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자료실/수목류4125

일본매자나무(매자나무과) Berberis thunbergii DC. 2010. 5. 11. 이 녀석은 잎이 봄부터 빨갛게 물들어 있다. 아니 사철 내내 이렇게 자색을 띤다.이 녀석을 당매자나무로 생각하고 있었다.당매자나무는 총상화서로 핀다고 하는데 산형화서로 핀 걸 보면 일본매자나무이다. 꽃은 양성화로서 4~5월에 피며 액출하여 아래로 늘어지고 황색이지만 표면은 붉은 빛이 돌며짧은 가지 위쪽에 산형화서로 2~4개의 꽃이 달린다. 꽃잎은 황색으로 6개이다.      잎은 어린가지에서 호생하고 짧은 가지에서는 총생하며 도피침형이고  예두 또는 절두이며 예저이고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회록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과실은 장과로서 길이가 약 1cm 정도이며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이고 9월에 붉게 익는다. 작년 10월의 열매다.매자나무 꽃 : https://qweenbee.. 2010. 5. 14.
애기감나무(노아시) 암꽃 2010. 5. 11. 꾸지뽕나무 옆에 작은 나무에 희끗한 꽃이 보이길래 들여다보니 애기감나무였다. 꽃단지 모양이 고욤나무꽃과 비슷한데 고욤나무 꽃 보다는 더 크고 감꽃 보다는 작다. 좁고 길다란 꽃받침이 유난한 녀석이다. 표준식물목록에는 없는데 중국원산으로 분재용으로 많이 소개 되.. 2010. 5. 14.
꼬리까치밥나무(범의귀과) 2010. 5. 5. 태백산 다녀 오는 길, 작년에 빨간 열매 풍성하게 달던 꼬리까치밥나무에 올해는 얼마나 꽃을 피웠는가 궁금하여 잠시 가던 길을 멈췄다. 벌써 꽃은 지고 어린 열매가 모양을 내면서 고개를 쳐들고 있다. 이렇게 서 있던 과병이 점차 열매가 익어가면 아래로 늘어진다. 올해도 가을에 고운 열매 담을 수 있기를 기대하면서 ... 5. 15. 4월 21일 꽃이 핀 모습을 담았는데 열매가 이제 제법 모양을 내고 있다. 올해는 멀리 가지 않고도 붉은 열매 담을 수 있을 것 같다. 바람도 불고 5시가 다 되어 가는 숲이라 사진이 흔들렸다. 4. 21. 의 꽃이 핀 모습 까마귀밥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640 https://qweenbee.tistory.c.. 2010. 5. 14.
주목(주목과) 암꽃 2010. 5. 13. 생물자원연구소. 지난 번에 급하게 담은 주목 암꽃이 있긴 하나 제대로 촛점이 맞지 않아서 찜찜했는데 마침 오늘 자원연구소 마당에 주목 암그루가 있길래 다시 담았다. 아직 자방이 자라지 않는 완벽한 암꽃이다. 인편 밖에 보이지 않는다. 잎 겨드랑이에 드물게 꽃이 핀다. .. 2010. 5. 13.
계수나무(계수나무과) 2010. 5. 13.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엔 ♬~계수나~무 한~나무/ 토~끼 한 마리~♪ 이웃하는 생물자원연구소 마당에 계수나무가 있었구먼.학교 텃밭에 심을 거리를 얻으러 연구소를 들렀더니마당에 동그란 이파리 나불거리면서 계수나무가 커다랗게 내려다 보고 있다. 하~! 이 녀석 꽃이 언제 피더라? 아무리 둘러 봐도 꽃은 안 보인다.아하~! 잎이 나기 전에 빨갛게 촉수처럼 꽃을 피우던 그 녀석이구나. 에혀~! 여기 있는 줄 알았더라면 진즉 와 볼 걸 그랬지.그런데 암수딴그루라고 하는데 열매를 찾아 봐도 안 보이는 걸 보니 모두 숫놈인 것 같다.어~! 그런데 한 가지 빠진 게 있다. 토깽이가 없다. 계수나무 옆에.          계수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 2010. 5. 13.
