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858 마름(마름과 마름속) Trapa japonica Flerow 2025. 9. 6. 동네. 무더위가 아직도 용을 쓰고 물러날 생각이 없다. 습지나 하천에 나가면 땀을 흠뻑 덮어 써야하기에 선뜻 나서기가 쉽지 않다. 아침 이른 시간에 가면 꽃잎을 열지 않은 녀석들이 있기에 발걸음 시간을 좀 늦추면 숨이 턱에 받친다.결국 1시가 넘어서 집에 들어오자 말자 찬물부터 덮어썼다. 마름 : https://qweenbee.tistory.com/8894331 https://qweenbee.tistory.com/8886673 https://qweenbee.tistory.com/8912354마름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7074 마름/애기마름 : https://qweenbee.tistory.com/888850.. 2025. 9. 8. 남개연꽃(수련과 개연꽃속) Nuphar pumila var. ozeense (Miki) H. Hara 2025. 9. 6. 동네. 작은 물통에 조름나무과 함ㅁ께 한창 꽃을 피우고 있다.벌써 열매도 많이 달려 있는데 주변 바위 위에 수달의 짓으로 보이는 열매 껍질의 잔해가 소복하게 올려져 있다.이 하천 위쪽에 인공적으로 만들어 놓은 연못이 있는데 인적드문 시간에 수달이 돌아다니는 것을 본 적이 있다. 그 녀석은 하천물이 흘러드는 큰 못인 호민지에서도 먹이 사냥으로 자맥질을 하는 것을 가끔 마주치곤 했기에 이 하천에서 남개연 열매를 야미야미한 녀석이 그 녀석 말고는 범인을 추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근데 수달이 물고기 같은 육류만 섭취할텐데.... 어리연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0516 https://qweenbee.tistory.com/8892305https:.. 2025. 9. 8. 어리연꽃(조름나물과 어리연꽃속) Nymphoides indica (L.) Kuntze 2025. 9. 아침 시간에 갑자기 이 물통이가 생각이 나서 주섬주섬 카메라를 챙겨들고 도랑으로 나갔다.애기마름이 꽃을 피울 것 같아서. 도청 신도시를 건설할 때 기존 물도랑을 잘 조경하여 중간 중간 물통이를 만들어 놓았는데 부들과 달뿌리풀이 너무 번성하여서 점차 침수성 식물들의 자리가 좁아지긴 하지만그래도 꽃을 볼 수 있을 정도는 된다. 우선 먼저 눈에 띄는게 7월 보다 더 풍성하게 개화한 남개연꽃과 어리연꽃이었다. 어리연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0516 https://qweenbee.tistory.com/8892305https://qweenbee.tistory.com/8888533 https://qweenbee.tistory.com/8896792ht.. 2025. 9. 8. 백두산식물 -들떡쑥(국화과 솜다리속) Leontopodium leontopodioides (Willd.) Beauverd 2025. 6. 5. 백두산 화룡. 지난해 5월에 이곳에 들르려고 했지만 길 공사로 도로가 통제되어서 가 보지 못했던 장소이다,6년 전에도 와 본 자리라 산세가 눈에 익다. 바위솜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44 https://qweenbee.tistory.com/8890167 https://qweenbee.tistory.com/8891837 https://qweenbee.tistory.com/8892026 https://qweenbee.tistory.com/8892030 https://qweenbee.tistory.com/8894406 https://qweenbee.tistory.com/8895574 https://qweenbee.tistory... 2025. 9. 7. 다북떡쑥(국화과 다북떡쑥속) Anaphalis sinica Hance 2025. 8. 31. 강원도. 동해안. 오래 전에 보던 자리는 숲이 우거지면서 많이 도퇴되어 몊 포기만 남아 있었는데 전에는 보지 못한 자리에 터를 잡아서 넓게 번식하여 있었다. 원래 그자리에 있었는지 아니면 누군가의 손에 의하여 볕이 잘 드는 곳으로 이주를 했는지는 모르겠다.최근에 여기저기 인위적으로 옮겨 심는 몇 몇 아마추어들이 있어서식물의 자생 생태에 혼란을 주는 경우가 최근 들어서 꽤 나타나는 것 같다. 줄기에 날개가 없는데 그래서 산떡쑥이라 고들 하는 모양인데내가 일본에서 만났던 산떡쑥은 화서와 총포에서 많이 다르다. 