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식물/울릉도 식물428 서양개보리뺑이(국화과 서양개보리뺑이속) 2012. 8. 17. 울릉도. 작년에 울릉도에서 이 녀석을 만나서 이름을 찾지 못하여 한참 헤멨던 녀석이다. 귀화식물인데 근생엽은 우상의 결각이 있고 꽃은 뽀리뱅이처럼 자잘한 모습에 줄기 아래쪽에는 흰털이 밀생하고 꽃가지가 많이 생성하고 화서는 매끈한 재미있는 녀석이다 1년생 초본으로 줄기는 높이 20-1`20cm로 자르면 유즙이 나온다 유럽 원산으로 경기 안산의 수인산업도로변과 울릉도에서 자란다. 꽃은 6-9월에 피며 지름 5-10mm의 황색 두상화가 산방상으로 가지 끝에 달린다. 총포는 원통형이며 외편은 극히 짧고 내편은 선형으로 6-8개이다. 설상화는 8-15개로 황색이다 설상화는 8-15개로 황색이다 잎은 호생이고 아랫쪽잎은 난형으로 우상 중열되며 경생엽은 파상거치가 있고, 윗쪽 잎은 피침형으로.. 2012. 8. 27. 섬자리공(자리공과) 2012. 8. 17. 사동. 검은 자색의 열매가 떨어지고 남은 붉은 꽃받침이 꽃처럼 보인다. 섬자리공의 존재가 자리공과 특별히 다른 점이 없네 있네 하며 여러 가지 이야기가 있는 모양인데... 자리공 : 화서가 짧다. 열매가 익어도 직립, 화피 열편 5장, 수술 8개, 열매 8분과, 전국 분포 섬자리공 : .. 2012. 8. 27. 황금(꿀풀과 골무꽃속) 2012. 8. 17. 울릉도. 주로 약초로 재배를 많이 하였는데 가출한 녀석들이 야생에서 자라는 경우가 많이 있다. 속썩은풀이라는 다른 이름도 가지고 있는데 높이가 60cm에 달하며 전체에 털이 있고 원줄기는 네모가 지며 한 군데에서 여러 대가 나오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곧게 서거나 비스.. 2012. 8. 27. 구슬꽃나무(꼭두선이과) 2012. 8. 17. 울릉도. 원래 제주도 한라산 계곡부에 자생하는 녀석이다. 헌데 울릉도 농업기술지원센터 식물원에 몇 그루 심겨져 있다, 제주에 여러 차례 다녀 왔어도 개화 시기를 맞추지 못하여 꽃봉오리까지만 보고 왔었는데 엉뚱한 울릉도에서 제대로 핀 구슬꽃나무 꽃을 담았다. 동그란 .. 2012. 8. 27. 물엉겅퀴(국화과 엉겅퀴속) Cirsium nipponicum (Maxim.) Makino 2012. 8. 17. 사동. 울릉도 둘째 날 독도 일정에서 벗어나서 나리분지에 가기 위해서 혼자 움직였다.숙소 근처에 엉겅퀴를 닮은 장대한 크기의 녀석이 보라색 꽃을 피어 있다. 물엉겅퀴라 한다. 몇 장을 담고 버스를 기다리는데 농업기술센터까지 태워주겠다는 고마운 현지 분을 만났다. 미국에서 살다가 들어와서 울릉도 자연에 반해서 눌러 앉았다는 그 분은 임성규라 이름을 알려 주었는데나비의 섬이란 소설을 곧 탈고할 예정이라 한다. 정선의 고려엉겅퀴처럼 울릉도에서는 이 물엉겅퀴 어린 싹을 나물로 이용하는데나리분지에서는 물엉겅퀴를 밭에 재배를 하는 모습도 보였다 꽃은 8~11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두상화는 지름 2.5~3cm로서 꽃이 필 때 처지며 화경이 있다.화관은 길이 16~20mm이다. 총포는 종형이.. 2012. 8. 26. 섬바디(산형과 당귀속) 2012. 8. 17. 나리분지. 성인봉으로 오르는 숲 아래 산형과 한 종류가 피어 있다. 해안 주변 숲의 섬바디는 벌써 열매를 맺고 잎도 거의 사그러 졌던데.... 이 녀석이 묏미나리일까 싶지만 총포가 없고 소총포도 선형이라 아닌 듯하다. 아무래도 섬바디로 봐야 할 것 같다. 섬바디 화서는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달리며 지름 20cm이고 총포가 거의 없으며 산경은 길이 6.5-10cm로서 털이 없다. 소포는 가늘고 10~20개씩이며 길이 18mm로서 소산경보다 길고 꽃잎은 5장이다. 어린 열매에는 2개의 긴 암술대가 남아 있다. 총포는 없지만 선형의 긴 소총포가 많다. 묏미나리는 피침형의 총포가 있는데 이 녀석은 총포가 없다. 섬바디가 아닐까 의심을 하는데 섬바디는 총포가 없거나 드물게 있기도 하고 산.. 2012. 8. 26. 