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854

유홍초(메꽃과 유홍초속) Quamoclit pennata (Desr.) Bojer 2024. 10. 14. 군위. 돌담과 어우러진 유홍초의 새깃 잎이 무척 이쁘다. 나팔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1303 https://qweenbee.tistory.com/8887047 https://qweenbee.tistory.com/8905804 https://qweenbee.tistory.com/8905858 https://qweenbee.tistory.com/8906130 https://qweenbee.tistory.com/8911315나팔꽃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7803 갈래잎나팔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12401 둥.. 2025. 9. 13.
둥근잎유홍초(메꽃과 유홍초속) Quamoclit coccinea (L.) Moench 2024. 11. 5. 동네. 콩밭인지 유홍초 밭인지..... 나팔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1303 https://qweenbee.tistory.com/8887047 https://qweenbee.tistory.com/8905804 https://qweenbee.tistory.com/8905858 https://qweenbee.tistory.com/8906130 https://qweenbee.tistory.com/8911315나팔꽃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7803 둥근잎나팔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5249 https://qw.. 2025. 9. 13.
병아리다리(원지과 원지속)Salomonia ciliata (L.) DC. 2025. 9. 7. 남도의 섬. 워낙 작은 녀석이라 눈에 잘 띄지 않지만 쪼그리고 앉아서 눈 높이를 낮추면작은 풀들 사이에 병아리 눈섶같은 열매와 빨간 꽃이 보인다. 원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31 https://qweenbee.tistory.com/8888104https://qweenbee.tistory.com/8888103 https://qweenbee.tistory.com/8890024https://qweenbee.tistory.com/8890190 https://qweenbee.tistory.com/8891797https://qweenbee.tistory.com/8893755 https://qweenbee.tistory.com/8.. 2025. 9. 13.
너도방동사니(사초과 방동사니속) Cyperus serotinus Rottb. 2025. 8. 31. 강원도. 강릉이 가뭄으로 절수를 한다고 연일 뉴스에 오르내리고 있다.동해안의 석호 습지도 물이 다 말라 버렸다. 마지막 웅덩이에 수생식물들이 숨을 헐떡이고 있는데그래도 다음 세대를 위한 개화가 진행되고 있어서 사람들의 왕래가 잦아지고 있다. 수년 전 봄날에 새방울사초를 보려고 들렀던 습지였는데이 시기에 들러본 적이 없어서 관심을 끄는 녀석들이 살고 있는 줄 잘 몰랐었다. 너도방동사니가 숲을 이루고 있다. 여태 봤던 녀석들 보다 키도 엄청 크다. 벌써 종자가 다 빠져 나간 듯. 방동사니 : https://qweenbee.tistory.com/8912463 푸른방동사니 : https://qweenbee.tistory.com/8896688 https://qweenbee.tist.. 2025. 9. 13.
털여뀌(마디풀과 여뀌속)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2025. 8. 31. 강원도. 노인장대라 불리던 여뀌 가족 중에서도 덩치가 가장 큰 녀석으로 붉은색 꽃이 풍성하고 화려하다. 쪽 :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6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7 https://qweenbee.tistory.com/8907771 흰여뀌(명아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4324 https://qweenbee.tistory.com/8888847https://qweenbee.tistory.com/8886859 https://qweenbee.tistory.com/8888851 https://qweenbee.tistory.com/88906.. 2025. 9. 11.
미꾸리낚시/긴미꾸리낚시/좁은잎미꾸리낚시/넓은잎미꾸리낚시/나도미꾸리낚시 비교 미꾸리낚시미꾸리낚시긴미꾸리낚시긴미꾸리낚시 좁은잎미꾸리낚시좁은잎미꾸리낚시넓은잎미꾸리낚시 넓은잎미꾸리낚시 나도미꾸리낚시나도미꾸리낚시 쪽 :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6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7 https://qweenbee.tistory.com/8907771 흰여뀌(명아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4324 https://qweenbee.tistory.com/8888847https://qweenbee.tistory.com/8886859 https://qweenbee.tistory.com/8888851 https://qweenbee.tistory.com/889.. 2025. 9. 11.
기생여뀌(마디풀과 여뀌속) Persicaria viscosa (Buch.-Ham. ex D.Don) H.Gross ex T.Mori 2025. 8. 31. 강원도. 가늘고 긴 줄기 끝에 달린 짧은 붉은색 꽃이 기생의 가느다란 허리를 연상시켰을까?헌데 이 녀석 털은 장난이 아니다. 정작 털여뀌란 이름을 가진 녀석보다 더 털보이다. 2025. 9. 10. 강원도. 쪽 :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6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7 https://qweenbee.tistory.com/8907771 흰여뀌(명아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4324 https://qweenbee.tistory.com/8888847https://qweenbee.tistory.com/8886859 https://qwee.. 2025. 9. 11.
긴미꾸리낚시(마디풀과 여뀌속) Persicaria hastatosagittata (Makino) Nakai ex T.Mori 2025. 9. 10. 강원도. 저지대나 물기가 많은 냇가 주변의 그늘진 곳에서 키가 80cm쯤으로 자라는 한해살이풀로, 잎이 난상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고 좁으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화살밑처럼 되며 길이 6~11㎝ 정도로서 열편 끝이 뾰족하고 양면에 털이 없다. 쪽 :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6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7 https://qweenbee.tistory.com/8907771 흰여뀌(명아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4324 https://qweenbee.tistory.com/8888847https://qweenbee.tistory.co.. 2025. 9. 11.
