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853 주름전동싸리(콩과 전동싸리속) Melilotus officinalis (L.) Lam. 2025. 7. 16. 강원도. 싸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4389 https://qweenbee.tistory.com/8896251 https://qweenbee.tistory.com/8894390싸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7139 참싸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8890 https://qweenbee.tistory.com/8887305https://qweenbee.tistory.com/8894637 https://qweenbee.tistory.com/8896207 https://qweenbee.tistory.com/890331 https://qweenbee... 2025. 9. 10. 주름전동싸리(콩과 전동싸리속) 열매 Melilotus officinalis (L.) Lam. 2025. 8. 23. 여태 전동싸리로 알려졌던 녀석이 열매에 주름이 있는 주름전동싸리로 밝혀진지도 한참 되었다. 싸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4389 https://qweenbee.tistory.com/8896251 https://qweenbee.tistory.com/8894390싸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7139 참싸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8890 https://qweenbee.tistory.com/8887305https://qweenbee.tistory.com/8894637 https://qweenbee.tistory.com/8896207 https:/.. 2025. 9. 10. 숲개밀(벼과 숲개밀속) Brachypodium sylvaticum (Huds.) P.Beauv. 2025. 8. 27. 소청도. 식물상조사를 하다가 섬 전체에 흔하게 나타나는 이 녀석을 보고 어떤 녀석일까 무척 궁금했었다.개밀 쪽 같은데 처음 만나는 녀석이었기 때문이다. 확인을 위하여 벼과 도감 두 권을 펴고 살펴 보니사진이 자세하지는 않지만 전초 모습의 사진과 기재문을 보니 녀석이 확실하다.그렇게 보고싶어 하던 숲개밀이라 확인하는 순간 야호를 불렀다. 현장에서 루뻬를 들고 소수를 자세하게 살펴 보고 정밀 사진도 촬영해 두었기에 금방 확인이 가능하였다 높이 40~80cm이다. 마디는 4~5개이고 마디에 짧은 털이 있다. 총(raceme)은 한 개이며 길이 1㎜ 정도의 짧은 자루가 있는 5~12개의 소수가 배열되어 길이 7~13㎝, 가늘고 끝이 아래로 휜다.소수는 길이 15~30㎜, 5~14개의 소.. 2025. 9. 10. 참배암차즈기(꿀풀과 배암차즈기속) Salvia chanryoenica Nakai 2025. 8. 31. 강원도. 이 녀석도 더위에 지쳐서 독이 가득 오른 모양이다. 큰 입을 벌리고 금방이라도 물어 버릴 듯이 공격 준비 완료이다. 둥근배암차즈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92209 https://qweenbee.tistory.com/8892210https://qweenbee.tistory.com/8892565 https://qweenbee.tistory.com/8894380 https://qweenbee.tistory.com/8898038 https://qweenbee.tistory.com/8907575 https://qweenbee.tistory.com/8911184둥근배암차즈기 신초 : https://qweenbee.tis.. 2025. 9. 10. 산당근(산형과 당근속) Daucus carota L. 2025. 7. 13. 집. 오래 전 이 녀석 씨앗이 집에 묻어 들어와서 꽃이 피는 걸 보고 그냥 두었다가텃밭과 마당 가장자리를 점령하다 시피하여 그 녀석 제거하느라고 몇 년을 고생 한 적이 잇엇는데 그 게 5~6년 전인데 용케도 살아 남은 녀석이 있었는지 아니면 묻혀 있던 종자가 몇 년 후에 싹이 텄는지는 모르겟다. 작년에 싹만 한 포기 보이길래 모른 척 해 주었더니 올해 풍성하게 꽃을 피웠다.종자가 결실될 때 까지 그냥 두면 또 몇 년 전쟁을 치루어야 할텐데 그냥 두나 말아야 하나 고민 중이다. 줄기는 1개 이상으로 대부분 분지한다. 총포편은 20-40개이고, 우상으로 갈린다. 소화경은 20-30개. 산당근 : https://qweenbee.tistory.com/8892767 https://.. 2025. 9. 9. 