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4973

왕머루(포도과) 2009. 11. 6. 학교 뒷산. 와우~! 야생의 머루 열매가 뒷산에서 이렇게 익고 있었다니....한 번도 올라 보지 않았으니 뭐 할 말이 없다만.머루인지 왕머루인지 모르겠다. 찔레 덩굴 엉겨 있는 곳에 까만 열매가 보이길래 댕댕이덩굴이려니 했는데먹음직스럽게 잘 익은 머루 열매다. 탱글탱글한 머루 알이 햇볕을 받아서 반짝거리고 있었다. 이화령에서 담은 왕머루는 수그루라서 열매를 구경할 수 없었는데, 이렇게 가까이 암그루가 있으니 내년에 부지런히 문안 여쭈여야겄제.근데 이 찔레덩굴을 어케 처리한디야? 사진에 담는데도 마구 앙탈을 부려서 여기 저기 많이도 할퀴었다. 2009. 11. 8.
하수오(마디풀과) 열매 2009. 10. 31. 집 주변. 가을 내도록 하수오 꽃 화사하던 담 너머에 이젠 하얀 수과 열매가 바람따라 대롱거리고 있다. 아버지 살아 계실적 재배하던 약초밭에서 몇 뿌리 떨어져 나왔던 하수오가 매년 하얗게 꽃을 피워준다. 열매에는 3개의 날개가 있으며 꽃받침으로 싸여서 길이 7~8mm쯤 된다.. 2009. 11. 7.
꼭두서니(꼭두서니과) 열매 2009. 10. 동네. 꼭두서니 열매가 이렇게 이쁜 줄 몰랐다. 냇가 버드나무를 타고 오르는 꼭두서니 열매가 저녁 기우는 햇살에 곱기도 하다. 닭의덩굴이 심심한지 꼭두서니한테 매달려서 칭얼거리고 있다. 선갈퀴속> 선갈퀴 : http://blog.daum.net/qweenbee/8890155 http://blog.daum.net/qweenbee/8893021 갈퀴.. 2009. 11. 7.
산국(국화과) 2009. 11. 6. 올해 처음으로 산국을 담았나? 흔하다 보니 별로 담으려 하지 않았는데가을 막바지라 그냥 보내기 아쉬워서 몇 장면 담았다.감국에 비하여 꽃송이 수가 많고 줄기에 분백색이 강하다. 물론 분백색이 없는 경우도 있다. 꽃의 크기는 감국이 더 크다.아래 표는 일반적인 특징이나 꼭 그렇지 않는 경우도 있다.감국산국혀꽃이 가운데 통상화 지름과 길이가 비슷하거나 길다혀꽃이 짧고 통상화 지름보다 대부분 짧다.500원 동전 크기 정도 50원짜리 동전 크기 정도꽃송이가 엉성하게 달린다 꽃송이가 빡빡하게 달린다.잎의 톱니가 그리 날카로운 느낌이 아니다.잎의 톱니가 날카롭고 줄기나 잎에 희뿌연 빛이 강하다.                 설상화(꽃잎)가 통상화 지름보다 더 길고 꽃송이가 엉성하게 달린다.산.. 2009. 11. 7.
두충(두충과) 열매 2009. 11. 6. 뒷산. 한 때 두충나무가 소득을 올려 줄거라면서 집집마다 빈 터만 있으면 많이들 심었다. 일부 나무 껍질을 한약재나 가공 차 재료로 팔리기도 했지만 지금은 천덕꾸러기가 되어 자리만 차지하고 있다. 산사 아래 커다란 두충나무가 납작한 열매를 달고 있다. 이 녀석은 암수딴.. 2009. 11. 7.
