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851 물꼬리풀(꿀풀과 물꼬리풀속) Pogostemon stellatus (Lour.) Kuntze 2025. 9. 15. 제주. 2017년 마지막으로 만난 이후 오랜만의 만남이라 반갑긴 했지만갑자기 쏟아진 비에 물이 불어난 상태라 접근이 어려워서 그림 만들기가 쉽지 않다. 꽃이라는게 찌질하게 붙어 있는 정도라 꽃의 모습이 제대로 나타나지도 않아서 아쉽다. 꼬리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726 https://qweenbee.tistory.com/8886493https://qweenbee.tistory.com/8891312 https://qweenbee.tistory.com/8894457https://qweenbee.tistory.com/8898914 https://qweenbee.tistory.com/8899682 https://qweenbee... 2025. 9. 23. 남방향유(꿀풀과 향유속) Elsholtzia griffithii Hook.f. 2025. 9. 17. 제주. 개인 집에서 지인이 가져 온 씨앗을 싹 튀워 꽃을 피웠다는 남방향유다.이 녀석이 발견되어 발표된지도 한참 되었지 싶은데 의외의 장소에서 식재된 걸 처음 만나게 되었다. 한 쪽으로만 꽃을 피우는 향유와 달리 꽃이 원추형으로 원기둥처럼 뺑 돌아가면서 핀다 가는잎향유 : https://qweenbee.tistory.com/8889144 https://qweenbee.tistory.com/8889078https://qweenbee.tistory.com/8889142 https://qweenbee.tistory.com/8894646https://qweenbee.tistory.com/8896763 https://qweenbee.tistory.com/8898410htt.. 2025. 9. 23. 붉은하늘타리(박과 하늘타리속) 꽃 Trichosanthes cucumeroides (Ser.) Maxim. 2025. 9. 17. 어두워지기 전에 꽃이 필 봉오리를 확인하니 세 송이 밖에 없다. ㅠㅠ.시기가 너무 늦은 것 같다. 그래도 확인하고 싶어서 저녁 식사를 하고 바닷물에 발 담그고 시간을 보냈다.바닷물에 발 담그어 본 기억이 언제였던가? 기억도 없다. 8시 가까운 시각에 현장에 갔지만 높은 위치에 꽃이 핀데다가 후레쉬를 비추어도 촬영하기 쉽지 않다.길다란 화관 아래 자방이 달려 있는 암꽃이다. 어둡기 전에 촬영한 봉오리 상태 열매가 몇 개 달려 있다. 뿌리 가까운 줄기 잎은 결각이 꽤 깊은 형태도 나타난다 왕과 수꽃: https://qweenbee.tistory.com/8890385 https://qweenbee.tistory.com/8894167https://qweenbee.tistory.co.. 2025. 9. 23. 털장구채(석죽과 장구채속) 2025. 8. 20. 경북. 끈끈이장구채 : https://qweenbee.tistory.com/8888581 https://qweenbee.tistory.com/8888471https://qweenbee.tistory.com/8888216 https://qweenbee.tistory.com/8886414https://qweenbee.tistory.com/8892362 https://qweenbee.tistory.com/8892361https://qweenbee.tistory.com/8894684 https://qweenbee.tistory.com/8894685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0 https://qweenbee.tistory... 2025. 9. 23. 금방망이 새싹(국화과 금방망이속) Senecio nemorensis L. 2025. 7. 1. 소청도 조사. 금방망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0783 https://qweenbee.tistory.com/8888551https://qweenbee.tistory.com/8894405 https://qweenbee.tistory.com/8899876https://qweenbee.tistory.com/8901280 https://qweenbee.tistory.com/8898874 (몽골)https://qweenbee.tistory.com/8904275 https://qweenbee.tistory.com/8904895 (백두)https://qweenbee.tistory.com/8912331 금방망이 새싹 : http.. 2025. 9. 22. 꼬리풀(현삼과 꼬리풀속) Pseudolysimachion linariifolium (Pallas ex Link) Holub 2025. 8. 27. 서해 섬. 6월에 이 녀석 싹을 보고 무척 궁금해했던 녀석이다. 그 녀석이 꼬리풀이었을 줄이야. 꼬리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726 https://qweenbee.tistory.com/8886493https://qweenbee.tistory.com/8891312 https://qweenbee.tistory.com/8894457https://qweenbee.tistory.com/8898914 https://qweenbee.tistory.com/8899682 https://qweenbee.tistory.com/8909172 섬꼬리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3864 https://qwee.. 2025. 9. 21. 이대(벼과 이대속) Pseudosasa japonica (Siebold & Zucc. ex Steud.) Makino ex Nakai 2025. 7. 소청도. 조릿대 : https://qweenbee.tistory.com/8895994 https://qweenbee.tistory.com/8898593https://qweenbee.tistory.com/8899570 https://qweenbee.tistory.com/8906612https://qweenbee.tistory.com/8907943 해장죽속? : https://qweenbee.tistory.com/8897485(꽃) 이대 : https://qweenbee.tistory.com/8898655 https://qweenbee.tistory.com/8906611 https://qweenbee.tistory.com/8906682 https://.. 2025. 9. 21. 누운기장대풀(벼과 기장대풀속) Isachne nipponensis Ohwi 2025. 9. 17. 제주. 사흘 째 되는 날에서 누운기장대풀을 만났다.다행하게도 비가 오지 않고 꽃이 핀 모습을 담을 수 있엇다.제주의 계곡부 습한 숲길이나 산지 습지에서 볼 수 있다.10cm 정도의 소형으로 벋는 줄기 마디마다 뿌리를 내린다. 