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꽃공부방/식물공부자료77 다북떡쑥(국화과)의 이가화를 확인하다 2013. 7. 18. 경북. 이태 전 이 녀석을 보고 와서는 암수딴포기란 내용을 접하게 되었다. 헌데 사전에 이가화라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기 때문에 자세하게 관찰하지 못하여 그 사실을 확인할 수가 없었다. 도감을 확인 해 보면 다북떡쑥속인 구름떡쑥과 산떡쑥 모두 이가화인데 떡쑥속 녀석들은 이가화가 한 녀석도 없었다. 해서 이번에는 암꽃(자성두화)과 수꽃(웅성두화)를 확실하게 살펴야겠다고 생각을 하고 나뭇가지를 꺾어서 휘두르면서 모기와 전쟁을 치루면서 어느 꽃님의 선산에 올랐다. 얼마를 오르자 맨눈으로도 두상화가 흰 수술만 보이는 개체와 노란색 꽃대롱이 몇 개 박혀 있는 개체가 확인이 된다. 아래는 흰 암술만 있는 자성두화 즉 암꽃이 피는 개체이다. 노란 대롱꽃이 보이지 않는 이 녀석을 첨에는 혹시 아.. 2013. 7. 22. 개별꽃 폐쇄화 열매도 제 기능을 다할까? 2013. 5. 15. 봉정사. 개별꽃의 개방화 열매이다. 헌데 이 녀석은 제비꽃처럼 폐쇄화 열매를 다시 매단다. 개별꽃 뿐만아니라 큰개별꽃, 덩굴개별꽃, 가는잎개별꽃 등, 개별꽃 종류들 대부분 폐쇄화 열매를 단다. 오늘(2013. 6. 22. 경북) 대반하 때문에 들렀던 숲에서 개별꽃 폐쇄화를 관찰하였.. 2013. 6. 23. 동백나무겨우살이 꽃 2011. 12. 3. 제주. 식물의 식생에 대하여 제대로 알지 못하다 보면 이렇게 바보가 된다. 어느 블러그에 올려진 동백나무겨우살이 꽃을 보다가 익은 열매가 함께 있는 것을 보고 아차 싶었다, 그래서 제주도에서 10월과 12월에 담아 왔던 열매를 자료 원본을 살펴 보다가 12월 3일의 자료에서 가지 끝 부분에 핀 꽃을 찾아내었다. 이 녀석 개화기를 왜 3~4월이라고 생각을 했을까 돌이켜 보면 겨우살이 개화기가 3~4월이라 모든 겨우살이들이 그 때가 개화기라고 입력이 되어 버린 탓이었다. 그러니까 꽃을 담아 놓은 것도 모르고 꽃을 담아야 하는데 기다리기만 하고 있었던 거다. 이 녀석의 개화 시기를 확인해 보니 이우철 도감에는 봄에서 여름 사이라 되어 있고, 국가생물종지시정보시스템에는 4~5월에 개화한다.. 2013. 1. 31. 참나물속 열매 살피기 2012. 12. 13. 산형과 화서에는 벌레집이 잘 생겨서 그걸 열매로 오해를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산형과 중에서도 특히 기름나물 화서를 보면 특별하게 굵은 혹같은 벌레집이 많이 생기는 걸 자주 목격하는데. 아래 사진 속의 화서에 둥근 열매처럼 생긴 게 바로 벌레집이다. <기름나물> 2.. 2012. 12. 13. 개싹눈바꽃(미나리아재비과) 2012. 10. 2. 강원도. 그늘진 물도랑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녀석이다. 잎겨드랑이에 살눈이 생기면서 줄기 끝이 땅에 닿으면 살눈에서 뿌리가 내려 또 다른 개체가 자라게 되는 특이한 녀석이다. 도루박이나 벌깨덩굴도 이처럼 줄기 끝이 땅에 닿으면 뿌리를 내려서 개체 번식을 하는데 개싹.. 2012. 10. 11. 그 녀석은 참줄바꽃일까=>선덩굴바꽃(놋젓가락나물) 2012. 9. 15. 강원도. 이 녀석 때문에 다시 이 고개에 올랐다. 지난 번에 대충 담아 버린 녀석을 참줄바꽃으로 정리를 했지만 소화경과 줄기 잎의 털을 제대로 담아가지 못해서 확신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 참줄바꽃은 꽃은 화경과 소화경에 수평으로 퍼진 털과 안으로 굽은 짧은 털이 다소 밀생하고 화피열편 겉에 소화경과 더불어 긴 털이 밀생한다 . 자방은 5개이며 털이 없다.] 고 하니 그걸 확인해야 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이 녀석의 정체를 제대로 찾아보고 싶기 때문이었다. 누가 숙제를 낸 것도 아닌데 나 혼자 이렇게 이름을 찾는 일에 열중하고 있다. 먼 길 기름값도 만만치가 않지만 궁금한 건 꼭 확인을 해 봐야 하는 내 몹쓸 성격과 그 이름을 내 스스로 찾아 내었을 때의 환희는 보고 싶어하던 꽃을 .. 