병꽃나무(병꽃나무과 병꽃나무속) 2010. 5. 6. 작은 골짝이 병꽃으로 온통 노르스름하다. 이렇게 병꽃으로 골짝을 도배한 건 첨 본다. 삼색병꽃입네 붉은 병꽃입네 그래도 기냥 병꽃이다. 한 그루에서도 가지에 따라 아이보리색 꽃도 피고 얼룩이도 피고 있으니.. 2010. 5. 13.
뽕나무(뽕나무과) 암꽃 수꽃 2010. 5. 12. 점심 시간을 이용하여 학교 동네를 한 바퀴 돌았다. 산자락 무덤 옆에서 붉은조개나물이 꽃을 곱게 피고 있는 것을 만났다. 하천 변에는 수영이 붉게 꽃을 피우고 있다. 자세히 들여다 보이 꽃이 엄청 이쁘다. 중학교 축대 위에 뽕나무 암꽃도 자잘하게 피어서 또 그냥 지나치지 .. 2010. 5. 13.
풀또기/만첩풀또기(장미과) 2010. 4. 21. 학교 풀또기. 이름도 참 이쁘다. 꽃을 보면 꼭 원예종 같은데 한국산이란다. 그냥 앵두나무려니 했었는데 유난히 붉은 기운이 강한 분홍색에 꽃이 커서 눈길을 끈다. 한반도 함경남도 회령, 무산 지방에 자생하며, 중국 동북부에도 분포한다. 이 종은 열매의 크기가 2cm가 넘지 않을 정도로 매우 작고 열매가 달리는 꽃줄기는 열매의 직경보다 더 작아서 열매가 달리는 부분이 매우 왜소해 보이는 특징이 있다. 널리 재배하는 앵도나무와 유사하나 꽃과 열매가 앵도나무보다 조금 더 큰 특징으로 구분한다. 2010. 5. 13. 2010. 4. 위키백과사전에는 이 사진을 풀또기로 올려 놓았다. 그러나 기재문을 읽어 보면 홑으로 된 위의 녀석이 풀또기가 맞고 이 녀석은 여러 겹으로 된 만첩풀또기다. .. 2010. 5. 13.
귀룽나무(장미과) 2010. 5. 7. 커다란 솜사탕 같다. 귀룽나무가. 바람에 건들거리는 나뭇가지에 하얗게 솜사탕이 그네를 타고 있다. 한 웅큼 따서 입에 털어 넣고 싶을 만큼 풍성하다. 4. 13. 구미. 열매다. 2010. 5. 12.
당단풍나무/단풍나무 2010. 5. 11. 학교 마당의 당단풍나무가 이제사 꽃을 피운다. 작년부터 나뭇가지가 죽어 나가더니 올해는 죽은 가지가 더 많아 졌다. 그래도 여전히 꽃은 곱게 피워준다. 고사하는 이유를 모르겠다. 당단풍나무는 잎의 갈래가 9~11개로 갈라지는데 단풍나무는 5~7갈래로 갈라지고 잎 뒷면에 털.. 2010. 5. 12.
만첩풀또기(장미과 벚나무속) 2010. 4. 29. 인근 사찰. 풀또기의 품종으로 조경수로 많이 심는다. 앵도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3812 https://qweenbee.tistory.com/8897383 https://qweenbee.tistory.com/8899099 https://qweenbee.tistory.com/8902319 https://qweenbee.tistory.com/8906940 https://qweenbee.tistory.com/8908641 앵도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5566 산옥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7296 https://qweenbee.tistory.com/8906945.. 2010. 5. 12.
양버즘나무(버즘나무과) 암꽃 수꽃 2010. 5. 11. 내 어릴 적 초등학교 마당에 커다란 양버즘나무가 서 있었다. 나무가 우람하고 가지가 넓게 퍼져서 그늘이 깊었다. 어떤 해에는 벌레들이 우글거려서 접근하기 조차 하기 싫었지만 그 나무 그늘은 우리들의 놀이터 였다. 여름이면 탁구공만한 양버즘나무 열매를 따서 머리에 튕.. 2010.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