기장대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435 https://qweenbee.tistory.com/8888567 https://qweenbee.tistory.com/8886304 https://qweenbee.tistory.com/8890422 https://qweenbee.tistory.com/8906525 누운기장대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 2025. 9. 21. 잔디바랭이 (벼과 잔디바랭이속) Dimeria ornithopoda Trin. 2025. 9. 18. 제주 습지. 습지 바닥을 가득 채우고 있던 녀석이다.제대로 관찰할 여유가 없어서 화서만 디립다 찍어 왔다. 이 녀석의 정체를 찾아 보는데 시간이 엄청 들었다. 결국 갯바랭이, 민바랭이새나 나도바랭이새, 잔디바랭이 쪽 까지 접근했는데화축이 매끈하고 까락이 발달하지 않고 있다. 나중에 자세히 보니 호영에 짧은 까락이 있다 원본의 화서를 살피다가 포영이 벌어져서 칼 모양을 이루고 있는 것을 보고도감에 1장의 사진이 첨부되어 있는 갯바랭이로 동정을 하였더니 포영 용골의 날개가 관건이었다. 이 녀석은 포영 용골의 날개가 보이지 않는 것 같다 결국은 잔디바랭이로 봐야 할 것 같다잔디바랭이 : Dimeria ornithopoda Trin. 습지와 산록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 2025. 9. 21. 털조릿대풀(벼과 조릿대풀속) Lophatherum gracile Brongn. 2025. 9. 17. 제주. 조릿대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2581 https://qweenbee.tistory.com/8898169 https://qweenbee.tistory.com/8906528 조릿대풀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4691 https://qweenbee.tistory.com/8904628 털조릿대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8170 https://qweenbee.tistory.com/8912416 2025. 9. 21. 조개풀 (벼과 조개풀속) Arthraxon hispidus (Thunb.) Makino 2025. 9. 18. 제주 습지. 화서만 몇 장 퍽샷으로 날렸다. 주름조개풀 :https://qweenbee.tistory.com/8888959 https://qweenbee.tistory.com/8886465https://qweenbee.tistory.com/8898573 https://qweenbee.tistory.com/8912523 민주름조개풀: https://qweenbee.tistory.com/8886956 애기주름조개풀 :가지주름조개풀 :*********************************************************************조개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9674 https://qweenbee.ti.. 2025. 9. 21. 붉은골풀아재비(사초과 골풀아재비속) Rhynchospora rubra (Lour.) Makino 2025. 9. 7. 신안. 고양이수염 : https://qweenbee.tistory.com/8906363 https://qweenbee.tistory.com/8907477 https://qweenbee.tistory.com/8909575 https://qweenbee.tistory.com/8912412고양이수염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77 https://qweenbee.tistory.com/8911498 좀고양이수염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76 골풀아재비 : https://qweenbee.tistory.com/8904536 https://qweenbee.tist.. 2025. 9. 21. 고양이수염(사초과 골풀아재비속) Rhynchospora chinensis Nees & Meyen 2029. 9. 7. 남도. 고양이수염 : https://qweenbee.tistory.com/8906363 https://qweenbee.tistory.com/8907477 https://qweenbee.tistory.com/8909575 https://qweenbee.tistory.com/8912412고양이수염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77 https://qweenbee.tistory.com/8911498 좀고양이수염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76 골풀아재비 : https://qweenbee.tistory.com/8904536 https://qweenbee.tist.. 2025. 9. 21. 쇠풀(벼과 쇠풀속) Schizachyrium brevifolium (Sw.) Nees ex Büse 2025. 9. 16.동네. 기억력이 많이 떨어졌다.이름이 생각나지 않아서 끙끙거리다가 결국 도감을 펼쳤다 쇠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7940 https://qweenbee.tistory.com/8909510 https://qweenbee.tistory.com/8909550 https://qweenbee.tistory.com/8912261 https://qweenbee.tistory.com/8912411쇠풀 어린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7661 https://qweenbee.tistory.com/8907672 https://qweenbee.ti.. 2025. 9. 21. 좀네모골(사초과 바늘골속) Eleocharis wichurae Boeckeler 2025. 9. 18. 제주. 처음 가본 습지. 초지는 온통 바늘골속 녀석으로 융단을 깔아 놓았다.바늘골 중에서는 소수가 꽤 큰변이라 도감을 확인하니 좀네모골이다. 줄기를 만질 때 약간의 능각이 느껴졌었는데, 도감에 희미하게나마 능각이 있다는 내용과 일치한다. 남방개 : 제주도에 자생올방개 : https://qweenbee.tistory.com/8909344갯바늘골 :쇠털골 : https://qweenbee.tistory.com/8909341좀네모골 : https://qweenbee.tistory.com/8912410바늘골 :참바늘골 : 올방개아재비 : https://qweenbee.tistory.com/8908875 (?)까락골 : https://qweenbee.tistory.com/8909672물꼬.. 2025. 9. 21.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17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