2012. 9. 17. 눈빛승마(미나리아재비과) 암과 수꽃 2012. 9. 2. 강원도. 어쩌다 올해는 눈빛승마와 황새승마 녀석에 꽂혀서 혼자서 우왕좌왕하고 있다. 눈빛승마로 생각했던 녀석들이 황새승마일 거라는 짐작으로 소화경과 화서의 털을 보고 그 쪽으로 몰아가고 있었는데... 며칠 전 꽃동무가 내 승마 꽃 자료를 보고 꽃잎에 대하여 언급한 내.. 2012. 9. 4. 부산숲체험 카페에서 강퇴당하다 오늘 다음에서 자료를 검색하다가 부산 숲체험 카페에 내가 강퇴 당했다고 하는 메세지가 떴다. 강제탈퇴되어 해당 카페에 접근하실 수 없습니다. 해당 카페지기/운영자에 의해 강제탈퇴되어 접근하실 수 없습니다. 강제탈퇴 이유 : 기타 가만히 생각해 보니 작년에 그 카페에 내 자료를 .. 2012. 7. 22. 보현개별꽃 그 후 2012. 5. 26. 영천. 지난 5월 12일 보현산 숲에서 그렇게 노래를 불러대던 보현개별꽃을 숨은 그림 찾기 하듯이 숲 바닥을 뒤져서 찾아 내었었다.큰개별꽃(태백개별꽃)과 덩굴개별꽃의 교잡종으로 덩굴과 큰개별꽃의 특성을 다 가지고 있는 보현개별꽃은영남의 동호회 회원들도 아무리 찾아봐도 만나보지 못하였다고 하는 녀석이었다.아마 보현의 특성을 미리 파악하지 않고 그냥 이상한 녀석을 찾으려고 시도하였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넷상에도 보현산에서 담았다고 하면서 보현개별꽃이라고 올려진 것을 보면덩굴개별꽃이 꽃을 피우고 있는 것을 올려 둔 게 거의 대부분으로 인디카에 한솔님이 올린 자료만 보현개별꽃이었다. 다들 잘못 생각하는 것이 그 이란 지명 때문에 보현산에서만 보현개별꽃을 찾으려고 한다는 거다.덩굴개별꽃과.. 2012. 5. 27. 보현개별꽃을 찾았다!!! 2012. 5. 12. 보현산. 모 사이트에서 큰개별꽃과 태백개별꽃 때문에 여러 이야기가 나오다가보현개별꽃과 비슬개별꽃의 실체에 대한 문의를 하게 되었다. 헌데 친분이 있는 꽃동무들도 아직 보현개별꽃을 보지 못하였다 하고보현산을 자주 찾는 꽃동무도 아직 보현개별꽃을 본 적이 없다고 하면서자꾸만 종이 분류되어 머리가 아프다고 투덜거리는 소리를 들었다. 국생종에 있는 개별꽃속 녀석을 비교분류표를 만들어 봐도 보현개별꽃에 대한 이지미가 떠오르지 않고검색을 해도 덩굴개별꽃을 찍어 올린 자료가 뜨기도 하였다. 보현개별꽃은 큰(태백)개별꽃과 덩굴개별꽃의 교잡종으로 보현산에서 서식이 확인되어서 학계에 보고된 녀석이다아래 내용은 국생종의 기재문을 간추린 내용이다 꽃 : 개방화는 액생 드물게 줄기 윗마디 말단부에 정생.. 2012. 5. 14. 물벼룩이자리/물별 @@@ Elatine (물별속) 국가표준식물목록 종분류구분학 명국 명최종수정일식물종정명Elatine triandra Schkuhr 물벼룩이자리2007/03/11식물종정명Elatine triandra var. pedicellata Krylov 물별2007/03/11 @@@ 물별속 일본 서식종 (3종) Elatine hydropiper L. シベリアミゾハコベ (temp.) 표준 Elatine spathulata Gorski シベリアミゾハコベ (temp.) 이명 Elatine triandra Schkuhr var. pedicellata Krylov ミゾハコベ 표준 물별Elatine triandra Schkuhr ミゾハコベ 광의 Elatine ambigua Wight ミゾハコベ 이명 Elat.. 2012. 2. 15. 기생꽃과 참기생꽃에 대한 소고 얼마 전까지만 해도 우리 나라에 자생하는 참기생꽃을 다들 기생꽃이라고 이름을 불렀었다. 아니 지금도 기생꽃으로 이름을 붙여서 야생화 사이트에 오르고 있다. 헌데 우리 나라에 아직 서식하고 있는 것은 모두가 참기생꽃이며 기생꽃은 일반인의 접근이 허락되지 않는 강원도 고산 습지에 서식하고 있다고 한다 백두산에서 담아 온 참기생꽃 열매를 올리면서 기생꽃과 참기생꽃의 차이점은 꽃대의 수라고 글을 써 두었었다. 참기생꽃은 한 송이, 기생꽃은 여러 송이를 피운다고 믿을만한 분 한테서 들었던 것 같은데 도감에서 확인을 해 본 것 같기도 하다. 꽃동무 한 분이 내가 기록해 둔 꽃의 수로 참기생과 기생을 구분하는 것에 의문을 가지고 외국의 자료를 찾아 확인을 하신 모양이다. 해서 나도 이우철의 의 기재문을 살펴보니 참기.. 2012. 1. 26. 이전 1 2 3 4 5 6 7 다음