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4973 전호(산형과) 2009. 5. 5. 영양. 산형과 식물은 무척 종류가 많아서 웬만하면 알려고 못하는데,전호는 꽃모양이 특징이 있어서 그마나 쉽게 알 수 가 있다. 꽃은 백색이고 5~6월에 피며 복산형화서로 가장자리의 것이 가장 크고 소산화서는 5-12개이며 털이 없고길이 3-4cm로서 끝에 10여개의 꽃이 달리며 총포가 없다. 소총포는 5-12개이고 길이 3-8mm로서 뒤로 젖혀지며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소화경 윗부분에 짧은 털이 있다. 화관은 소형이고 꽃잎은 5개이며 도란형이고 바깥 것 1개가 특히 크며수술은 5개이고 짧으며 암술대가 2개로 갈라져서 밖으로 굽는다.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고 삼각형이며 2-3회 3출하며 열편은 난형으로 다시 우상 중렬하고 길이 20-50cm로서중렬편은 장타원형으로 .. 2009. 11. 20. 가시오갈피(두릅나무과) 2009. 5. 3. 태백. 5월에 대성이를 찾으러 태백가까이 갔다가 계곡을 무작정 뒤지다가 만난 녀석이다. 이 가시오갈피도 약이 된다고 하여 남아나질 않으니 만나기도 쉽지는 않단다. 강원도 모 산 정상에 매년 눈맞춤하던 마지막 땃두릅나무도 영원히 사라지는 판이니 인간의 욕심으로 하나 .. 2009. 11. 19. 맨드라미 2009. 11. 6. 학교 동네 맨드라미를 보면 기지떡이 생각난다. 어릴 적 추석만 되면 지금은 증편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우는 안동기지떡을 집에서 쪘다. 그 때 빨간 맨드라미 꽃과 잎은 기지떡 위에 장식처럼 꽃무늬를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 맨드라미 꽃은 수탉의 벼슬처럼 생겼는데 여름부터 .. 2009. 11. 15. 좀딱취를 찾아서(천선과/갯고들빼기/보리밥나무/여우콩/우묵사스레피/해국 2009. 11. 1. "좀딱취가 피었던데요. 둥근바위솔 다음 주로 미루고 부산 가시더." ㅁㅈ님의 블러그에 올라온 좀딱취를 보고 때를 놓칠까 안달이 나서 계획을 바꾸자고 쪽지를 날렸다. 일기예보는 걱정스러웠지만 남쪽이라 분명히 비가 오지 않을거란 신념같은 확신이 드는 건 왜일까? 저녁 .. 2009. 11. 11. 가막사리/미국가막사리(국화과 도깨비바늘속) 종자 2009. 10. 31. 동네. 가막사리 미국가막사리 가막사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6900 https://qweenbee.tistory.com/8895246 https://qweenbee.tistory.com/8900392 https://qweenbee.tistory.com/8889005 https://qweenbee.tistory.com/8903304 https://qweenbee.tistory.com/8904842 가막사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0473 가막사리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0430 구와가막사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29.. 2009. 11. 11. 회나무/참회나무/나래회나무/회잎나무/화살나무/회목나무 노박덩굴과 회나무 가계도 헷갈리는 집안이다. 주로 열매와 꽃잎 수로 구분하면 쉽다. 꽃 열매 수피 4수성 5수성 회나무 ○ 5갈래 얕은 날개 매끈하고 피목 있음 참회나무 ○ 5갈래 날개 없음 매끈하고 피목 없음 나래회나무 ○ 4갈래, 큰 날개 거칠고 피목 있음 참빗살나무 ○ 4.. 2009. 11. 11. 지치/반디지치/모래지치/참꽃마리/당개지치/개지치 지치 반디지치 모래지치 참꽃마리 당개지치 개지치 지치 : http://blog.daum.net/qweenbee/8890042 http://blog.daum.net/qweenbee/8888142 http://blog.daum.net/qweenbee/8888061 http://blog.daum.net/qweenbee/8888243 https://blog.daum.net/qweenbee/8907245 지치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2279 http://blog.daum.net/qweenbee/8892744 http://blog.daum.net/qweenbee/8895919 http://blog.daum.net/qweenbee/8896428 http://blog.dau.. 2009. 11. 10. 열매 모음 : 쥐방울덩굴/더덕/마 2009. 12. 26. 쥐방울덩굴 열매가 낙하산 날개를 서서히 펴고 있다. 씨앗뿌린지 3년만에 열매를 달고 새식구를 늘리고 있다. 2009. 11.8 마당에 쥐방울덩굴, 참마, 더덕 열매들이 가을 비를 맞고 있다. 2009. 11. 9. 푼지나무(노박덩굴과) 2009. 11. 1. 토요일이다. 마 축제 개막식에 참석한 후 달리 갈 곳도 없고 곧 바로 퇴근하는데, 길가에 은행나무를 통째로 접수한 푼지나무가 빨간 열매를 가득 달고 있다. 맨날 다니면서도 몰랐는데 잎이 다 떨어지고 열매 껍질이 터지니 그제서야 눈에 들어 온다. 잎은 호생하며 넓은 타원.. 2009. 11. 9. 가침박달(장미과) 열매 2009. 11. 8. 비오는 일요일이라 달리 나갈 데도 미땅 찮고 마당에 있는 열매들이나 담아 본다. 가침박달나무 열매는 오각으로 능각이져 있어서 열매도 꽃처럼 예술적이다. 가침박달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3670 가침박달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8368 http://blog.daum.net/qweenbee/8887216 2009. 11. 8. 가을비 내리는 일요일 2009. 11. 8. 일요일 휴일에 딱 맞춰 가을비가 추절추절 내린다. 둥근바위솔 담으려고 동해안에 나가려고 벼르고 있었는데 이눔의 심술 고약한 하늘이 밉살스럽기 짝이 없다. 오전 내도록 이곳 저곳 카페에 들락거리다가 카메라를 들고 마당으로 나간다. 대문 앞 감나무에 알감이 몇개 대롱대롱 거린다. .. 2009. 11. 8. 열매 모음 (노박덩굴/푼지나무/까마귀밥나무) 2009. 11. 7. <노박덩굴> 퇴근길은 어슬렁 거리는게 일상이 되었다. 내 차 뒤에 따라오는 사람들은 알짱거리면서 차량 흐름을 방해하는 내 차 뒤꼭지에 욕 꽤나 했을 거다. 가끔 오가는 동네 주민들 봉고 트럭이나 경운기, 봉정사를 오가는 차량들 정도로 한적한 시골 길이라 차량 통행이 뜸해서 다행.. 2009. 11. 8. 이전 1 ···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 20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