바위솜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44 https://qweenbee.tistory.com/8890167 https://qweenb.. 2025. 9. 7. 들통발(통발과 통발속) 열매와 거의 털 Utricularia aurea Lour. 2025. 8. 31. 동해안. 경남 이북의 연목이나 석호에 드물게 자란다.꽃부리 바깥과 거에 털이 있고 열매에 숙존하는 긴 암술대가 있다. 꽃부리 바깥과 거의 털 열매에 남아 있는 암술대가 길다 끈끈이귀개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69 https://qweenbee.tistory.com/8893721https://qweenbee.tistory.com/8894108 https://qweenbee.tistory.com/8900924https://qweenbee.tistory.com/8905416 https://qweenbee.tistory.com/8905417 https://qweenbee.tistory.com/8908847 https://qwe.. 2025. 9. 7. 들통발(통발과 통발속) Utricularia aurea Lour. 2025. 8. 31. 일행들을 뒤쫓아 왔더니 몇 년 전 석호에서 사초속 살피느라고 방문 했던 자리다.가을에 와 보지 않아서 이 곳에 들통발이 있는 줄도 몰랐다. 열매가 많이 달린다. 끈끈이귀개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69 https://qweenbee.tistory.com/8893721https://qweenbee.tistory.com/8894108 https://qweenbee.tistory.com/8900924https://qweenbee.tistory.com/8905416 https://qweenbee.tistory.com/8905417 https://qweenbee.tistory.com/8908847 https://qweenbee.ti.. 2025. 9. 7. 도라지모시대(초롱꽃과 잔대속) Adenophora grandiflora Nakai 2025. 8. 31. 강원도. 꽃가지가 갈라지지 않는 녀석으로 모시대와 구분하였는데 자라는 환경에 따라 꽃가지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어서 모시대에 통합하여 보는 추세이다. 섬잔대 : https://qweenbee.tistory.com/8899878 https://qweenbee.tistory.com/8901522 https://qweenbee.tistory.com/8901573 가야산잔대 :https://qweenbee.tistory.com/8886686 https://qweenbee.tistory.com/8899742 층층잔대 : https://qweenbee.tistory.com/8889113 https://qweenbee.tistory.com/88890.. 2025. 9. 7. 금강초롱꽃(초롱꽃과 금초롱꽃속)Hanabusaya asiatica (Nakai) Nakai 2025. 8. 31. 강원도. 번개로 만난 회원들과 함께 두번 째 장소에서 만난 금강초롱이다.7~8년 전 이 곳을 한 번 방문한 적이 있는데 들어가는 입구가 영 색각이 나지 않았다. 한 곳에서 흰색의 금강초롱 무리를 만났는데다들 흰색이라고 좋아들 하지만 금강초롱꽃은 역시 짙은 청보라색이 더 이쁘다. 초롱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7090 https://qweenbee.tistory.com/8899477https://qweenbee.tistory.com/8900187 https://qweenbee.tistory.com/8900390https://qweenbee.tistory.com/8901202 https://qweenbee.tistory.com/.. 2025. 9. 7. 금강초롱꽃(초롱꽃과 금강초롱꽃속)Hanabusaya asiatica (Nakai) Nakai 2025. 8. 23. 강원도. 소청도에서 나온 이튿날 페북 번개 탐사에 합류하여서 곰배령 계곡이란 곳을 처음 갔다.모인 회원 14명 중 여러 차례 만난 얼굴도 있고 처음 만나는 얼굴도 있었지만모두 반갑게 인사를 나누었다. 장화를 장착한 덕분에 계곡의 금강초롱 촬영에 큰 걱정은 없었는데 시기가 약간 늦은 듯 했다. 곰배령 계곡의 금강초롱은 완벽한 흰색도 아니도 색이 바랜 느낌의 연한색이었다. 