함백취(국화과 취나물속) Saussurea albifolia M. J. Nam & H. T. Im 2025. 7. 16. 강원도. 내 이름을 달고 있는 내 아그라 더 정이 가고 안부를 묻게 되는 함박취.이제 꽃대를 올리고 있다. 큰각시취: https://qweenbee.tistory.com/8888951 https://qweenbee.tistory.com/8894248 https://qweenbee.tistory.com/8894502 https://qweenbee.tistory.com/8904908 https://qweenbee.tistory.com/8896617 https://qweenbee.tistory.com/8899824 https://qweenbee.tistory.com/8901569큰각시취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6큰각.. 2025. 9. 9. 백운취(국화과 취나물속) Saussurea insularis Kitam. 2025. 8. 20. 경북. 개화가 시작되지 전에는 은분취와 구분이 어려운 녀석이다백운취는 개화가 시작되면 잎 뒷면의 백색털이 점차 사라지기 시작한다. 백색 거미줄 털이 사라지기 시작하고 있다.큰각시취: https://qweenbee.tistory.com/8888951 https://qweenbee.tistory.com/8894248 https://qweenbee.tistory.com/8894502 https://qweenbee.tistory.com/8904908 https://qweenbee.tistory.com/8896617 https://qweenbee.tistory.com/8899824 https://qweenbee.tistory.com/8901569큰각시취 신초 : ht.. 2025. 9. 9. 은분취(국화과 취나물속) Saussurea gracilis Maxim. 2025. 8. 31. 강원도. 옆형은 타원상 삼각형 또는 삼각형이다. 잎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화살 모양, 심장 모양 또는 검 모양이다. 엽질이 두텁고 잎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에는 솜털이 밀생하며 백색이다. 총포에 거미줄 같은 백색털이 있다. 큰각시취: https://qweenbee.tistory.com/8888951 https://qweenbee.tistory.com/8894248 https://qweenbee.tistory.com/8894502 https://qweenbee.tistory.com/8904908 https://qweenbee.tistory.com/8896617 https://qweenbee.tistory.com/8899824 https://qweenbee.tis.. 2025. 9. 9. 물질경이(자라풀과 물질경이속) Ottelia alismoides (L.) Pers. 2025. 9. 6. 동네. 여기서 물질경이를 본 적 있는데 싶어서 수변천 풀들 사이 물통을 뒤지는데 그렇지!!큰 다라이 보다 조금 더 큰 작은 물통에 물질경이가 한 가득이다. ㅎㅎ 블러그를 뒤져 보니 3년 전 10월 중순에 이 자리에서 녀석을 담은 적이 있었다. 가는잎물질경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1 물질경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89092 https://qweenbee.tistory.com/8890737https://qweenbee.tistory.com/8892844 https://qweenbee.tistory.com/8898145https://qweenbee.tistory.com/8901464 ht.. 2025. 9. 8. 애기마름(마름과 마름속) Trapa incisa Siebold & Zucc. 2025. 9. 6. 동네. 내 작은 물통이 보물창고에 애기 마름이 꽃을 피웠다.가까이 있다고 쳐다보지도 않고 멀리만 싸돌아 댕겼는데 여적 욘석 꽃을 본 지도 10년이 넘었다는 생각에 아침 시간 물통이를 찾았다.마름에 비해서 잎과 꽃이 작으며, 엽병과 꽃받침, 꽃자루에 털이 없고, 열매에 뿔이 4개이다. 붉은색 은은한 꽃이 쬐깐해서 꽃이 핀 걸 찾기도 쉽지 않다. 마름열매와 달리 열매 아래쪽에 자루 방향으로 뿔이 하나 더 있다. 마름 : https://qweenbee.tistory.com/8894331 https://qweenbee.tistory.com/8886673 https://qweenbee.tistory.com/8912354마름 열매 : https://qweenbe.. 2025. 9. 8. 마름(마름과 마름속) Trapa japonica Flerow 2025. 9. 6. 동네. 무더위가 아직도 용을 쓰고 물러날 생각이 없다. 