와 빨간 꽃이 보인다. 원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31 https://qweenbee.tistory.com/8888104https://qweenbee.tistory.com/8888103 https://qweenbee.tistory.com/8890024https://qweenbee.tistory.com/8890190 https://qweenbee.tistory.com/8891797https://qweenbee.tistory.com/8893755 https://qweenbee.tistory.com/8.. 2025. 9. 13.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17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