긴오이풀(장미과) 2009. 11. 6. 뒷산. 처음으로 뒷산에 있는 산사에 올랐다. 헌데?  약간 습한 곳에 딱 한 포기 잎이 좁고 길쭉한 오이풀.내 이 녀석 보고싶어 강원도 산정 습지를 헤매야 하나 안달했었는데 여기 뒷산에 살고 있었다니? 분명 오이풀은 아니다. 잎이 길쭉한 게 긴오이풀이나 가는오이풀로 보이는데 일단 가는오이풀 쪽으로 이름 붙인다.아우~~! 올 여름에 한 번이라도 와 볼 걸 그랬지. 내년까지 어떻게 기다린디야?                  오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6638    https://qweenbee.tistory.com/8892762https://qweenbee.tistory.com/8901346 구슬오이풀 : https://qweenbee.tist.. 2009. 11. 6.
두 시간의 가을 산책(산국/머루/민청가시덩굴/용담/두충나무/떡쑥/긴오이풀 2009. 11. 6. 학교뒷산. 출근 길에 늘 올려다 보는 뒷산 정수리에 옥산사가 앉아 있다. 한 번은 가 봐야제 하고 벼르던 게 오늘이 되었다. 점심을 일찍 해결하고 걷기 편한 차림으로 갖춘 후 대문을 나선다. 운동장에는 양버즘나무 낙엽이 가득 깔려 있다. 너무 넓은 운동장이라 쓸어도 끝이 없을 뿐더러 낙.. 2009. 11. 6.
큰비짜루국화/비짜루국화 비짜루국화 큰비짜루국화 잎 선상 피침형 밑동이 약간 줄기를 싸고 가장자리는 파상으로 된다. 선형 줄기 아래쪽의 잎은 좁은 장타원형 아랫쪽 잎은 1-4㎝ 길이의 잎자루가 있다. 가지에 달리는 잎은 송곳모양이다. 꽃 설상화 흰색 관상화는 노란색 혀꽃의 수가 적다 관모는 화관통보다 길다. 설상.. 2009. 11. 6.
미국가막사리/가막사리 미국가막사리 가막사리 짧은 설상화가 있다. 설상화는 없고 통상화만 있다. 편편한 길이 6~7mm의 수과이고, 끝에 2개의 가시 모양의 관모에 밑을 향한 털이 있다. 수과는 길이 7-11mm, 나비 2-2.5mm, 가장자리와 능선 위에 거꾸로된 가시털 있음. 관모는 완전한 것 2개와 불완전한 것 1-2개가 있으며 거꾸로된 가시털이 있다. 가막사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6900 https://qweenbee.tistory.com/8895246 https://qweenbee.tistory.com/8900392 https://qweenbee.tistory.com/8889005 https://qweenbee.tistory.com/8903304 https://qweenbee... 2009. 11. 5.
바위솔(돌나물과) 2009. 111.1. 부산. 딱 한 포기, 딱 한 장. ㅎㅎ 2009. 11. 5.
돌가시나무(제주찔레) 2009. 11. 1. 부산. 열매가 달린 모습으로 봐서 의 산방화서는 아니겠고,열매 끝에 남아 있는 암술대에 털과 총상화서로 보아서  이다.이 녀석은 과경(화경)에 선모가 안 보인다.  황금산에 있는 녀석도 같은 녀석 같은데 잎이 작고 반들거리며열매 모양이 갸름한 모양이고 화경(과경)에 선모가 있다. 용가시나무는 돌가시나무와 비슷하다던데....         2009. 9. 황금산의 돌가시나무(용가시나무형)이 언덕 위의 녀석은 이렇게 열매가 타원형으로 길쭉하다.과경(화경)에 선모가 있다. 열매가 달린 모습으로 봐서 화서가 총상화서다.       생열귀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14  https://qweenbee.tistory.com/8892013https.. 2009. 11. 4.
월동초 모음 3(달맞이꽃/봄맞이꽃/애기똥풀/민들레/배암차즈기) 달맞이꽃 봄맞이꽃 애기똥풀 민들레 배암차즈기 2009. 1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