습지나 하천에 나가면 땀을 흠뻑 덮어 써야하기에 선뜻 나서기가 쉽지 않다. 아침 이른 시간에 가면 꽃잎을 열지 않은 녀석들이 있기에 발걸음 시간을 좀 늦추면 숨이 턱에 받친다.결국 1시가 넘어서 집에 들어오자 말자 찬물부터 덮어썼다. 마름 : https://qweenbee.tistory.com/8894331 https://qweenbee.tistory.com/8886673 https://qweenbee.tistory.com/8912354마름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7074 마름/애기마름 : https://qweenbee.tistory.com/888850.. 2025. 9. 8. 남개연꽃(수련과 개연꽃속) Nuphar pumila var. ozeense (Miki) H. Hara 2025. 9. 6. 동네. 작은 물통에 조름나무과 함ㅁ께 한창 꽃을 피우고 있다.벌써 열매도 많이 달려 있는데 주변 바위 위에 수달의 짓으로 보이는 열매 껍질의 잔해가 소복하게 올려져 있다.이 하천 위쪽에 인공적으로 만들어 놓은 연못이 있는데 인적드문 시간에 수달이 돌아다니는 것을 본 적이 있다. 그 녀석은 하천물이 흘러드는 큰 못인 호민지에서도 먹이 사냥으로 자맥질을 하는 것을 가끔 마주치곤 했기에 이 하천에서 남개연 열매를 야미야미한 녀석이 그 녀석 말고는 범인을 추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근데 수달이 물고기 같은 육류만 섭취할텐데.... 어리연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0516 https://qweenbee.tistory.com/8892305https:.. 2025. 9. 8. 어리연꽃(조름나물과 어리연꽃속) Nymphoides indica (L.) Kuntze 2025. 9. 아침 시간에 갑자기 이 물통이가 생각이 나서 주섬주섬 카메라를 챙겨들고 도랑으로 나갔다.애기마름이 꽃을 피울 것 같아서. 도청 신도시를 건설할 때 기존 물도랑을 잘 조경하여 중간 중간 물통이를 만들어 놓았는데 부들과 달뿌리풀이 너무 번성하여서 점차 침수성 식물들의 자리가 좁아지긴 하지만그래도 꽃을 볼 수 있을 정도는 된다. 우선 먼저 눈에 띄는게 7월 보다 더 풍성하게 개화한 남개연꽃과 어리연꽃이었다. 어리연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0516 https://qweenbee.tistory.com/8892305https://qweenbee.tistory.com/8888533 https://qweenbee.tistory.com/8896792ht.. 2025. 9. 8. 백두산식물 -들떡쑥(국화과 솜다리속) Leontopodium leontopodioides (Willd.) Beauverd 2025. 6. 5. 백두산 화룡. 지난해 5월에 이곳에 들르려고 했지만 길 공사로 도로가 통제되어서 가 보지 못했던 장소이다,6년 전에도 와 본 자리라 산세가 눈에 익다. 바위솜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44 https://qweenbee.tistory.com/8890167 https://qweenbee.tistory.com/8891837 https://qweenbee.tistory.com/8892026 https://qweenbee.tistory.com/8892030 https://qweenbee.tistory.com/8894406 https://qweenbee.tistory.com/8895574 https://qweenbee.tistory... 2025. 9. 7. 다북떡쑥(국화과 다북떡쑥속) Anaphalis sinica Hance 2025. 8. 31. 강원도. 동해안. 오래 전에 보던 자리는 숲이 우거지면서 많이 도퇴되어 몊 포기만 남아 있었는데 전에는 보지 못한 자리에 터를 잡아서 넓게 번식하여 있었다. 원래 그자리에 있었는지 아니면 누군가의 손에 의하여 볕이 잘 드는 곳으로 이주를 했는지는 모르겠다.최근에 여기저기 인위적으로 옮겨 심는 몇 몇 아마추어들이 있어서식물의 자생 생태에 혼란을 주는 경우가 최근 들어서 꽤 나타나는 것 같다. 줄기에 날개가 없는데 그래서 산떡쑥이라 고들 하는 모양인데내가 일본에서 만났던 산떡쑥은 화서와 총포에서 많이 다르다. 바위솜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44 https://qweenbee.tistory.com/8890167 https://qweenb.. 2025. 9. 7.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17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