섬모시풀(쐐기풀과 모시풀속) Boehmeria nivea var. tenacissima (Gaudich.) Miq. 2012. 8. 16. 도동. 도동 해안 숲 등산로 주변에는 섬모시풀이 많이 서식을 하고 있다모시풀속 녀석들 어렵지만 일단 잎이 마주나기냐 어긋나기로 크게 두 무리로 구분을 하면 그래도 실체에 접근하기가 쉽다 어긋나기로는 모시풀과 섬모시풀이 있기 때문이다 이 녀석도 제주도에서 만났던 녀석처럼 어긋나기로 줄기에 잔털이 있는 섬모시풀이다. [이상태 검색집]1. 잎은 互生. 2. 가지와 葉柄에 長毛 밀생, 잎은 난상 원형. 圓錐花序는 頭狀花序로 구성 ................ 모시풀 2. 가지와 엽병에 短毛 밀생, 잎은 광난형. 원추화서는 짧은 穗狀花序로 구성 .......... 섬모시풀Boehmeria nivea 모시풀 / 재배 및 귀화Boehmeria nipononivea 섬모시풀 [대한식.. 2012. 8. 26. 왕호장근(마디풀과 하수오속) 2012. 8. 16. 도동. 키가 3m 까지 크는 녀석이라 쳐다만 봐도 엄청나다. 버스를 타고 해안도로로 달리다 보면 절개지 위쪽이 온통 왕호장근이다. 유독 울릉도에만 자생을 하는 특산식물이다. 호장근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8562 https://qweenbee.tistory.com/8888563 (붉은) http://blog.daum.net/qweenbee/8890886 https://qweenbee.tistory.com/8897888 https://qweenbee.tistory.com/8896051 https://qweenbee.tistory.com/8899844 https://qweenbee.tistory.com/8901583 호장근 열매 : https:.. 2012. 8. 24. 뱀무(장미과 뱀무속) 열매 2012. 8. 17. 나리분지. 뱀무는 울릉도와 제주도 남쪽 섬지역에서만 서식을 하고 있다. 큰뱀무보다 전체적으로 크기가 작고 탁엽 모양과 잎 모양에서 차이가 많이 난다. 뱀무 : 과실의 구자(갈고리바늘)에 선모가 있고 과탁의 털이 큰뱀무보다 길며, 소화경에 비로드상의 털만 있다, 열매 구.. 2012. 8. 23. 왕둥굴레(백합과) 열매 2012. 8. 17. 나리분지 한 그릇은 팔지 않는데 하며 달갑잖게 적선하듯이 내어주던 비빔밥을 눈치 보면서 먹느라 체할 뻔했다. 언제나 처음 같은 겸손한 마음으로 손님을 대하여 장사를 해야 번성을 할 것이로다. 나리촌 식당. 아마 그 집은 머지 않아서 손님의 발걸음 끊어지리니. 천부로 가.. 2012. 8. 23. 가는잎왕고들빼기(국화과 왕고들빼기속) 2012. 8. 17. 울릉도. 고들빼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83 https://qweenbee.tistory.com/8888076https://qweenbee.tistory.com/8899366 https://qweenbee.tistory.com/8900622 https://qweenbee.tistory.com/8903625 https://qweenbee.tistory.com/8905310 https://qweenbee.tistory.com/8905410고들빼기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3217 https://qweenbee.tistory.com/8904963 https://qweenbee... 2012. 8. 23. 큰두루미꽃(백합과) 열매 2012. 8. 17. 나리분지에서 성인봉으로 오르는 숲길 바닥은 온통 큰두루미 밭이었다. 꽃잎 필 때 아마 장관이었을텐데 드문드문 열매만 조금씩 남아 있다. 5월 중순 쯤 울릉도에 며칠 다녀올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는데...... 큰두루미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7504 http://blog.daum.net/qweenbee/8899.. 2012. 8. 23.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