초롱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7090 https://qweenbee.tistory.com/8899477https://qweenbee.tistory.com/8900187 https://qweenbee.tistory.com/8900390https://qweenbee... 2025. 9. 5. 호비수리(콩과 비수리속) Lespedeza davurica (Laxm.) Schindl. 2025. 8. 23. 꽃받침 열편이 바늘처럼 가늘고 열매보다 훨씬 긴 게 특징이다. 비수리 :https://qweenbee.tistory.com/8890791 https://qweenbee.tistory.com/8886378https://qweenbee.tistory.com/8906292 https://qweenbee.tistory.com/8900355https://qweenbee.tistory.com/8904639 https://qweenbee.tistory.com/8906292https://qweenbee.tistory.com/8907845 비수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0154 https://qweenbee.tistory.com/89.. 2025. 9. 5. 날개카나리새풀(벼과 카나리새풀) 소수 2021. 6. 7. 남도의 섬. 바로 직전 해에 발표가 되었던 걸 모르고 미기록인 줄 알고 아주 신이 났던 녀석이다. 카나리새풀 :애기카나리새풀 : https://blog.daum.net/qweenbee/8907247날개카나리새풀 : https://blog.daum.net/qweenbee/8907246 https://qweenbee.tistory.com/8912340 갈풀 : https://blog.daum.net/qweenbee/8907361 https://blog.daum.net/qweenbee/8906468 https://blog.daum.net/qweenbee/8897830 https://blog.daum.net/qweenbee/8907362 .. 2025. 9. 5. 몽골식물-좀골담초(콩과 골담초속) Caragana microphylla Lam. 2023. 7. 2. 마지막숙영지 참골담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33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1 https://qweenbee.tistory.com/8891317 https://qweenbee.tistory.com/8898246https://qweenbee.tistory.com/8899582 https://qweenbee.tistory.com/8902644 https://qweenbee.tistory.com/8908073 https://qweenbee.tistory.com/8908783참골담초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 2025. 9. 3. 몽골식물 -애기골풀(골풀과 골풀속) Juncus bufonius L. 2025. 8. 4. 몽골. 테를지국립공원 주변 습지와 3번째 숙영지 주변 작은 하천에서 만난 녀석이다.국내에도 석호와 대구의 습지에서 드물게 보이는 녀석이라 더 반갑다. 2025. 8. 3. 테를지습원에서 2025. 9. 2. 백두산식물 -녹연변족도리풀(쥐방울덩굴과 족도리풀속) Asarumyeonbyeonense var. viridiluteolum (Y. Lee) M. Kim & S. So 2024. 5. 12. 중국 송강하. 백두산 위에 눈이 내려서 북백두 산문이 개방되지 않았다.산문 안으로 들어가지 못한 관광객이 산문밖에 몰리는 바람에 몇 안되는 식당이 북새통이라. 대기로 인하여 점심식사가 늦어지는데 우리들은 탱큐이다.그 시각에 주변 숲을 어정거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곳에서 봤던 연두색 족도리풀의 정체를 밝히지 않고 팽개쳐 두었다가 이제사 정리한다.2010.12 식물분류학회지에 소순구외 3인이 발표했던 연변족도리풀이었던 것이다.백두산 주변에서 족도리풀속의 1신종인 연변족도리풀(Asarum yeonbyeonense M. Kim & S. So)을 새로이 발견하여 기재하였다. 연변족도리풀은 엽병에 털이 있고 꽃받침 열편이 뒤로 젖혀져 서울족도리풀이나 만주족도리풀과 매우 유사하나, 꽃받침 .. 2025. 9. 1.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17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