흰꽃여뀌(마디풀과 여뀌속) Persicaria japonica (Meisn.) Nakai ex Ohki 2025. 9. 7. 남도. 너른 들 논 도랑 옆에 흰여뀌 녀석이 한창 곱게 꽃을 피우고 있어서 잠시 차를 세웠다. 쪽 :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6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7 https://qweenbee.tistory.com/8907771 흰여뀌(명아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4324 https://qweenbee.tistory.com/8888847https://qweenbee.tistory.com/8886859 https://qweenbee.tistory.com/8888851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4 .. 2025. 9. 11.
껄끔방동사니(사초과 방동사니속) Cyperus diaphanus Schrad. ex Roem. & Schult. 2025. 9. 7. 남도. 흐미~~!!!! 이 녀석 껄끔이를 드렁으로 둔갑시킬 뻔 했다.아직 내가 만나보지 못한 녀석인 줄도 모르고.... 잎은 줄기 아랫부분에만 달리고 줄기에 3열로 어긋나며 줄기보다 짧다. 잎의 너비는 1.5~2.5mm이다. 전체 꽃차례는 줄기 끝에 달리고, 2~4개의 가지에 작은이삭이 달린다. 방동사니 : https://qweenbee.tistory.com/8912463 푸른방동사니 : https://qweenbee.tistory.com/8896688 https://qweenbee.tistory.com/8904388 https://qweenbee.tistory.com/8905934 https://qweenbee.tistory.com/8909318 .. 2025. 9. 11.
모기방동사니(사초과 방동사니속) Cyperus haspan L. 2025. 9. 7. 남도. 같은 속 이웃 녀석들에 비하여 소수가 작은 게 모기란 이름을 붙일만 하다.지하경에서 마디마다 줄기를 올린다. 2025. 9. 10. 강원도 양양. 방동사니 : https://qweenbee.tistory.com/8912463 푸른방동사니 : https://qweenbee.tistory.com/8896688 https://qweenbee.tistory.com/8904388 https://qweenbee.tistory.com/8905934 https://qweenbee.tistory.com/8909318 https://qweenbee.tistory.com/8909630 흰(서울)방동사니 : https://qwe.. 2025. 9. 11.
어른지기(사초과 하늘지기속) Fimbristylis complanata (Retz.) Link f. exaltata T.Koyama 2025. 9. 7. 남도. 남부지방 초지나 임도 주변, 언덕 등 축축한 속에서 흔히 볼 수 있다.포엽은 2~4개로 화서보다 훨씬 짧다.단순형, 복합형 인상 화서, 소수에 5~13개의 소화가 달린다. 하늘지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88872 https://qweenbee.tistory.com/8896690 https://qweenbee.tistory.com/8909632 https://qweenbee.tistory.com/8911381바람하늘지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96691 https://qweenbee.tistory.com/8909629 https://qweenbee.t.. 2025. 9. 11.
바람개비하늘지기(사초과 하늘지기속) Fimbristylis fimbristyloides (F.Muell.) Druce 2025. 9. 7. 남도. 부슬거리는 빗줄기에 우산을 펼쳐들고서 해안 습지를 헤치고 다니니장화를 장착했지만 바짓가랑이가 후줄근하다. 오락가락 비오는 날이 덜 덥기는 해도 등 줄기에 촉촉하게 베인 땀은 속일 수가 없다.이마에 동여맨 손수건도 축축하게 젖어 버렸다. 그래도 아무도 오지 않으니 맘 껏 탐사할 수 있어서 좋다.이 녀석 어설픈 줄기를 촬영하는데는 폰이 제일이다. 하늘지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88872 https://qweenbee.tistory.com/8896690 https://qweenbee.tistory.com/8909632 https://qweenbee.tistory.com/8911381바람하늘지기 : https://qw.. 2025. 9. 11.
바람개비하늘지기(사초과 하늘지기속) Fimbristylis fimbristyloides (F.Muell.) Druce 2025. 9. 7. 남도. 매년 누렇게 마를 때 쯤 내려가서 바람개비 돌아가는 모습을 제대로 ㄷ담은 적이 없었다.올해는 제 때에 내려 가 봐야겠다고 하던 차에 꽃동무가 다녀온 사진을 올린 걸 보고 새벽에 짐 꾸려서 달렸다.4 시간이 넘는 천리길을 달려서 다른 습지보다 먼저 이 곳에 들렀다. 올해는 비가 적절하게 와준 덕분인지 아주 풍성하게 바람개비를 돌리고 있었다. 개화 후기로 갈수록 바람개비 돌아가는 모습이 풀려 버린다. 하늘지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88872 https://qweenbee.tistory.com/8896690 https://qweenbee.tistory.com/8909632 https://qweenbee.tistory.. 2025. 9. 11.
서덜취(국화과 취나물속) Saussurea grandifolia Maxim. 2025. 8. 31. 강원도. 큰각시취: https://qweenbee.tistory.com/8888951 https://qweenbee.tistory.com/8894248 https://qweenbee.tistory.com/8894502 https://qweenbee.tistory.com/8904908 https://qweenbee.tistory.com/8896617 https://qweenbee.tistory.com/8899824 https://qweenbee.tistory.com/8901569큰각시취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6큰각시취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7032 각시취 : https.. 2025. 9.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