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5.11. 고령.
우히~! 이 번에 꽃을 담는 거 성공이다.
꽃을 담으려고 애를 쓴 게 아니라 담다가 보니 그런대로 잘 잡힌 녀석이 나왔다. 황소 뒷걸음질에 개구리 잡은 격이다. ㅎㅎ
대구에서 처음 발견이 되어서 <대구>란 이름을 얻게 된 녀석이다.
하지만 제주도에도 안동에도 큰 저수지 가장자리 뻘이 있는 습지나 논에서 발견이 된다.
제초제를 치지 않은 논바닥에서 눈을 가지끈 크게 뜨고 찾으면 찾을 수 있다.
모내기를 하지 위하여 논 바닥을 갈아 엎어 버리면 허사가 되는데 이미 이 곳도 거의 대부분 논을 갈아 엎어서 하마터면 늦을 뻔 하였다.
꽃받침은 깊게 4개로 갈라지며 꽃잎은 4개이고 난형이며 길이 1.5mm로서 백색이다.
4개의 수술은 꽃잎보다 짧으며 자방 밑에 선상의 인편이 4개 있고 자방은 4개로서 서로 떨어져 있다.
대구돌나물 꽃이다.
골돌 열매는 4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속에 10개의 종자가 들어 있으며 종자는 긴 타원형이다.
바닥에 보이는 황갈색의 점들이 이 녀석의 종자이다
진흙풀 : http://blog.daum.net/qweenbee/8892815
물별이끼 : http://blog.daum.net/qweenbee/8892058 http://blog.daum.net/qweenbee/8893586
http://blog.daum.net/qweenbee/8895662
물벼룩이자리 : http://blog.daum.net/qweenbee/8890929 http://blog.daum.net/qweenbee/8892056
http://blog.daum.net/qweenbee/8891330 http://blog.daum.net/qweenbee/8892834
물벼룩이자리/물별이끼 : http://blog.daum.net/qweenbee/8890094
물벼룩이자리/물별에 대한 분석 : http://blog.daum.net/qweenbee/8891330
대구돌나물 : http://blog.daum.net/qweenbee/8890093 http://blog.daum.net/qweenbee/8892057
http://blog.daum.net/qweenbee/8893585 http://blog.daum.net/qweenbee/8895661
'들꽃자료실 > 야생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모초(현삼과 개불알풀속) (0) | 2014.05.13 |
---|---|
물별이끼(별이끼과 별이끼속) (0) | 2014.05.12 |
산새콩(콩과 연리초속) (0) | 2014.05.12 |
갯활량나물(콩과 갯활량나물속) (0) | 2014.05.12 |
갯장대(십자화과) (0) | 2014.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